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MN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8초

컴포넌트 아웃소싱에 기반한 NMS 디자인 모델 (NMS Design Model based on Component Outsourcing)

  • 이광형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7호
    • /
    • pp.851-860
    • /
    • 2002
  •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관리함에 따라 통합되고, 효율적인 통신 네트워크 오퍼레이션 및 유지 관리를 목적으로 한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TMN은 구현과정에서 서로 다른 플랫폼상에서 개발되어 왔기 때문에 TMN 시스템 에이전트의 클래스를 개발하고 유지하는 단계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를 기반으로 한 컴포넌트 아웃소싱 모델을 제안한다.

  • PDF

CORBA를 이용한 TMN기반의 경보감시 시스템 (A TMN-based Alarm Surveillance System using CORBA)

  • 임승덕;홍원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5권6호
    • /
    • pp.758-770
    • /
    • 1999
  • 최근 급속한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이들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를 위해 SNMP와 CMIP등과 같은 표준이 등장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점점 더 다양하고 복잡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자 이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TMN은 개념에 있어서 보편성 및 가장 일반화된 관리개념이며 최종적으로 도달할 네트워크 관리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CORBA는 분산환경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 기술을 접목한 CORBA와 TMN을 통합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CORBA/TMN 통합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네트워크 통합 관리 구조를 정의하고 TMN의 기능중 Alarm Surveillance를 구조에 맞춰 구현하였다. 구현된 Alarm Surveillance System은 다양한 대리자들로부터 보고되는 여러 형태의 Alarm 정보에 대해, 처리 및 운용자에 대한 보고수행 등을 일관성 있게 처리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제시된 Alarm Surveillance System은 사용자에게 일관성 있는 관리행위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관리구조가 적용된 복잡한 네트워크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네트워크로부터 필요한 통계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등의 편의를 제공할 것이다.Abstract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the need for the network management appeared. So two representative standardards, SNMP and CMIP, have been applied to many network management system. But the more complex and vaious network are constructed, the demand for more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technology grew bigger. Currently, TMN technology is beginning to be widely applied to the management of networks. CORBA has been widely adopted for developing distributed systems in many areas of information technology. CORBA provides the infrastructure for the interoperability of various object-oriented management application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and, recently there have been world-wide research for the integration of CORBA within a TMN framework.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enable network management using CORBA techonology and some are working on already. This paper defines the architecture for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based on current CORBA/TMN integration technologies and then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alarm surveillance system which was applied to the defined architecture. The prototype implementation was done using IONA orbix. The proposed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framework will provide users with consistent management operations and ability to manage complex and various networks and to gather statistical data from those networks.

성능분석 모델을 이용한 ATM 교환기 TMN EMS의 용량 측정 기법 (A Capability Measurement Scheme Using a Performance Analysis Model for the TMN EMS of ATM Switching Systems)

  • 강병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8S호
    • /
    • pp.2663-267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ATM 교환기 TMN EMS의 성능 분석을 위한 큐잉 모델을 제시한다. ATM 교환기 관리를 위한 TMN 시스템은 관리자, 대행자, ATM 교환기 등이 계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관리자는 여러개의 대행자와 통신하며, 대행자는 ATM 교환기의 관리 기능을 대행한다. 우리는 EMS를 구성하는 관리자의 용량과 성능을 예측하기 위하여 큐잉 모델을 정의하였다. 이 모델을 통하여 EMS의 평균 서비스 시간과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DWT 기반 H.263에 적합한 적응 양자화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ive Quantizer Appropriate to DWT-based H.263)

  • 심우성;이용식;정상연;허도근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11호
    • /
    • pp.112-119
    • /
    • 1999
  • 동영상 표준안인 H.263의 성능평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TMN5는 변환부호화방법으로 DCT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어 블록킹 현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MN5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DCT를 DWT로 대체하고 이 구조에 적응하는 양자화기를 설계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평균 PSNR측면에서 휘도 신호는 평균 0.35dB 정도의 손실을 보였으나 색차 신호는 평균 2dB 정도 개선되었다. 주관적 화질평가에서도 블록킹 현상이 감소되므로 TMN5에 비하여 우수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같은 전송속도에서 더 많은 프레임을 전송함으로 화면 드롭 현상을 줄일 수 있다.

  • PDF

통합 통신망 관리를 위한 TINA manager와 TMN agent의 연동방안 연구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with TINA manager and TMN agent)

  • 김호철;김영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5A호
    • /
    • pp.751-762
    • /
    • 2000
  • 차세대 정보통신망의 중요한 요건으로 이동성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통신망 자원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위해서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현재 ATM과 SDH 기반의 초고속 통신망과 IP 기반의 인터네트워킹 기술이 차세대 정보통신망의 주축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정보 통신망 요소 시스템들(교환기 및 전송장비, 단말장비, 라우터 등)의 관리는 TMN(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Network)과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을 기반으로 하는 agent들이 적용될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망 관리 agent를 갖는 통신망 자원들을 통합관리하고 광역 정보통신망의 효율적인 구성을 위해서는 분산환경을 기반으로 한 통신망 관리체계가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통신망 구조가 TINA(Telecommunications Information Networking Architecture) 체계의 통신망 관리구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 통신망 관리를 위한 TINA manager와 TMN agent 사이의 연동(interworking)방안 및 기능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연동구조는 관리객체를 변환하는 기 맛\ulcorner방식과는 달리 TINA 체계의 통신망관리 계층중 EML(Element Management Layer)의 서브네트워크 관리동작을 통신망 요소 시스템의 TMN agent 관리 동작으로 변환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하고 있다. 이는 specification translation을 수행하는 JIDM(Joint Inter-Domain management) 구조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시스템의 처리부담이 작은 장점을 갖는다.

  • PDF

분산 시스템 상에서 Farmer Model을 이용한 통신망 관리 에이전트 개발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gents using Farmer Model on Distributed System)

  • 이광형;박수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2493-2503
    • /
    • 1999
  • 여러 통신망을 총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고자 출현한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은 구축과정에서 서로 다른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등의 상이한 플랫폼 환경 하에서 개발되는 분산객체 내 클래스의 개발 및 유지보수에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게 된다. 대표적인 문제점으로는 TMN 시스템 내의 모든 에이전트들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블록들을 중복하여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하여 TMN 에이전트의 개발에 있어 다중 플랫폼을 지원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Farmer 모델에 기본을 둔 Farming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Farming 방법론은 각각의 분산객체에 중복되어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컴포넌트들을 플랫폼에 독립적인 컴포넌트웨어 형태로 변형하여 플랫폼독립형 클래스저장소(PICR)에 저장시켜 놓은 후 각 분산객체내의 프레임워크에 명시된 대로 실행에 필요한 컴포넌트웨어들을 PICR에서 정적 또는 동적으로 로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Farmer 모델을 이용하여 개인휴대통신망의 분산 TMN 에이전트를 디자인하고 구현하였다.

  • PDF

ATM교환기 TMN EMS의 성능 분석 모델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TMN EMS with ATM Switching Systems)

  • 강병도;김태완;이길행;우왕돈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44-5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ATM 교환기 TMN EMS의 성능 분석을 위한 큐잉 모델을 제시한다. ATM교환기 관리를 위한 TMN 시스템은 관리자, 대행자, ATM교환기 등이 계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관리자는 여러개의 대행자와 통신하며, 대행자는 ATM 교환기의 관리 기능을 대행한다. 우리는 EMS를 구성하는 관리자의 용량과 성능을 예측하기 위하여 큐잉 모델을 정의하였다. 이 모델을 통하여 EMS의 평균 서비스 시간과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객체 지향 기법의 신호망 관리 방식 (Signalling Network Management Using Object-Oriented Methods)

  • 김태형;고병도;류재철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969-982
    • /
    • 1996
  • 효율적인 통합 통신망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ITU-T 및 ISO 등 여러 국제 기구에서는 망 관리를 위한 표준안 제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ITU-TS의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이다. 본 고에서는 TMN 기반의 신호망 운용 관리를 위하여,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SIGNOS(SIGnalling Network Operating System) 시스템을 TMN개념을 수용 할수 있는 진보된 운용 관리 시스템(T_SIGNOS)으로 설계하여 제안한다. 또한, 신호망에서 필요한 관리객체(Managed Objects)에 대하여알아보고, 이를 저장하기 위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구현한다.

  • PDF

ATM 교환기를 위한 TMN 관리 대행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MN Agent for ATM switch : considering integration of agent into ATM switch)

  • 황희산;이병윤;이길행;우왕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360-1371
    • /
    • 1998
  • ATM 교환기 관리를 위한 TMN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 ATM 교환기와 관리 대행자간의 구조적 결합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구현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Embedded Agent와 Gateway Agent와 같은 분류가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하겠다. 지금까지의 TMN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 이들 구현 방법들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통한 적절한 구현 모델의 선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ATM 교환기를 위한 관리 대행자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 가장 먼저 선행되어져야 할 구현 모델 선택을 위해, 5가지의 구현 모델을 설정하고, 각 구현 모델에 대해 MIB 구현 측면, ATM 교환기 내부 프로토콜 측면, 구현의 용이성 측면을 평가한 후, 가장 적절한 구현 모델 하나를 선택하였다. 또한 이 선택된 모델을 기초로 관리 대행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구현 모델의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 모델을 제안,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관리 대행 시스템을 실제 TMN 관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TMN체계의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TMN Architecture)

  • 정연기;서승호;김영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69-79
    • /
    • 1999
  • 대규모의 종합 정보 통신망을 운용하고 있는 공중 통신망에서는 ISO/ITU - T의 TMN (Telecommur nications Management Network) 체계를 기반으로 한 통신망 관리 기능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TMN은 다양 한 기술로 구성된 통신망, 서비스, 장비 등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TMN 체계의 망관리 기능 구현에 핵심적인 EMS (Element Management System)의 기능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서브네트워 크 관리 기능 구현을 위한 EMS 구현방안을 제시하며, 구체적인 기능 구현 및 성능 시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EMS는 관리 대상인 NE(Network Element)를 제어하기 위한 EML-Manager모율 부분과 상위 계층인 NMS(Network Management System)로부터의 요구를 수행하는 NML-Agent 모듈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된 EMS의 실제 동작을 시험하고 운영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GUI 사용자 인터페이 스를 구현했으며, NE-Agent는 본 연구설에서 설계, 구현한 TMN NE-Agent를 사용하였다 구현된 EMS는 구성관리, 성능관리, 장애관리 등의 기능올 가지며, 시험 결과 정상적으로 동작함올 확인하였다. 앞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EMS를 기반으로 NML - Manager기능과 SML-Agent기능을 수행하는 N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SML-Manager기능을 수행 하는 SMS(Service Management System)의 구현을 통해 SML 계층까지의 전체적인 TMN 체계의 구현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