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NF-a

검색결과 3,377건 처리시간 0.036초

사람의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에 tumor necrosis factor (TNF)-α로 자극 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의 분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to induc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 from the human dental pulp, gingival,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임은미;박상혁;김덕수;김선영;최경규;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1호
    • /
    • pp.26-36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in vitro 상에서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를 neuropeptide (substance P,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s (CGRP))및 inflammatory cytokine (TNF-$\alpha$)으로 자극 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의 생성 및 발현을 관찰한 것으로 치아와 치아 주변 조직에 염증이 존재할 경우 neuropeptide 및 inflammatory cytokine과 치아 경조직 혹은 치조골의 remodeling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시편으로는 우식이 없는 건전한 제3대구치(n = 10)를 사용하였으며, 발거 후 즉시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보관하고 치아에서 치은과 치주인대 조직을 채취하였다. 치아를 종축으로 절단하고 치수 조직을 채취하여 조각으로 분리한 후 시편을 PBS에서 세 번 세척하였다. Plate에 치수, 치은, 치주인대 시편 조각을 위치시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을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를 culture dish에서 confluence에 도달할 때 까지 배양하여 Fetal Bovine Serum (FBS)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환하여, $37^{\circ}C$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1회 세척하고 Substance P ($10^{-8}\;M$, $10^{-5}\;M$)가 포함된 배양액과 Mock (배양액만 포함됨)으로 4시간, 24시간동안 자극하였다. CGRP ($10^{-6}\;M$)을 함유한 배양액 및 TNF-$\alpha$(2 ng/mL)를 포함한 배양액으로 각각 24시간동안 세포를 자극하였다. 각각 다른 농도의 TNF-$\alpha$(2 ng/mL, 10 ng/mL, 100 ng/mL)를 포함한 배양액으로 24시간 동안 세포를 자극 한 후 RNase protection assay 및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시행하였다. 결과: SP와 CGRP는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의 MMPs발현에 관여 하지 않았다. TNF-$\alpha$로 24시간 자극 시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에서 MMP-1,-12, -13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반면, TNF-$\alpha$는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들에서 TIMP-3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서로 다른 농도의 TNF-$\alpha$(2 ng/mL, 10 ng/mL, 100 ng/mL)로 24시간 자극 시 MMP-1과 MMP-13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결론: 치아와 치아 주변 조직에 염증이 존재 시 TNF-$\alpha$가 증가함에 따라 치수, 치은, 치주인대로부터의 치아의 경조직 혹은 치조골의 remodeling에 관여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Expression of TNF-${\alpha}$ and IL-$1{\beta}$ in Splenic Dendritic Cells and Their Serum Levels in Mouse Sparganosis

  • Yang, Hyu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2호
    • /
    • pp.191-194
    • /
    • 2011
  • Sparganosis is a tissue invading helminthiasis infecting intermediate hosts, including humans. Strong immune responses are expected to occur in early phases of infection. Thus, we investigated cytokine expressions in splenic dendritic cells and in sera after experimental infection of mice. In splenic dendritic cells, TNF-${\alpha}$ and IL-$1{\beta}$ expression peaked at week 1 and week 3 post -infection (PI), respectively, and also early phase (week 2 PI) depressed cytokine expression was noticed. Serum IL-$1{\beta}$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t week 2 PI and peaked at week 6 PI, and that of TNF-${\alpha}$ peaked at week 6 PI. These results showed that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and IL-$1{\beta}$, are chronologically regulated in mouse sparganosis.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 환아에서 신침범에 대한 위험인자 분석 및 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의의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Significance of Tumor Necrosis Factor(TNE)-$\alpha$ in Henoch-$Sch\ddot{o}nlein$ Nephritis)

  • 송영준;하태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4권1호
    • /
    • pp.40-47
    • /
    • 2000
  • 목 적 : Henoch-$Sch\ddot{o}nlein$(HS)자반증에서 신증상은 가장 심각한 증상이고 HS자반증의 예후와 관련되어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immunoglobulins, 보체계, interleukin(IL)-1, interleukin(IL)-6 또는 tumor necrosis factor(TNF)-$\alpha$등과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s 등의 병인론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S자반증의 임상 증상들을 신침범 유무에 따라 비교하여 신침범의 임상적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급성기와 회복기 혈청 및 뇨중 TNF-$\alpha$의 농도를 각각 측정하여 신침범 환아에서 병인론적 역할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3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소아과를 방문한 HS자반증 환아 12명, HS 신염 환아 7명, 연령별 대조군 5명을 대상으로 환아의 연령, 성별, 전구증상, 복통, 관절통, 자반의 정도와 지속기간, 스테로이드의 사용유무 등에 따른 신증상 발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대상 환아들의 혈청은 내원 당시 채혈하여 3,000g,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20^{\circ}C$에 보관하였으며 소변은 내원 당시 채취하여 $-20^{\circ}C$에 보관 후,R & D system(Mineapolis, USA)의 $Quantikine^{TM}$ human TNF-$\alpha$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TNF-$\alpha$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임상인자 중 자반이 4주 이상 지속되는 지속성 자반증 환아에서 신염 발생율이 의미있게 높았으며 (P=0.0018), 복통이나 관절통 등으로 인하여 급성기에 사용한 스테로이드는 신염의 발생율과는 연관성이 없었고 자반의 지속기간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급성기 혈청 TNF-$\alpha$는 신염을 동반한 HS자반증 환아에서 연령별 대조군이나 신염이 없는 HS자반증 환아보다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P=0.027, P=0.012) 뇨중 TNF-$\alpha$농도는 연광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혈청 TNF-$\alpha$의 상승과 임상적 위험인자와의 연관성을 조사해 보았을 때 지속적 자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38). 결 론 :혈청 TNF-$\alpha$농도는 HS자반증에서 신염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므로 임상적 위험인자로 자반의 지속기간과 함께 HS자반증 환아의 신침범에 대한 예측인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HS신염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TNF-$\alpha$에 대한 생성억제제나 특이항체 등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폐 상피세포에서 NF-${\kappa}B/I{\kappa}B$ 경로에 의한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Through NF-${\kappa}B/I{\kappa}B$ Pathway in Lung Epithelial Cells)

  • 박계영;이승희;황보빈;임재준;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332-342
    • /
    • 2000
  • 연구배경 :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은 염증성 폐질환의 중요한 매개물질이다. 폐 상피세포는 염증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interleukin, chemokines, colony stimulating factors와 growth factor등을 생산 및 분비함으로써 국소 염증 부위에서의 사이토카인 network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폐 상피세포에서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 기전에 대한 이해는 염증성 폐질환의 기전규명과 이에 기초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에 생각된다. 대부분의 사이토카인은 NF-${\kappa}B$전사인자에 의해 발현되는데 폐 상피세포에서 염증매개 사이토키인의 발현과 NF-${\kappa}B/I{\kappa}B$ 경로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방법 : BEAS-2B, A549, NCI-H157, NCI-H719 세포에서 IL-1$\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IL-8과 TNF-$\alpha$ mRNA의 발현 양상을 평가하였고 이들의 발현과 관찰하였고 NF-${\kappa}B/I{\kappa}B$ 경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IL-l$\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 및 $I{\kappa}B{\alpha}$$I{\kappa}B{\beta}$의 분해 양상을 관찰하였다. 폐 상피세포의 종류에 따른 NF-${\kappa}B/I{\kappa}B$ 경로 조절의 기전을 규명하고자 IL-1$\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I{\kappa}B{\alpha}$의 인산화와 기저상태에서 IKK$\alpha$의 발현을 평가하였다. 결과 : BEAS-2B, A549, NCI-H157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I{\kappa}B{\alpha}$$I{\kappa}B{\beta}$가 분해되었고 NF-${\kappa}B$의 활성화가 관찰되었으며 IL-8과 TNF-$\alpha$mRNA의 발현이 유도되었다. NCI-H719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I{\kappa}B$ 분해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 및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BEAS-2B, A549, NCI-H157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kappa}B$의 인산화가 관찰되었지만 NCI-H719 세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기저상태의 IKK$\alpha$ 발현은 세포간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폐 상피세포에서 NF-${\kappa}B/I{\kappa}B$ 경로는 염증매개 사이토카인 발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일부 세포에서는 NF-${\kappa}B/I{\kappa}B$ 경로 조절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IKK보다 상위 단계의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의 이상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발효 인삼꽃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마우스 사이토카인 IL-6, TNF-α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 from Fermented Flower-buds of Panax ginseng C.A. Meyer on Mouse Cytokine IL-6, TNF-α Production)

  • 정수지;김경희;손화영;육홍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3-49
    • /
    • 2014
  • 생체 내 실험에서 발효 인삼꽃 추출물(FM), 발효하지 않은 인삼꽃 추출물(FD)과 대조군으로 생리식염수를 2주간 마우스 체중 kg 당 100, 200 mg/kg B.W.의 농도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후 LPS에 의해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TNF-${\alpha}$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IL-6는 발효 LPS로 자극한 경우, 두 가지 농도에서 모두 처리한 군에 비해 높은 증식능을 나타내었고, LPS로 자극한 결과, 특히 발효 인삼꽃 추출물 200 mg/kg B.W.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IL-6 분비량을 보였다. TNF-${\alpha}$의 경우, 100 mg/kg B.W.와 200 mg/kg B.W. 두 농도 모두에서 LPS로 자극하지 않은 경우, 낮은 증식 효과를 보여주었고, 자극한 경우, 인삼꽃 시료를 첨가한 군이 대조군보다 낮은 TNF-${\alpha}$ 분비량을 보였으며, FM에서 FD보다 더 TNF-${\alpha}$를 억제하는 효과가 큰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FD의 사이토카인 IL-6, TNF-${\alpha}$ 생성 효과는 200 mg/kg B.W. 농도 투여 시 효과적으로 면역 세포와 면역 기관의 주요 기능을 증진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인삼꽃 발효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개발과 더불어 산업적 측면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moter Polymorphism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Develop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Obese Children

  • Yang, Hye-Ran;Ko, Jae-Sung;Seo, Jeong-Kee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5권1호
    • /
    • pp.44-51
    • /
    • 2012
  • Purpose: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polymorphism has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 obese adults, and known to be a mediator of insulin resistanc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ole of TNF-${\alpha}$ promoter polymorphisms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development of NAFLD in obese children. Methods: A total of 111 obese children (M:F=74:37; mean age, $11.1{\pm}2.0$ yrs) were included.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s (group I, n=61), children with simple steatosis (group II, n=17), and children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group III, n=33). Serum TNF-${\alpha}$ levels,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TNF-${\alpha}$ -308 and -238 polymorphisms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NF-${\alpha}$ polymorphism at the -308 or the -238 loci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 III ($p$=0.134 and $p$=0.133). The medians of HOMA-I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 III ($p$=0.001), with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I and group III ($p$=0.007).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HOMA-IR among the genotypes at the -308 locus ($p$=0.061) or the -238 locus ($p$=0.207) in obese children. Conclusion: TNF-${\alpha}$ promoter polymorphisms at the -308 and -238 loci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NAFLD in children; nevertheless, insulin resistance remains a likely essential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NAFLD in obese children, especially in the progression to NASH.

백굴채가 대식세포의 NO 및 $TNF-{\alpha}$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elidonium majus on NO and $TNF-{\alpha}$ Production in Macrophages)

  • 김홍준;문석재;김동웅;문구;원경숙;윤준철;김유경;원진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8-147
    • /
    • 2003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by which Chelidonium majus (CM) regulates nitric oxide (NO) production. Methods : Using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the mechanism by which CM regulates NO or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production was examined. NO release was measured by the Griess method. $TNF-{\alpha}$ production was measured by the ELISA method. The protein extracts were prepared and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inducible NOS(iNOS) expression and nuclear factor kappa $B(NF-{\kappa}B)$ activation by Western blotting. Results : When CM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recombinant $interferon-{\gamma}{\;}(rIFN-{\gamma})$, there was a marked cooperative induction of NO production. CM had an effect on NO production by itself. The expression of the iNOS gene was increased in $rIFN-{\gamma}$ plus CM-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s and almost complete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pyrrolidine dithiocarbamate (PDTC), an inhibitor of $NF-{\kappa}B$. The $NF-{\kappa}B$ activation was increased in rIFN-{\gamma} plus CM-induced peritoneal macrophages. The increased production of NO from $rIFN-{\gamma}$ plus CM-stimulated peritoneal rnacrophages was decreased by the treatment with $N^{G}-monomethyl-{_L}-arginine{\;}(N^{G}MMA){\;}N^{\alpha}-Tosyl-Phe$ chloromethyl ketone (TPCK) , and was almost complete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PDTC. Furthermore, treatment with CM alone or rIFN-{\gamma} plus CM in peritoneal macrophages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NF-{\alpha}$ production. PDTC decreased CM-induced $TNF-{\alpha}$ production significantly. After CM treatment in HT-29 or AGS cells, cell viability decreased. Conclusions :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M increases the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by{\;}rIFN-{\gamma}-primed$ macrophages and suggest that NF-B plays a critical role in mediating these effects of CM.

  • PDF

이종이식된 인체 편평상피세포암에 대한 종양괴사인자의 방사선감작효과에 대한 연구 (The Radiation Sensitizer Effect of $TNF-{\alpha}$ on Heterotransplanted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

  • 정필상;김한균;윤형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55
    • /
    • 1998
  • Background and Objectives: Numerous studies were conducted to develop radiosensitizers to increase antitumor effect and decrease systemic toxicity of ionizing radiation. In current study, the authors tested the synergistic effect of mutant $TNF-{\alpha}(M_3S)$ with radiation therapy on heterotransplanted hypop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 SNU-1041 cell line was heterotransplanted to nude mice. When the tumors grew up to $70mm^3$ or more, the animals were randomly placed into 4 groups(n=10/group). Group I : 0.1ml of normal saline injected intraperitoneally once a day for 5 days. Group II : 10ug of $TNF-{\alpha}$ injected intraperitoneally once a day for 5 days. Group III : a single radiation dose of 10 Gy per animal delivered. Group IV : single radiation dose of 10 Gy was delivered 1 hour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TNF-{\alpha}$ 10 ug. Results: Four weeks after treatment, group IV showed the least tumor growth during the 4 weeks follow up and the relative tumor growth rate(RTG) of each groups after 4 weeks were 31, 5.8, 10, and 3.2 respectively(p<0.05). Conclusion: These study suggests that pretreatment with $TNF-{\alpha}$ can significantly enhance the effects of radiation therapy and further studies may be needed for clinical trials of combination treatment of $TNF-{\alpha}$ and radiation.

  • PDF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면역증진 효능 (Immunostimulating Effect of Mycelium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 이병의;유시용;김의한;김영희;곽경아;송호연
    • 생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57-162
    • /
    • 201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munostimulating effect of mycelia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PLM) on human monocyte THP-1 and rat peritoneal macrophage cell, we examined measuring cytokine secretion (IL-6 and TNF-${\alpha}$). The production of IL-6 and TNF-a in human monocyte THP-1 was slight increased dose-dependently when the cells were challenged with PLM for 72 hr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treatment of PLM with LPS augmented the production of IL-6 and TNF-a in human monocyte THP-1.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treatment of PLM with LPS augmented the production of IL-6 and TNF-${\alpha}$ in human monocyte THP-1. The production of IL-6 and TNF-${\alpha}$ in rat peritoneal macrophage was significantly enhanced when the cells were treated PLM with LPS for 72 hrs. Moreover, the proliferation rate of rat spleen cells wa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a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PLM and Concanavalin A.

Saxatilin, a Snake Venom Disintegrin, Suppresses TNF-α-induced Ovarian Cancer Cell Invasion

  • Kim, Dong-Seok;Jang, Yoon-Jung;Jeon, Ok-Hee;Kim, Doo-Sik
    • BMB Reports
    • /
    • 제40권2호
    • /
    • pp.290-294
    • /
    • 2007
  • Saxatilin is a disintegrin known to inhibit tumor progression in vivo and in vitro. The role of saxatilin in cancer cell invasion was examined by a modified Boyden chamber assay in MDAH 2774 human ovarian cancer cell line. Saxatilin (50 nM) significantly inhibited cancer cell invasion induced by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alpha$). Saxatilin also reduced MMP-9 mRNA levels in cancer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NF-$\alpha$-induced MMP-9 activity was reduced by the treatment of saxatil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MMP-9 is an important mechanism for the tumor suppressive effects of saxatilin in MDAH 2774 human ovarian cancer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