• 제목/요약/키워드: Tangible Interaction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9초

Tangible Cooperation in Shared Virtual Environment

  • Irawati, Sylvia;Kim, Jong-Phil;Kim, Jin-Wook;Ko, Hee-D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214-220
    • /
    • 2009
  • Recent advanced technologies enable multiple users to share the virtual environment and work together as they are collocated. Additional sensory information such as haptic could improve the coope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rver-client architecture with multi-rate haptic control to support a tangible cooperation. Using our approach, the system is able to maintain a consistent simulation state across multiple users as well as to provide a highfidelity stable haptic interaction. To verify our approach, we have developed an experimental application and tested the cooperation among multiple users. The results confirm that our system is able to provide coherency among clients as well as haptic transparency.

  • PDF

CAID 시스템의 디지털 라이팅을 위한 증강 현실 기반의 실체적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Augmented Reality Based Tangible Interface For Digital Lighting of CAID System)

  • 황정아;남택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33-240
    • /
    • 2007
  • 컴퓨터의 발전으로 이를 이용해 제품을 디자인하는 CAI가 발전하게 되었다. 산업 디자이너들은 CAID 도구를 사용하여 3차원 장면을 시각화하기 위하여 이를 2차원 이미지로 만드는 렌더링 기능을 수행한다. 렌더링 기능은 디자이너들이 자신이 디자인 제품의 재질, 조명, 카메라 등을 시뮬레이션 해 볼 수 있게 하여 중요한 기능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컴퓨터 입출력 시스템을 활용하여 CAID 도구의 광원과 카메라 등의 3차원 위치와 속성을 조작하는 데에 인터페이스 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과 실체적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가상의 라이트 조작 공간인 TLS(Tangible Lighting Studio)를 제안한다. 이는 광원과 카메라의 위치, 효과를 물리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유닛들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가상의 모델을 실제와 같이 보이게 하기 위한 입체 디스플레이 방식을 제안한다. 새로운 실체적 인터페이스를 제안함으로써 산업디자인 분야뿐 아니라 건축, 원화, 사진 촬영 등의 분야에서 시뮬레이션 도구로 적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Tangible Media based on Interactive Technology: A Tutorial

  • Yoon, Joongsun;Yoh, Myeungsook;Lee, Hye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4권2호
    • /
    • pp.241-248
    • /
    • 2004
  • Recent paradigm in technology shifts from object-based technology to environment-based technology. Issue here is interaction among humans and the world around humans. The world we consider includes natural and artificial "space." Interactive technology, which explore holistic interactions based on "Mom (embodiment)," suggests a good starting point for exploring this issue. Soft engineering, "Mom," holistic interactions, tangible space, ubiquitous computing, science of emotion, and interactive media are key concepts in interactive technology. Interactive tangible media "iT_Media" is proposed to explore and synthesize these ideas. Interactive technology initiative (ITI) i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 to search for the proper technology and the proper way of implementing technology: "interactive technology" or "soft engineering." Some experimental activities conducted by ITI are presented in this paper.tal activities conducted by ITI are presented in this paper.

A Tangible Floating Display System for Interaction

  • Kim, Youngmin;Kang, Hoonjong;Ahn, Yangkeun;Choi, Kwang-Soon;Park, Byoungha;Hong, Sunghee;Jung, Kwang-M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8권1호
    • /
    • pp.32-36
    • /
    • 2014
  • A tangible floating display that can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 views without special glasses being introduced. The proposed system can display perspective floating images in the space in front of the system with the help of concave mirrors. In order to avoid wearing special equipment to interact and deliver the sense of touch, the proposed system adopted an ultrasound focusing technology. For providing an immersive experience to the viewers,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tangible floating display system and a multiple-view imaging system for generating three lenticular displays in front of the users.

감각형 미디어 제어 시스템 (TMCS : Tangible Media Control System)

  • 오세진;장세이;우운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10호
    • /
    • pp.1356-136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컨텐츠를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감각형 미디어 제어 시스템(TMCS: Tangible Media Control System)을 제안한다. 현재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를 접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츠를 조작하는 데 있어서 직관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제안된 시스템은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신하여 일상 생활의 오브젝트에 RFID 태그와 트래커를 내장시킨 감각형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미디어 컨텐츠를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는 감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들을 합성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와 다양한 상호 작용을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개인화 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 시켜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장점을 기반으로 하여 인터렉티브 멀티미디어 재생기 및 제작기,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반의 교육 및 오락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TUI(Tangible User Interface)기반의 어린이 체험전시 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Based on Tangible User Interface)

  • 이태은;이창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341-348
    • /
    • 2020
  • 본 연구는 TUI기반 체험전시의 담론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 디지털환경에서 변화되고 있는 어린이 체험전시 현상을 분석하여 TUI를 활용한 어린이 체험전시의 발전 유형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연구 전개를 위하여 체험전시에서 야기되는 인터랙티브의 요소인 TUI(tangible user interface)를 처음 제안한 MIT Tangible Media Group의 3가지 요소 측면(인터랙티브 평면, 비트와 원자의 연결, 환경미디어)과 텐저블즈 유형(물건, 장치, 평면, 공간)을 토대로 국내외 체험전시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TUI 요소는 인터랙티브 평면과 비트와 원자, 환경미디어 순서가 많았으며, 텐저블즈는 물건, 평면, 장치, 공간 유형 순서로 높았다. 이러한 사실은 어린이들의 적극적 개입과 확장된 경험이 필요한 체험전시에 TUI가 적극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레고하우스 : 멀티 인터렉션 공간에서의 협업 (LEGO House Multi Interaction Space Collaboration)

  • ;안상철;안종길;김진욱;고희동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481-486
    • /
    • 2008
  • Recent advanced interlace technologies allow the user to interact with different spaces such as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Ubiquitous Computing (UC) spaces. Here, we present a LEGO House application, a collaborative application which involves multi interaction spaces -VR, AR and UC spaces. The LEGO House application is built based on the VARU framework which is designed for enabling the prototyping of a tangible spac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s about an interior design. One user is located in the combined AR and UC space and interacts with the AR LEGO house and the physical smart devices. The other users interact with the virtual LEGO house but they share the same environment, the LEGO house. Therefore, they can collaborate together as they are co-loc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