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ekwondo Park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2초

무주 태권도원 현장 색채계획 시공단계 프로세스 적용사례연구 (A Study on the Case of Application of a Process at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Color Planning at the Construction Site of Muju Taekwondo Park)

  • 윤계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20-327
    • /
    • 2013
  • In order to maintain and protect professionalism in color planning,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rocess at the time of realization of color through color inspection and supervision in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and suggested plans for improve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governing body of the construction site is not a private person but an organiza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vide institutional measures so that the supervisor of color construction at the actual site of construction can propose concerns related to proper construction at the right time, and the matters cannot be decided from the perspective of a layman. The institutional measures are proposed through the case of application of a process at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color planning at the construction site of Muju Taekwondo Park. First, the process clarified where the responsibility lies by specifying special conditions concerning color inspection on the field guide and color contract. Second, the sample for building materials was selected after obtaining it from a company capable of supply and is appropriate for the planned unit cost so that it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lizing colors at the stage of basic design. Third, the process of construction was ensured not by temporary selection of colors but by continuous approval of colors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of construction site through letter of approval of color at each stage and point of time. Fourth, coordination of various color elements of other fields including landscape, interior, and electricity ensured construction of the whole structure in one color concept. Fifth, color inspection through the mock up of the site will minimize erroneous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nd prevent decrease in productivity. Sixth, this study also suggested more comfortable and positive color environment through evaluation by experts and user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expects that color exper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tage of construction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color environment.

Common Trigger Points on College-Level Athletes with Various Sports

  • Park, Joo-Hyun;Shin, Hee-Joon;Lee, Sa-Gyeom;Lee, Geon-Cheol;Yoon, Hee-Jong;Hong, Wan-Sung;Goo, Bong-Oh;Lee, Dong-Yeop;Shin, Hyung-Soo;Yoon, Bum-Chul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8-6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rigger points(TrPs) on athletes with various sporting background. To achieve the purpose, a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survey from 180 athletes involved in 6 selected sports at Yong-In University. Selected sports included Judo, Taekwondo, Kendo, Ssi-reum(Korean traditional wrestling), Boxing, and Golf. An interview type survey and physical examination were conducted with each thirty athletes from each of the selected sports groups. Technical statistic(SPSS 15.0) was us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TrPs on these athletes. The most common TrPs observed in muscles of Trapezius, Quadratus Lumborum, Quadriceps in Judo. In Taekwondo, it was on the trapezius and triceps surae. Kendo athletes had TrPs at sites of trapezius, brachioradialis and triceps surae. Ssirem athletes were found to have TrPs on trapezius, deltoid and quadrates lumborum. In boxers, TrPs appearing at trapezius and brachioradialis were observed. Finally, Golf players were seen to have TrPs at trapezius, quadrates lumborum and brachioradialis. Hence,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distribution of Tr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sport items of the athlete.

  • PDF

신한승택견의 학습체계 (Learning Systems of Shin, Han-Seung's Taekkyeon)

  • 박영길;안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35-2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한승이 택견을 국가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하여 어떻게 체계화하고 구성하였는지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과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근대 택견의 전수자로 유일한 송덕기 택견의 기술 구성은 일정한 체계가 없는 낱기술 중심의 놀이 형태로 전래 되었으나, 신한승에 의하여 체계적인 구성을 가진 무예로 발전하게 되고, 급기야 무형문화재로 인정받게 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둘째, 신한승은 낱기술로 전래되어 오던 택견을 체계화 하면서 유도, 검도, 합기도, 태권도, 가라테의 수련체계와 기술을 일부 차용하여 근대화 시켰다. 이 과정에서 송덕기 택견이 원형대로 전수되지 않고 변형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신한승은 정통 택견에는 없던 급수 구분제도와 실기심사, 태권도의 품새에 해당하는 본대뵈기 12마당 등을 만들고, 스포츠화를 추구하여 현대적인 학습체계와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택견의 원래 형태와 기술변천 및 구성에 대한 시대적 환경적 윤관을 재조명 할 수 있었으며, 전통화 과정에서 혼재되고 있는 각종 택견 단체들의 논쟁을 이해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8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대학 태권도 시범선수의 순발력, 동적 평형성 및 관절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8week Plyometric training on power, dynamic balance and joint position sensory in Taekwondo demonstrator )

  • 최광웅;이석준;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07-111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순발력, 동적 평형성 및 관절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태권도 시범 전공 대학생 20명을 훈련군 10명, 통제군 10명으로 분류한 후 운동군은 주 3회, 60분, 8주간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을 하였다. 측정 변인은 제자리높이뛰기, 제자리멀리뛰기, 배근력, 동적 평형성 및 관절 위치감각으로 사전 사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제자리높이뛰기와 멀리뛰기 및 배근력에서 유의한 운동의 효과가 있었다(p<.05). 동적 평형성은 후방 바깥쪽과(p<.01) 후방 안쪽에서(p<.05) 유의한 운동의 효과가 있었다. 관절 위치감각은 왼발 15°와(p<.01) 45°에서는(p<.05) 운동군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 8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은 태권도 시범선수의 순발력과 동적 평형성 및 관절 위치감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태권 시범 선수들의 서전트 점프,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on Sargent jump, posture control and lower extremity injury criterion in Taekwondo demonstrator)

  • 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51-859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6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태권 시범선수의 서전트 점프,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학 태권 시범선수 20명을 대상으로 운동군 10명과 통제군 10명을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운동군은 주 3회, 60분, 6주간 실시하였고, 통제군은 일반적인 훈련을 하였으며, 사전 사후 서전트 점프, 배근력,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배근력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서전트 점프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자세조절에서는 앞쪽은 경우 유의하지 않았으나 좌·우 후방 외쪽과 안쪽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종합점수 결과 하체 부상의 위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순발력, 자세 조절, 하체 부상 방지 및 재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훈련 방법이다.

성장기 태권도 선수의 만성 통증과 손상 유형 (Chronic Injuries and Types of Injuries Related to Adolescent Taekwondo Athletes)

  • 김하경;김창윤;심희종;박성민;배병조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6-50
    • /
    • 2009
  • 목적: 성장기 태권도 선수가 호소하는 만성 통증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선수 및 지도자의 인식 조사와 함께 만성 통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 1년 4개월 동안 광주광역시의 초, 중, 고교 태권도 선수 210명과 지도자 12명을 조사하였다. 진단은 이학적 검사와 단순 방사선 촬영, MRI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조사 대상 선수 210명 중 만성 통증을 겪은 선수는 162명(77.1%)이였으며 세 부위의 만성 통증을 겪은 선수는 19명(11.7%), 두 부위는 74명(45.7%), 한 부위는 69명(42.6%)이였다. 162명의 만성 통증 274예에서 손상 부위로는 족부, 족관절부가 145예(52.9%)로 가장 많았고 수부, 수근관절부 47예(17.2%), 슬관절부 38예(13.9%), 고관절부 25예(9.1%), 요추부 19예(6.9%)였다. 만성 통증의 손상 유형으로는 족부의 좌상(타박상)이 103예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족관절부 염좌 40예, 수부, 수근관절부 좌상 28예 등이었으며 이러한 만성 통증을 유발하는 손상 원인으로는 겨루기 연습 손상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무리한 훈련이었으며, 경기 손상 등이 있었다. 결론: 성장기 태권도 선수들에게 만성 통증이 흔히 있었고 족부, 족관절부 통증이 많았으며 손상 유형으로는 좌상과 염좌가 많았다. 손상 원인으로는 겨루기 연습 손상이 가장 많았으며 만성 통증으로의 이행은 무리한 훈련과 잦은 경기가 큰 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선수들의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방향 동작인식기반 태권도 동작 평가시스템 연구 (The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Taekwondo Motion of Multidirectional recognition)

  • 이은옥;박수진;조현억;이병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88-1790
    • /
    • 2015
  • 태권도의 승급 및 승단의 경우 심판 및 심사위원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주관적인 평가는 판정시비 및 편파 판정과 같은 문제를 야기 시킨다. 제안하는 연구는 이러한 편파 판정의 시비가 발생할 경우 객관적인 입장에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화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수련자 및 승급 승단자가 모니터링하고 평가를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제스처 인식에 사용하는 양안카메라를 제안하고 시스템 운용 방안을 연구했다.

Comparative Analysis of Historical National Image Advertising in Korea - Video Advertisements Produced between 1998-2017

  • Bae, In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4호
    • /
    • pp.84-97
    • /
    • 2020
  • Since national image video advertisements are a means of public relations with wide delivery and major repercussions at home and abroad, this study performs a comparative analysis of video advertisements aired by previous governments as reported by Daejung Kim, Moohyun Roh, Myungbak Lee, and Geunhye Park.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governments, whether or not social trends were reflected, and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and modern elements were examined. As we describe, there are clear differences in video advertisements by government regime, and while messages expressing traditional values of Eastern culture have gradually decreased, reflecting the trends of the times, the messages emphasizing the modern values of the West have gradually increased. Our research confirmed that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Samulnori' and 'Taekwondo' are gradually disappear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lective values, traditional values, and humanism represented by the 'large crowd' and 'traditional elements' in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istration changed in th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to more individualistic, materialistic, Western valu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image advertisements by governments in the past, how social trends were reflected, and the weight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elements. Based on this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e current Moon Jae-in government's groundwork for follow-up research should not be understated.

신한승택견의 학습체계 (A Study System of the Sin Han-Seong Taekkyeon)

  • 박영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1-257
    • /
    • 2008
  • 신한승의 택견은 오늘날 학계에서 '창작된(만들어진) 전통무예'라는 사실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그 이유는 송덕기의 택견 11수의 낱기술을 문화재로 등재하기 위하여 체계화된 무예들의 장점들을 명문화를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전통택견을 창조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한승이 택견을 국가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하여 어떻게 체계화하고 구성하였는지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과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근대 택견의 전수자로 유일한 송덕기 택견의 기술 구성은 일정한 체계가 없는 낱기술 중심의 놀이 형태로 전래 되었으나, 신한승에 의하여 체계적인 구성을 가진 무예로 발전하게 되고, 급기야 무형문화재로 인정받게 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둘째, 신한승은 낱기술로 전래되어 오던 택견을 체계화 하면서 유도, 검도, 합기도, 태권도, 가라테의 수련체계와 기술을 일부 차용하여 근대화 시켰다. 이 과정에서 송덕기 택견이 원형대로 전수되지 않고 변형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신한승은 정통 택견에는 없던 급수 구분제도와 실기심사, 태권도의 품새에 해당하는 본대뵈기 12마당 등을 만들고, 스포츠화를 추구하여 현대적인 학습체계와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택견의 원래 형태와 기술변천 및 구성에 대한 시대적 환경적 윤곽을 재조명 할 수 있었으며, 전통화 과정에서 혼재되고 있는 각종 택견 단체들의 논쟁을 이해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16주간의 복합운동이 파킨슨병 환자의 혈중 도파민 농도, 기능적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6-week Combined Exercise on Blood Dopamine Concentrations, Functional Fitness and Qol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김도연;박찬호;김지선;천지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81-109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16주간 복합운동을 수행하였을 때 혈중 도파민 농도, 기능적 체력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한 60대 이상의 파킨슨병 환자 24명을 운동군(n=12)과 통제군(n=12)으로 분류한 후 운동군을 대상으로 16주 동안 주 2회, 회기 당 70분의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실시 전·후 항목별 차의 비교를 위해 그룹 내 차이는 대응 t 검정, 그룹 간 차이는 독립 t 검정, 상호작용 검증을 위해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파민 농도는 운동군(p<.01)이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통제군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능적 체력에서 악력은 운동군(p<.001)과 통제군(p<.05) 모두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덤벨들기(p<.001), 의자 일었다 앉기(p<.001), 3m 걸어갔다 돌아오기(p<.01)가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통제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삶의 질은 운동군(p<.001)이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6주간의 복합운동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도파민 농도를 증가시키고 근력, 근지구력, 평형성 및 보행능력 등 기능적 체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