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ctical Data-link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초

다중 전술 데이터링크 데이터 관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ulti-Tactical Data Link Data Management)

  • 황정은;이강;정석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57-464
    • /
    • 2020
  • 한국군은 Link-11, Link-16 과 Link-K를 적용한 한국형 전술 데이터링크 체계 JTDLS(: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를 운용하고 있다. Link-11에서 Link-22로의 교체 시점이 도래함에 따라 JTDLS 완성형 사업에서는 기존의 전술 데이터링크 외에 Link-22 등의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가 추가될 예정이다. 다양한 전술 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Link-K, Link-16, KVMF 등 다중 전술 데이터링크의 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제안하고, DLP 측면에서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방안을 찾기 위한 Shared Memory, In-Memory DB, 자체개발 DB를 이용하여 모의시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Design of Airborne Terminal System for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 Complete Data-link

  • Choi, Hyo-Ki;Yoon, Chang-Bae;Hong, Seok-Ju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9권2호
    • /
    • pp.139-147
    • /
    • 2020
  • In this paper, design measure were proposed for the construction of terminal systems for airborne platforms, which are key element in the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 (JTDLS) complete system. The Korean perfect tactical data link (JTDLS) is a communication system to establish an independent tactical data link network and needs to develop a MIDS-LVT (Link-16) communication terminal for datalink. Once a Ground/Navy JTDLS terminal system is established around airborne platform, it will be possible to break away from reliance on NATO-based tactical data link joint operations and establish independent Korean surveillance reconnaissance real-time data sharing and tactical data link operations concepts. in this paper, the essential development elements of airborne platform mounting and operable JTDLS terminals are presented, and the concept of system design is proposed to embody them. Furthe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concepts of complex relative navigation system and Advanced TDMA protocol for the deployment of airborne tactical datalink networks.

Link-22 SNC 연동을 위한 전술데이터링크 처리 구조 확장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the Tactical Data Link Processing Structure for Link-22 SNC Interface)

  • 정석호;황정은;이윤정;박지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045-1052
    • /
    • 2021
  • 현대전은 감시체계, 지휘통제체계, 타격체계가 첨단 정보통신기술로 상호 연결되어 전장상황을 공유하는 네트워크 중심전(NCW: 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한국군은 각 군의 전장상황에 맞게 Link-K, Link-16, Link-11, KVMF 등 다양한 전술데이터링크(TDL: Tactical Data Link)를 활용하고 있다. 한국형 합동 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는 지상/해상/공중 합동전력간 근실 시간으로 전술정보를 공유하는 체계로 Link-K, Link-16, KVMF에 Link-22를 추가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TDLS체계에 Link-22를 적용하기 위하여 체계 구성, Link-22 메시지 분석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처리기와 Link-22의 연동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형 육군 전술데이터 링크체계 구현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ependent Tactical Data Link System for ROK Army)

  • 정재형;권태환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49
    • /
    • 2004
  • The Tactical Data Link System is a standardized communication link to exchange and interface positional, situational information, command and control in real time. It has been evaluated that this Link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tactical interoperability, situation awareness, and execution of joint operations in the future war. But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war situations, even though being admitted the necessity of the Tactical Data Link System of Army helicopter, one of superpowers in the Army, substantially we don't still have any concrete concept to build it. Therefore, this work presents how to embody the Tactical Data Link System through computer-aided system engineering on the base of Tactical Data Link System operating concept analysis of helicopters-ground units.

함정 전투체계 전술데이터링크 개발현황 및 메시지 분석 (Message Analysis and Development Situation on the Tactical Data Link of Combat Management System in Naval)

  • 유호정;최병곤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1-27
    • /
    • 2017
  • 국내 개발 함정 전투체계는 Link-11, 위성ISDL, JTDLS(합동전술데이터링크) 등 다종의 전술데이터링크를 운용하고 있으며, 각 전술데이터링크는 고유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술데이터링크로 표적, 교전 및 무장정보 등과 같은 전술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함정에서 운용되는 다종의 전술데이터링크는 복수의 전술상황도(CTP), 주요기능 중복으로 업무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상존해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술데이터링크를 통합형 구조로 변경하는 추세에 있다. 현재 함정 전투체계에서는 위성ISDL, KNCCS, JTDLS 체계가 해군전술C4I 성능개량체계로 통합되어 운용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개발 함정 전투체계 전술데이터링크 개발현황을 고찰하고, 해군전술C4I 성능개량체계의 Host Interface 메시지와 위성ISDL의 I 메시지를 비교분석하여 해군전술C4I 성능개량체계의 발전사항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레거시 라디오 기반의 UMPC 전술 데이터 링크 Push 프레임워크 (The Push Framework for UMPC Tactical Data Link(TDL) Based on The Legacy Radio)

  • 심동섭;신웅희;김기형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97-404
    • /
    • 2010
  • Recently, there is on-going research about tactical data link system based on the legacy radio. Tactical data link based on legacy radio is operated mostly in narrow bandwidth under 25khz. Communicating traffics in nodes participated at network need to be minimized for distributing tactical data in narrow bandwidth. In addition, the data distributing structure is necessary for distributing tactical informations such as a situation awareness and so on to war fighters. However, conventional server-client system wastes a lot of time to obtain information for war fighters as user uses pull system to gather necessary information by seeking it one by one. Especially, the fighter pilot is supposed to dedicate into a situation awareness and fight mission in every seconds but seeking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while aircraft maneuvering affects as obstacle to concentrate engaging hostiles. therefore, push technology, the tactical data distributing system, is necessary for war fighters to receive fixed tactical data automatically without putting attention to it. This paper propose the UMPC tactical data link push framework. the UMPC tactical data link is a tactical data link system based on the legacy radio. Proposed push framework is verified by composing experiment environment and testing.

범용 전술데이터링크 교전 시뮬레이터 (A General Purpose Engagement Simulator using a Tactical Data-link)

  • 윤근호;진정훈;김세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8-226
    • /
    • 2010
  • The tactical data-link is useful to exchanging automatic information and controling command in combat environment. This is a essential factor of interoperability in the future combat situation of network centric warfare. In a aspect of a weapon system development, Modeling & Simulation can save expense. HLA RTI is a standard communication protocol in M&S. So, we suggest that Link Simulator connect tactical data-link through RTI. This simulator has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M&S and tactical data-link, the reusability through adabing M&S framework, and the wide usability by automatic engagement function.

전술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무인기를 이용하는 이동 예측 기반의 데이터 링크 연결 유지 알고리즘 (Mobility Prediction Based Autonomous Data Link Connectivity Maintenance Using Unmanned Vehicles in a Tactical Mobile Ad-Hoc Network)

  • 르반둑;윤석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1호
    • /
    • pp.34-45
    • /
    • 2013
  • 자가구성 능력을 가진 전술모바일애드혹 네트워크는 기간망을 사용할 수 없는 전술환경에서 단위전술부대와 중앙지휘소와의 통신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작전 전술부대가 임무수행을 위해 중앙지휘소로부터 장거리 위치로 이동하거나 지형적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통신단말간 데이터링크가 단절되어 전술부대로부터 지휘소까지의 데이터 경로가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ADLCoM(Autonomous Data Link Connectivity Maintenance) 구조를 제안한다. ALDCoM하에서 각 전술그룹단위는 하나이상의 GW 노드 (게이트웨이)를 갖으며 GW 노드들은 전술부대 및 지휘소 간의 데이터 링크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만약 데이터링크가 단절될 가능성이 높다면 하나이상의 육상 또는 공중 무인기를 데이터링크를 위한 릴레이로서 동작하도록 요청하여 전술 부대 및 지휘소간, 또는 전술 부대간의 데이터링크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효하게 유지 시킨다. 전술환경을 모의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ADLCoM구조가 전술모바일애드혹망의 성능을 현저히 높일 수 있음을 보인다.

다중데이터링크 기반에서 데이터링크 처리기와의 데이터 무결성 보장을 위한 전술상황전시기 간 데이터 기록 및 재생 방법 연구 (A Study on Data Recording and Play Method between Tactical Situations to Ensure Data Integrity with Data Link Processor Based on Multiple Data Links)

  • 이현주;정은미;이성우;염재걸;김상준;박지현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3-25
    • /
    • 2017
  • Recently, the high performance of tactical situation display console and tactical data links are used to integrate the operational situations in accordance with information age and NCW (Network Centric Warfare). The tendency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ask execution has been developed by sharing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the battle quickly through complex and diverse information exchange. Tactical data link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shares the platform with core components of weapons systems and battlefield situation between the command and control systems to perform a Network Centric Warfare and provides a wide range of tactical data required for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It provides the tactical information such as tactical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al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of the peer, and the target location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in the battlefield situation, and it is operated for the exchange of mass tactical information between the intellectuals by providing common situation recognition and cooperation with joint operations. In this study, still image management, audio file management, tactical screen recording and playback using the storage and playback, NITF (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 message received from the displayer integrates the tactical situation in three dimensions according to multiple data link operation to suggest ways to ensure data integrity between the data link processor during the entire operation time.

항공기 센서 실시간 항적 정보와 항공전자 전술데이터링크 정보융합 구조 연구 (A Study on a Information Fusion Architecture of Avionics Realtime Track and Tactical Data Link)

  • 강신우;이영서;박상웅;안태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25-330
    • /
    • 2022
  • 항공기에 탑재된 센서들은 임무 수행에 필수 요소이며 센서들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의 융합은 임무 효율을 높이고 조종사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적용되고 있다. 센서들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특정 대상에 대해 일관되고 보다 정리된 형태로 조종사에게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융합이 적용되어 발전하고 있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군용 항공기는 Link-16 과 같은 전술데이터링크에 연동하여 향상된 전술 상황을 조종사에게 전시하여 임무 효율을 높이고 있다. 항공기에 탑재된 센서가 고성능화 되면서 얻어진 정확도가 향상된 센서 데이터와 전술데이터링크를 통해 수신한 전술상황정보를 융합하여 조종사에게 고신뢰성의 전술상황 및 임무 환경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임무 수행과 높은 생존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실시간 센서 데이터와 전술데이터링크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종합된 정보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융합 구조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