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H removal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3초

슬러리상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석유계탄화수소 오염토양의 처리에 있어서 초기농도 및 영양소의 영향 (Effects of Initial Concentration and Nutrients in Treatment of petroleum Hydrocarbon Contaminated Soils using a Slurry-Phase Bioreactor)

  • 김수철;남궁완;박대원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5-53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석유계탄화수소 오염토양의 처리에 있어서 초기농도 및 영양소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반응기는 용기형태의 슬러리상 생물반응기였다. 디이젤연료 오염토양의 처리 및 미생물성장에 대한 수행결과는 실험실규모에서 얻어졌다. TPH(총 석유계 탄화수소)의 거동 및 미생물성장은 생물학적 제거율과 연관하여 평가되었다. 50,000및 100,000 mg TPH/kg soil의 초기부하수준에 대한 영향이 연구되었다. 두 반응기에서의 수행결과는 각각 90.5%와 90.8%의 총체적인 TPH제거율 나타내었다. 그러나 50,000mg TPH/kg soil의 초기농도가 적용된 반응기가 초기농도 100,000mg TPH/kg soil이 적용된 반응기에 비하여 휘발에 의한 제거를 제외한 순수한 생물학적 TPH제거율에 있어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른 영양소량이 두 반응기에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성장율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본 결과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는 두 반응기에 대하여 초기농도가 다르게 적용되었다는 것이다. 초기농도가 영양소가 첨가되지 않은 반응기에 비하여 두배나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총체적 및 생물학적 TPH제거율에 있어서 영양소가 첨가된 반응기는 그렇지않은 반응기에 비하여 뛰어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f a Combined Microwave and Thermal Desorption Process for Contaminated Soil

  • Ha, Sang-An;Choi, Kyoung-Si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225-230
    • /
    • 2010
  • In order to treat soil contaminated with high percentages of water and petroleum, the combined microwave and thermal desorption process was studied, which was composed of the consecutive connection of two pre-treatment processes. For the thickness of the contaminated soil layer on the transfer conveyor belt, the optimal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removal rate was studied with respect to the duration of microwave exposure in the consecutive process combined with thermal desorption. The TPH removal rate when the contaminated soil layer thickness was 1 cm at 6 kW of microwave power was 80%. The removals rates for 2 and 3 cm soil layer thicknesses were both 70%. Under identical experimental conditions, the TPH removal rate for the microwave pre-treatment, when considering the soil particle size, was over 70%. The lowest TPH removal rate was achieved with a particle diameter of 2.35 mm. For contaminated soil with 30% water content, 6 kW and a thermal desorption temperature of $600^{\circ}C$ were the optimal operational conditions for the removal of THP. However, considering the fuel consumption cost, 4 kW and a thermal desorption temperature of $300^{\circ}C$ would be the most economic conditions.

저온 열 탈착에 의한 유류 오염토의 처리 조건의 연구 (A Study on Treatment Conditions of Oil Contaminated Soil by Low 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 하상안;염혜경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956-960
    • /
    • 2007
  • 본 연구 목적은 유류오염토의 TPH(석유계 총탄화수소) 및 BTEX(벤젠, 톨루엔, 에틸렌, 크실렌)를 제거하기 위해 저온 열탈착 공법을 사용하였다. 열 탈착 기술은 오염원의 종류나 농도에 관계없이 단기간에 완전처리가 가능하며, 공정의 신뢰도가 높아 현장처리 적용이 용이한 공정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저온 열탈착 공법의 온도범위와 체류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TGA 곡선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해 도출된 온도범위인 $300\sim500^{\circ}C$ 범위에서 BTEX 및 TPH 의 농도변화를 실험한 결과, BTEX는 $300^{\circ}C$ 운전 시 5분 내에 완전히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PH 의 경우, $300^{\circ}C$ 운전 시 65%의 제거율을 나타냈으며, $500^{\circ}C$ 운전 시에는 7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체류시간에 따른 TPH 제거율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Surfactant-enhanced Soil Washing using Tween and Tergitol Series Surfactants for Kuwait Soil Heavily Contaminated with Crude Oil

  • Heo, Hyojin;Lee, Minhee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5호
    • /
    • pp.26-33
    • /
    • 2015
  • Batch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a surfactant-enhanced soil washing process for soils heavily contaminated with crude oil in Kuwait. TPH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ted soil was 223,754 mg/kg, sampled from the bottom of a vaporized oil extraction pond in the Burgan reservoir field. Commercialized eight nonionic surfactants (Tween and Tergitol series) were used to measure the aqueous solubility for the crude oil. Among them, two Tergitol surfactants were used to evaluate the TPH removal efficiency of the surfactant-enhanced soil washing for heavily contaminated Kuwait soil. The solubility of the crude oil in surfactant solution was in the order Tergitol 15-S-7 > Tergitol 15-S-9 > Tergitol 15-S-12 > Tween-80 > Tween-20 > Tween-60, which showed that the crude oil solubilities of the Tergitol ser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Tween series. The TPH removal efficiencies of 2% and 5% Tergitol 15-S-9 solution were 59% and 65%, respectively. Because the residual TPH concentration in the washed soil was still higher than the clean-up level (10,000 mg/kg), the soil washing process was repeated five times. After the fifth washing, the residual TPH concentration in the soil went down to 7,680 mg/kg and its removal efficiency was 97%.

고형물함량 및 혼합강도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석유계탄화수소 오염토양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lids Content and Mixing Speed in Treatment of Petroleum Hydrocarbon Contaminated Soils using a Bioreactor)

  • 김수철;남궁완;박대원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3-30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슬러리상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석유계탄화수소 오염토양의 처리에 있어서 고형물함량 및 혼합강도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디이젤오염토양의 슬러리상 생물학적 처리에 대한 수행결과는 실험실규모에서 얻어졌고 TPH(총 석유계탄화수소)는 생물학적 처리와 연관하여 평가되었다. TPH의 생물학적 및 비생물학적 거동은 디이젤내의 화합물에 의해 이전에 노출되지 않은 토양을 이용하여 결정되었다. 투입량에 대한 반응기부피는 고형물함량을 최대화함으로써 줄여질 수 있다. 고형물함량 50% 및 20%를 적용한 결과 생물학적 TPH 제거율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57.5%:61.6%)를 보여주었다. 혼합과 토양입자의 부유는 오염물의 탈착 및 생물학적 분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두가지 혼합강도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70rpm을 이용한 반응기의 경우 20rpm을 적용한 반응기에 비하여 토양입자의 부유 및 TPH의 제거율에 있어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20rpm을 적용한 반응기의 경우 토양입자의 완전한 부유가 일어나지 않았다.

  • PDF

초기농도가 파일럿 규모의 디젤 오염토양 콤포스팅 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itial Concentration on Pilot-Scale Composting of Diesel-Contaminated Soil)

  • 임재량;박준석;황의영;남궁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5-41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itial concentration on pilot-scale composting of diesel-con-laminated soil. Sandy soi] was used in this study. Target contaminant, diesel oil, was spiked. at about 10,000, 25,000, and 50,000 mg TPH/kg of dry roil. Mit ratio of soil to sludge was 1:0.5 as wet weight basis. Removal efficiencies for initial concentrations of 12,966,23,894 and 51,042 mg TPH/kg were 90, 93 and 54%, respectively, during 33 days of composting. Normal alkanes in TPH ranged from 15 to 22% in initial soils. Volatilization of individual normal alkane in 1,999 mg n-alkanes/kgwas completed within 4 days, while n-alkane compounds of Cl1-Cl4 in 5,270 and 9,836 mg n-alkanes/kg were volatilized continuously during 33 days of composing operation. The first order degradation rate con-stants for 12,966, 23,894, and 51,042 mg TPH/kg were 0.058, 0.076, and 0.022/day, and those for 1,997 5,270, and 9,836 mg n-alkanes/kg were 0.093, 0.100, and 0.019/day, respectively. Considering TPH removal rate, $CO_2$porduction rate, and dehydrogenase activity, the concentration of 51,042 mg TPH/kg inhibited biodegradation of diesel-composting.

미생물활성화제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복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ediation using Microbial Activator from Oil-Contaminated Soil)

  • 이채영;정찬교;김종문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2호
    • /
    • pp.41-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활성화제를 토양경작법에 적용하였을 경우 토양을 복원함에 있어 타 공법에 비해 장시간 걸리는 단점을 최소화하고, 빠른 시일 내에 친환경적으로 복원이 가능한지에 대한 타당성 조사와 더불어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저감 능력을 확인하였다. Pre-test의 개념으로 미생물활성화제의 성능과 분해 효율을 lab-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유류오염 토양의 지표인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처리 효과를 확인한 결과, 20일 정도까지는 자연분해와 미생물활성화제의 차이가 미미하게 발생하였으나, 20일 경과 후에는 처리 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층에 따른 제거율을 살펴본 결과, 상층 85.8 %, 중층 84.4 %의 제거율을 나타냈으나, 하층에서는 66.10 % 제거율을 나타냈다. 대조군에서 자연적으로 줄어드는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저감율이 평균 71.1 %임을 근거로 봤을 때 미생물활성화제가 하층까지 충분하게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었으며, 이는 토양 더미의 문제로 판단된다. 현장 실험에서는 토양 더미가 1 m 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더미 높이를 0.6 m 이하로 낮추게 되면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처리효율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디젤오염토양복원을 위한 고온공기 주입/추출 공정의 토양 파일 공법에의 적용 연구

  • 박민호;박기호;홍승모;고석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63-67
    • /
    • 2004
  • A field pilot study on 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 by hot air injection/extraction process constructing soil piling system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ot air on the removal of diesel and each constituent. After the heating process of 2 months, the equilibrium temperature of soil reached to 10$0^{\circ}C$ and soil TPH concentration was reduced to about 72% against the initial concentration. Additional extraction process of 2 months induced the continuous extraction of residual diesel and the increment of microbial activity, which made soil TPH concentration reduced to 95%. In addition biological removal of non volatile constituents in diesel was verified indirectly and the removal pattern of each DRO(diesel range organic) as soil temperature was explained.

  • PDF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세정 성능 평가 (Performance of Soil Flushing for Contaminated Soil Using Surfactant)

  • 이채영;장영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7-2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석유계총탄화수소와 톨루엔을 토양세정에 의해 제거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회분식 실험 결과 Triton X-100과 SWA 1503의 경우 각각 79.0%와 69.0%의 TPH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의 농도 1-11mmol/L에서 계면활성제 농도 증가에 따라 TPH 제거효율은 증가하였으나 주입량 대비 제거효율 고려 시 최적 농도는 1mmol/L로 나타났다. 칼럼 실험 결과 최적의 유속은 0.3mL/min으로 나타났다. PAM(Physical Aquifer Model) 실험 결과 3 PV(Pore Volume) 동안 토양세정을 통해 주입한 톨루엔 중 약 5.5%가 제거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세정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의 재순화 또는 재이용을 통한 최적 운전조건의 도출이 필요하다.

현장규모의 유류오염토양 세척공법에 다단연속탈착 및 교반탈착기법을 이용한 세척공정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ll-scale Soil Washing Process Improved by Multi-stage Continuous Desorption and Agitational Desorption Techniques to Remediate Petroleum-contaminated Soils)

  • 서용식;최상일;장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5호
    • /
    • pp.81-87
    • /
    • 2008
  • 최근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토양오염도 조사결과, 유류저장시설에서의 누출 및 사격장내 중금속에 의한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오염토양 정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다단연속탈착기법과 교반탈착기법을 적용한 현장규모의 유류오염토양 세척공정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 각각 다른 세지역의 정화대상부지 오염토양 중 미세토사가 29.3, 16.6, 7.8% 함유된 토양을 사용하였으며, 초기 오염농도는 각각 5,183, 2,560, 4,860 mg/kg이였다. 세척실험에 사용한 세척제로는 물을 이용하였으며 세척수를 6개월 이상 100% 재활용하여 세척공정을 운영하였다. 현장규모 세척 실험 결과 각기 다른지역의 오염토양 중 3.0 mm 이상의 오염토양은 세척수 분사압력 3.0 kg/$cm^2$의 고압분사를 통한 습식분리 후 TPH 농도는 280, 50, 356 mg/kg으로 초기농도 대비 각각 85.2, 98.2, 89.9%의 TPH 제거율을 보였다. 3.0${\sim}$0.075 mm의 모래입경에 대하여 1차 물리적 탈착 후 TPH 농도 [초기 입경별 오염부하량 대비]는 834, 1,110, 1,460 mg/kg 이었으며, 추가적인 세척공정의 2차 연속 물리적 탈착인 다단연속탈착기법을 통한 TPH 농도는 각각 330, 385, 245 mg/kg으로 초기농도 대비 각각 92.4, 90.6, 90.1%의 세척효율을 보였다. 미세모래 입경(0.075${\sim}$0.053 mm)에 대한 다단연속세척 후 TPH 농도는 791, 885, 1,560 mg/kg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인 교반 탈착 후 TPH 농도는 각각 428, 440, 358 mg/kg으로 초기농도 대비 92.0, 93.9, 92.9%의 제거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토양세척기법은 TPH 법적기준을 맞출 수 있는 전략적 복합공정을 통해 다양한 오염토양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