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TC tes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9초

포도주에 관한 연구 (제1보) - 포도주효모(酵母)의 분리(分離) 및 동정(同定) (Studies on the Grape Wine (Part 1) -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pe wine yeasts)

  • 박윤중;윤한교;이석건;윤복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445-450
    • /
    • 1975
  • 한국산(韓國産) 포도주 양조(釀造)에 적합(適合)한 우수균주(優秀菌株)를 얻기 위(爲)하여 대전시(大田市) 일원(一圓)에서 수집(蒐集)한 시료(試料) 포도 중(中)에서 213주(株)의 효모(酵母)를 분리(分離)하여 이들 중에서 우수(優秀)한 균주(菌株)로서 3주(株)를 선정(選定)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우수균주(優秀菌株)로 선정(選定)된 W-49, W-50 및 W-127은 포도주 양조(釀造)에 있어서 발효료을 속(速)히 청징화(淸澄化)하였다. 2. 저장(貯藏) 45일(日) 후(後) 청징화(淸澄化)된 포도주들의 $OD^{530}_{10}$를 비교(比較)할때 W-50 균주(菌株)의 것은 OD치(値)가 크고 색도(色度)가 매우 짙었다. 3. 관용시험(官龍試驗) 결과(結果) W-49와 W-50의 것이 가장 좋았으며 W-127의 것은 그 다음 순(順)으로서 대조(對照) 균주(菌株) Hb의 것과 비슷하였다. 4. 우수균주(優秀菌株)의 균학적(菌學的) 성질(性質)을 살펴 Lodder의 분류동정법(分類同定法)에 따라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W-49와 W-50의 균주(菌株)는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同定)되었으며 W-127의 균주(菌株)는 Saccharomyces pretoriensis로 동정(同定) 되었다. 5. 이들 우수균주(優秀菌株)의 TTC 정색(呈色) 반응(反應)은 모두 TTC Red 효모(酵母)로 나타났다.

  • PDF

산철쭉과 왜철쭉의 Dehardening과정에서의 피해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Injury during Dehardening of Rhododendron obtusum and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 방광자;설종호;주진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47-53
    • /
    • 1999
  • 상록성인 히노데 기리시마 철쭉(Rhododendron obtusum cv. Hinodegiri)과 반상록성인 산철쭉(Rhododendron yeooense var. poukhanense)의 늦겨울부터 초봄까지의 생장상태를 비교하여 이 시기에 발생하는 피해 원인을 규명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ehardening후 개화기의 관상가치는 산철쭉의 경우 관수처리 및 차광처리에 따른 관상가치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상록성 왜철쭉의 경우에는 특히 차광처리구에서 대조구나 관수처리구에 비해 높은 관상가치를 나타내었다. Dehardening과정의 동사점의 변화는 두 종류 모두에서 2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에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져 이 시기가 dehardening의 중요한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 시기에 상록성 왜철쭉은 차광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3^{\circ}C$ 정도 낮은 동사점을 기록하였으며, 관수처리구에서는 $1^{\circ}C$ 높은 동사점을 나타내었다. 같은 시기의 가지의 수분포텐셜과 수분함량의 변화를 측정 한 결과, 두 종류 공히 모든 처리구에서 2월부터 5월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때 산철쭉의 경우는 5월에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가 수분포텐셜 0.3MPa, 수분함량 3% 정도 높아 거의 비슷한 체내수분상태를 유지하였지만, 상록성 왜철쭉의 경우는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에서 수분포텐셜이 0.9MPa, 수분함량은 11%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관수처리구에서는 토양으로부터의 수분공급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더라도 광션에 의한 수분손실량의 증가가 크기 때문에 체내수분의 완전한 회복이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체내수분의 회복정도의 차이는 TTC법을 이용한 가지활력의 측정결과에서도 나타나 특히 상록성 왜철쭉의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에서 훨씬 높은 가지활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상록성 왜철쭉의 피해는 겨울철 동안 지속되었던 수분손실의 상태에서 봄철의 dehardening 시기에 체내수분을 원래의 상태대로 회복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 체내수분의 회복을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수분공급보다는 수분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그를 위해 차광처리가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가문비나무 자생집단(自生集團)의 구과(毬果), 종자(種子) 및 발아특성(發芽特性) 변이(變異) (The Variation of Cone,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arini) Carriere Populations in Korea)

  • 송정호;장경환;김두현;임효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75
    • /
    • 2011
  • 우리나라 가문비나무 천연집단의 구과,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변이를 조사하였다. 지리산과 덕유산 집단의 25개 개체목에서 구과를 채취하여 13가지 구과 및 종자특성과 3가지 발아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종자의 폭 및 무게, 종자날개지수 및 평균발아일수 특성을 제외한 9개 형질들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값은 구과와 종자의 무게, 충실율, TTC, 발아율 및 발아속도 형질들에서 29.7%~57.1% 범위의 높은 값을 보였으며, 나머지 형질들에서는 10% 내외의 비교적 변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형태적 특성은 지리산집단의 경우 구과 및 종자날개가 작으며 긴 경향을 보인반면 덕유산 집단이 종자가 크고 긴 형태를 나타냈다. 종자충실율과 TTC 활력은 지리산 집단이 덕유산 집단에 비해 각각 1.79배, 1.87배 정도 우수한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가문비나무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조건의 영향을 보면 발아적온은 $20^{\circ}C$였으며, 이때의 평균발아일수는 7.5일, 발아속도는 2.9개/일로 나타났다. 지리산 집단의 경우 평균발아율이 40.7%, 발아속도가 0.90개/일로서 덕유산 집단(17.7%, 0.37개/일)보다 발아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과,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국내 가문비나무 천연집단은 종자활력이 한정된 분포에 따른 근친교배 및 특정 개체의 편중개화 현상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어 소멸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iller 효모와 알콜 발효효모간의 원형질체 융합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rotoplast Fusant between Killer Yeast and Alcohol-Fermenting Yeast)

  • 정기택;방광웅;김재근;송형익;정용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5-64
    • /
    • 1990
  • 원형질체 융합을 통하여 killer 효모의 유전형질을 기존의 ethanol 발효효묘에 도입하므로서 야생의 killer 효모에 저항성을 가지고, 오염효모를 치사시킬 수 있으며, ethanol 발효능도 유지하는 새로운 효모균주를 개발하였다. 먼저 융합주의 생리적인 특성을 검토한 바, 융합주는 양천주에 비하여 세 적이 크고, DNA 함량이 높았으며, 증식도는 친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또 융합주를 최소배지에서 보존하는 것이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이었고, 7일 간격으로 7회 계대배양하므로서 유전적으로 안정화시킨 융합주를 6개월 간 계속 사용한 결과 segregant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매우 안정하였다. 또한 융합주는 핵 및 포자를 형성함을 관찰 할 수 있었고, TTC 정색반응에서 적색 및 pink 색을 띄었으며, 탄소원의 자화성 및 발효능은 천주와 유사하였는데, KCI, NaCl, sodium propionate alc cycloheximide 등에 대한 내성도 양친주의 한쪽을 따랐다. 그리고, 융합주를 20% glucose와 sucrose에서 72시간 및 60시간 배양했을 때, FWKS 260의 경우 각각 9.6v/v% 및 9.8v/v%의 ethanol을 생성하였고, 감수성주와 혼합배양한 결과 FWKS260의 경우 48시간 이후에는 감수성주를 거의 발견할 수 없었으며, 전주 및 융합주의 dsRNA plasmid를 추출하여 전기 2.5kb의 L 및 M dsRNA plasmidsms는 서로 연관성이 있으며, killer toxin 분비 및 저항성을 나타내는 유전자를 지배하는 것은 M dsRNA plasmid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 있었다.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 D-71과 Zygosaccharomyces rouxii SR-S의 세포융합으로 육성한 융합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usant from Protoplast Fusion between Saccharomyces cerevisiae D-71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SR-S)

  • 이종수;김찬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7-302
    • /
    • 1988
  • 고온발효성인 Sacch. cerevisiae D-71과 내삼투압성인 Zygosacch. rouxii SR-S를 세포융합시킨 후 유전적으로 안정한 융합주 FS-RN1를 선별하여 각종 특성을 조사하였다. FS-RN-1은 이를 4$^{\circ}C$에서 6개월 보관했을 때 5.8%의 친주복귀율을 보여 유전적으로 안정하였고 친주에 비하여 세포체적이 컸고 DNA 함량이 많았으며 유도기가 다소 길었다. 또한 FS-RN1은 TTC 정색 시험에서 홍색을 띠었고 5% NaCl 함유되어 있는 간장국가수분해액의 한천배지에서 포자를 형성하였다. FS-RN1의 NaCl에 대한 내성은 친주의 중간이었으나 탄소원 자화성, KC1과 sodium propionate 및 cycloheximide 내성은 친주중 어느 한쪽의 성질을 띠었다. FS-RN1를 72시간 배양한 후 회수한 세포를 ethyl acetate로 처리한 세포현탁액의 $\beta$-fructofuranosidase 활성은 건물 g당 24.2$\times$$10^{-3}$ IU로 친주보다 훨씬 높았다. 또한 FS-RN1의 발효력은 40% glucose와 20% sucrose를 3$0^{\circ}C$에서 4일간 발효시켰을 때 각각 6.0%(v/v)와 8.8%(v/v)의 에탄올을 생성하여 친주보다 높았다.

  • PDF

수면장애 노인의 운동유형별 뇌파와 혈 중 멜라토닌 농도 비교 (A Study of EEG and Melatonin in Plasma According to Exercise Type in Elderly with Sleep Disorder)

  • 김동현;김석범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9-37
    • /
    • 2018
  • 목적 : 수면장애는 노인에게 있어 다양한 이유로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의 수면장애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지속적인 운동습관이 수면장애의 치료적 효과를 줄 수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서 뇌파와 멜라토닌의 농도를 이용한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 일부지역의 노인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장애의 판단은 수면시간 6시간 이하의 경우(Kozier et al, 2004)와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의 점수를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로 정하였다. 운동유형별 적용은 저강도의 걷기운동, 중강도의 유산소 운동, 고강도의 저항성 근력운동을 적용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뇌파에서 파형을 체크하기 위하여 QEEG 8-System(LAXTHA Inc. KOREA) 기기와 수면의 질을 검사하기 위해서 수면다원검사에 사용하는 Polysomnograpy (Compumedics, Australia) 기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TTC(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염색과 H & E(Hematoxylin & Eosin) 염색을 통해 조직학적 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 중강도의 유산소 운동 후에 멜라토닌의 농도와 뇌파로 측정한 수면지수에는 긍정적인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중강도의 유산소 운동에서는 SWS가 저강도, 고강도 운동보다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SWS의 관찰지표인 델타파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결론 : 인체의 일주기성 리듬의 생화학적, 행동학적 기능에 변화를 가져오는 노인에게서 수면장애에 대한 지속적인 운동은 운동의 유형에 따라 효과가 다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유산소 운동이 다른 운동보다 노인 수면장애에 효과가 크다는 것을 멜라토닌의 농도와 뇌파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노인에게 맞춤형 운동을 제공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에 유용하고 건강한 말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Prospero Homeobox 1 and Doublecortin Correlate with Neural Damage after Ischemic Stroke

  • Dong-Hun Lee;Eun Chae Lee;Sang-Won Park;Ji young Lee;Kee-Pyo Kim;Jae Sang Oh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3호
    • /
    • pp.333-344
    • /
    • 2024
  • Objective : Markers of neuroinflammation during ischemic stroke are well characterized, but additional markers of neural damage are lacking. The study identified associations of behavioral disorders after stroke with histologic neural damage and molecular biological change. Methods : Eight-week-old, 25 g male mice of the C57BL/6J strain were subjected to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to induce ischemic stroke. The control group was a healthy wild type (WT), and the experimental group were designed as a low severity MCAO1 and a high severity MCAO2 based on post-stroke neurological scoring. All groups underwent behavioral tests,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staining and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Results : In TTC staining, MCAO1 showed 29.02% and MCAO2 showed 38.94% infarct volume (p<0.0001).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interleukin (IL)-1β was most highly expressed in MCAO2 (WT 0.44 vs. MCAO1 2.69 vs. MCAO2 5.02, p<0.0001). From the distance to target in the Barnes maze test, WT had a distance of 178 cm, MCAO1 had a distance of 276 cm, and MCAO2 had a distance of 1051 (p=0.0015). The latency to target was 13.3 seconds for WT, 27.9 seconds for MCAO1, and 87.9 seconds for MCAO2 (p=0.0007). Prospero homeobox 1 (Prox1) was most highly expressed in MCAO2 (p=0.0004). Doublecortin (Dcx) was most highly expressed in MCAO2 (p<0.0001). Conclusion : The study demonstrated that histological damage to neural cells and changes in brain mRNA ex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behavioral impairment after ischemic stroke. Prox1 and Dcx may be biomarkers of neural damage associated with long-term cognitive decline, and increased expression at the mRNA level was consistent with neural damage and long-term cognitive dysfunction.

갈근 에탄올추출물의 국소뇌허혈 모델에 대한 뇌신경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of Puerariae Radix extract on focal cerebral ischemia in mice)

  • 송정빈;최진규;이동헌;;이창원;부영민;최호영;김호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76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Pueraria lobata extract on focal cerebral ischemia in mice. Methods : Focal cerebral ischemia was induced by occlusion of the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using the intraluminal filament model. ICR male mice underwent 90 minutes of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followed by 24 hours of reperfusion. Mice were administered Pueraria lobata extract orally at the dose of 300mg/kg just prior to reperfusion. Rotarod test and balance beam test were practiced to assess sensory-motor function 23 hours after MCAo. In rotarod test, the latency to fall on the accelerating rotarod was recorded for 5 min. In balance beam test, the score was graded according to number of slips and latency to cross. The infarct volume was measured 24 hours after MCAo using 2%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staining. Results : Pueraria lobata extract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infarct volume by 27.3% compared to control group (p<0.05). In rotatod test, it also showed significant extension of latency time compared to control group ($67.82{\pm}15.08$ vs. $5.62{\pm}1.06$, p<0.001). In contrast to performance in rotarod test, that in balance beam test did not improve with Pueraria lobata extract treatment. Conclusions : We conclude that Pueraria lobata extract has a significant neuroprotective effect and reduces damage of sensory-motor function in MCAo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eraria lobata could be a potent neuroprotective agent.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이 허혈성 뇌손상 흰쥐의 인지 및 운동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hyaksungi-san(Wuyaoshunqi-san) on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after Ischemic Brain Injury in Rat)

  • 류기준;최진봉;신미숙;김선종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7
    • /
    • 2008
  • Objectives : Ohyaksungi-san(Wuyaoshunqi-san)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as a treatment for cerebrovascular diseases in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Ohyaksungi-san(Wuyaoshunqi-san) on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after ischemic brain injury, and also the expression of BDNF in hippocampus.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4 subgroups to evaluate the effects of Ohyaksungi-san(Wuyaoshunqi-san). As control groups, group I has no treatment during 1 week after ischemic brain injury and group II has no treatment during 2 weeks after ischemic brain injury. As experimental groups, group III has been treated with Ohyaksungi-san(Wuyaoshunqi-san) during 1 week after ischemic brain injury and group IV have treated with Ohyaksungi-san(Wuyaoshunqi-san) during 2 week after ischemic brain injury. Each group has been examined by tests as follows, neurological motor behavioral tests, cognitive motor behavior test and histological test. Neurological motor behavior tests consisted of limb placement test, beam-walking test and horizontal wire test. Cognitive motor behavior test was performed by using Morris water maze. In the histological test, TTC(2,3,5-triphenylteterazolium chloride) staining, hematoxylin & eosin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re used. Results : 1. The tests for motor function recovery change had significantly good result in the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s(p<.05). 2. The Morris water maze test on cognition also had significantly good result in the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s(p<.05). 3.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the expression of BDNF in hippocampus, more immune reaction was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Especially group IV has the greatest immune reaction. Conclusions : Ohyaksungi-san(Wuyaoshunqi-san) has good effects on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after ischemic brain injury, and also the expression of BDNF in hippocampus.

소풍탕이 허혈성 뇌손상 흰쥐의 인지 및 운동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Sopung-tang(Shufeng-tang) on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after Ischemic Brain Injury in Rats)

  • 추민규;최진봉;신미숙;김선종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5-60
    • /
    • 2008
  • Objectives : Sopung-tang(Shufeng-tang) is a famous herbal prescription that treated ischemic brain injur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pung-tang(Shufeng-tang) on con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after ischemic brain injury in rats. Methods : Male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Those rats caused ischemic brain injury by occlusion of MCA as Longa method. Control group I was per os normal saline for 7 days after ischemic brain injury. Control group II was per os normal saline for 14 days after ischemic brain injury. Experimental group I(Ex I) was taken with Sopung-tang(Shufeng-tang) for 7 days after ischemic brain injury. Experimental group II(Ex II) was taken with Sopung-tang(Shufeng-tang) for 14 days after ischemic brain injury. The author carried out neurological, cognitive motor behavior tests and histological assessment. Neurological motor behavior tests consist of limb placement test, beam-walking test and horizontal wire test. Morris water maze test was used for cognitive motor behavior test. In the histological assessment test, TTC(2,3,5-triphenylteterazolium chloride) staining, Hematoxylin & Eosin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re experimented. Results : 1. In neurological motor behavior tests, motor function recover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s(p<0.05). Especially Ex I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Ex I(p<0.05). 2. In Morris water maze test, congnitive motor function recover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p<0.05). Especially Ex I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Ex I(p<0.05). 3.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the expression of BDNF in hippocampus, more immune reaction was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Especially most immune reaction was experimented in the EX II.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opung-tang(Shufeng-tang) can treat on the con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after ischemic brain injury in rats. And it is effective method in expression of BDNF in hippocamp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