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arning Systems of Shin, Han-Seung's Taekkyeon

신한승택견의 학습체계

  • Published : 2008.08.28

Abstract

This research show how Shin Han-Seong make up Taekkyeon to register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found next conclusion and meaning. First, skill organization of Song Duk-Ki Taekkeon that is only one modem Taekkeon's initiator have been transmitted for a piece of skills of playing figure which don't have regular system. But Taekkyeon which have regular system have been developed by Shin Han-Seong, finally Taekkyeon is approved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Second, Shin Han-Seong modernized Taekkyeon by borrowing training system of Judo, Fencing, Hapgido, Taekwondo, Karate. But people criticize that Song Duk-Ki Taekkeon is not initiate with original thing. Third, Shin Han-Seong made the grade classification and practical technique screening, Bon-Dae Buigi Twelve part like Pomse of Taekwondo (there is no for traditional Taekkyeon). And he contributed to popularization and modernized learning system by pursuiting sportization. Through this research geared up Taekkyeon's original shape and generational outline about skill transition or composition. And it gav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 about Taekkyeon controversy which scattered.

본 연구에서는 신한승이 택견을 국가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하여 어떻게 체계화하고 구성하였는지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과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근대 택견의 전수자로 유일한 송덕기 택견의 기술 구성은 일정한 체계가 없는 낱기술 중심의 놀이 형태로 전래 되었으나, 신한승에 의하여 체계적인 구성을 가진 무예로 발전하게 되고, 급기야 무형문화재로 인정받게 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둘째, 신한승은 낱기술로 전래되어 오던 택견을 체계화 하면서 유도, 검도, 합기도, 태권도, 가라테의 수련체계와 기술을 일부 차용하여 근대화 시켰다. 이 과정에서 송덕기 택견이 원형대로 전수되지 않고 변형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신한승은 정통 택견에는 없던 급수 구분제도와 실기심사, 태권도의 품새에 해당하는 본대뵈기 12마당 등을 만들고, 스포츠화를 추구하여 현대적인 학습체계와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택견의 원래 형태와 기술변천 및 구성에 대한 시대적 환경적 윤관을 재조명 할 수 있었으며, 전통화 과정에서 혼재되고 있는 각종 택견 단체들의 논쟁을 이해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석, 태권도 반세기, 서울 올림픽기념 국민체육진흥공단, pp.356-357, 2001.
  2. 강권표, "유도교육의 학교체육 활성화 과제", 선무학술논집, 제14집, pp,73-98, 2004.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무예단체현황, 도서출판 무지개, p.59, 2003.
  4. 에드월드쉴즈(저)/김병서, 신현순(역), "전통", 민음사, pp.24-25, 1992.
  5. 김신택, 택견의 실체와 원리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p.32-33, 1999.
  6. 김용옥, 태권도 철학의 구성원리, 통나무, p.85, 1990.
  7. 김재호, 택견의 몸짓이 지닌 민중적 요소에 관한 고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p.3, 1996.
  8. 도광식, 택견 전수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서원대학교 교육대학교 석사논문, pp.2-24, 2000.
  9. 도기현, "택견 그리고 나의 스승 송덕기", 동재, pp.102-106, 2003.
  10. 도기현, 우리무예 택견, 동재, p.20, 2006.
  11. 문화체육관광부, "생활체육단체현황", pp.1-8, 2005.
  12. 박경호, 유도기술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2.
  13. 박범남, 택견의 문화적 실제와 특성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43, 1999.
  14. 박영길, 택견의 현대사적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p.39-49, 2004.
  15. 박종관, "택견", 서림문화사, p.17, 1983.
  16. 신성대, "무덕", 동문선, pp.186-203, 2006.
  17. 심승모(역), 검도와 인간의 道, 다문, 2006.
  18. 신채호, "조선상고사", 일신서적출판사, 1983.
  19. 석춘희, 강성구, "전통무예 택견의 활성화 방안", 성문사, p.143, 2003.
  20. 손락범, 이숙자역, "민중엣센스일한사전", p.573, 2001.
  21. 안곽(자산), 조선무사영웅전, 집문당, p.62, 1919.
  22. 안영이, "다시쓰는 한국바둑사", p.29, 2005.
  23. 안정덕, 박영길, "전통무예 택견의 발달과정에 대한고찰",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6권, 제6호, pp.761-770, 2005.
  24. 오장환, "택견", 영언문화사, pp.52-173, 1993.
  25. 유원식, 유도철학과 수행지침 정립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3.
  26. 임동권, "택견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146호, 문화재관리국, 1982.
  27. 이승수, "택견의 운영조직 再考", 한국체육사학회 동계세미나, pp.57-69, 2006.
  28. 이승수, "택견의 체계화에 미친 일본 유도의 영향", 비교민속학회, 제31집, pp.367-377, 2006.
  29. 이승수, "택견의 체계화에 미친 검도의 영향", 한국체육사학회, 제18호, pp.37-49, 2006.
  30. 이승수, "한국 무예의 근대화 : 태견의 심사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제46권, 제6호, pp.5-64, 2007.
  31. 이용복, "민족무예택견", pp.38-300, 학민사, 1995.
  32. 이용복, "한국무예택견", 학민사, pp.215-371, 1990.
  33. 이학래, 한국유도발달사, 보경문화사, 1990.
  34. 정경화, "택견원론", 보경문화사, pp.20-212, 2002.
  35. 정재성, "자전거 탄도사 신한승", 한국의 전통 택견협회, pp.74-186, 2003.
  36. 정재성, 김형묵, 박영길, "택견 경기방식의 새로운 통합문제",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12권, 제2 호, pp.71-85, 2007.
  37. 조성균, "민속지학적 관점에 의한 택견의 전수형태와 현대적 의의", 한국체육사회지, 제18호, pp.51-67, 2006.
  38. 조성균, "현대 택견의 논쟁거리 전통성", 한국 체육사학회지, 제13권, 제1호, pp.31-47, 2008.
  39. http://www.kyoungdang.com/
  40. http://www.taekgyeon.co.kr/main.htm
  41. http://www.mooka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