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GF-beta

검색결과 778건 처리시간 0.028초

PDGF와 $TGF-{\beta}1$이 배양 인체 치은 섬유모세포와 치주인대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DGF AND $TGF-{\beta}1$ ON CELL ACTIVITY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AND PERIODONTAL LIGAM ENT CELL IN VITRO)

  • 정순규;남궁혁;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133-145
    • /
    • 1995
  • The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re desired goal of periodontal regeneration therapy. PDGF and $TGF-{\beta}1$ are well known to regulate the cell activity of mesenchymal origin c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se growth factors on human gingival fibroblast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 actvity, and to identify the regulatory effect of $TGF-{\beta}1$ on the response to PDGF by MIT assay. Human gingival fibroblast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cultured from extracted teeth for non-periodontal reason. Cultured human gingival fibroblast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were treated with polyperpetide growth factor PDGF and $TGF-{\beta}1$ in both a dose and time - dependent manner. Cell morphology were determined by inverted microscope and cell acitivity were determined by MIT assay.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DGF and $TGF-{\beta}1$ were not changed the morphology of these cell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DGF or $TGF-{\beta}1$ increased cell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 in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but gingival fibroblast were decreased to the level of control group at third day. Additionally, incubation with $TGF-{\beta}1$ addition to PDGF resulted in a enhanced cell activity of PDGF. Therefore, cell acitivty of gingival fibroblast were not chang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is stiudy demonstrates that PDGF and $TGF-{\beta}1$ are major mitogens for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in vitro, and $TGF-{\beta}1$ is a regulator of cell activity to PDGF in human gingival fibroblast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

  • PDF

Production of $TGF-{\beta}1$ as a Mechanism for Defective Antigen-presenting Cell Function of Macrophages Generated in vitro with M-CSF

  • Lee, Jae-Kwon;Lee, Young-Ran;Lee, Young-Hee;Kim, Kyung-Jae;Lee, Chong-Kil
    • IMMUNE NETWORK
    • /
    • 제9권1호
    • /
    • pp.27-33
    • /
    • 2009
  • Macrophages generated in vitro using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and interleukin (IL)-6 from bone marrow cells (BM-Mp) are defective in antigen presenting cell (APC) function as shown by their ability to induce the proliferation of anti-CD3 mAb-primed syngeneic T cells. However, they do express major histocompatibility (MHC) class I and II molecules. accessory molecules and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s. Here we demonstrate that the defective APC function of macrophages is mainly due to production of $TGF-{\beta}1$ by BM-Mp. Methods: Microarray analysis showed that $TGF-{\beta}1$ was highly expressed in BM-Mp, compared to a macrophage cell line, B6D. which exerted efficient APC function. Production of $TGF-{\beta}1$ by BM-Mp was confirmed by neutralization experiments of $TGF-{\beta}1$ as well as by 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Results: Addition of $anti-TGF-{\beta}1$ monoclonal antibody to cultures of BM-Mp and anti-CD3 mAb-primed syngeneic T cells efficiently induced the proliferation of syngeneic T cells. Conversely, the APC function of B6D cells was almost completely suppressed by addition of $TGF-{\beta}1$. Quantitative real time-PCR analysis also confirmed the enhanced expression of $TGF-{\beta}1$ in BM-Mp. Conclusion: The defective APC function of macrophages generated in vitro with M-CSF and IL-6 was mainly due to the production of $TGF-{\beta}1$ by macrophages.

인진이 $TGF-{\beta}1$ 유도성 간섬유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jin Fraction on Hepatic Fibrosis induced by $TGF-{\beta}1$)

  • 신성만;김영철;이장훈;우흥정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1-155
    • /
    • 2001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jin fractions on hepatic fibrosis induced by $TGF-{\beta}1$. Method : $TGF-{\beta}1$ mRNA, protein, $TGF-{\beta}1$ receptor, Smad family and PAI-I mRNA were studied in HepG2 cell, and the proliferation,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fibronectin and collagen type I mRNA in T3891 fibroblast by quantitative RT-PCR, ELISA and 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Results : On $TGF-{\beta}1$ mRNA and protein synthesis in HepG2, $H_2O$, butanol and hexane fractions of Injin showed inhibitory effect in a dose-dependent way. In the study on $TGF-{\beta}1$ receptor, Smad family and PAI-1 mRNA in HepG2, $H_2O$, butanol and hexane fraction of Injin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he expression of PAI-1 in a dose-dependent way. On the proliferation of T3891 fibroblast induced by $TGF-{\beta}1$, $H_2O$,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of Injin showed inhibitory effect. In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ed by $TGF-{\beta}1$, $H_2O$,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of Injin showed inhibitory effect on CTGF, and $H_2O$, butanol,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he expression of collagen type I, whereas no fraction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he expression of fibronectin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each fraction of Injin acts as a fibrosis inhibitory factor by itself or in combination, ultimately inhibiting liver cirrhosis.

  • PDF

모링가 뿌리 추출물에 대한 신장섬유화 억제 효과 (Anti-Fibrotic Effects by Moringa Root Extract in Rat Kidney Fibroblast)

  • 박수현;장영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71-1377
    • /
    • 2012
  • 신장섬유화는 내 외부적인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며, 그 요인들에 의해 염증이 생기고 지속적인 손상이 일어날 경우 신기능의 상실이 유발된다. 또한 신장섬유화는 세포 외 기질의 과다축적, TGF-${\beta}$나, TNF-${\alpha}$, IL-1과 같은 사이 토카인에 의해 발생하며, TGF-${\beta}$는 신장 섬유화의 과정과 Type I collagen과 fibronectin, PAI-1을 포함한 섬유화 관련 인자들의 발현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TGF-${\beta}$를 처리한 신장섬유화 유도 모델에서 Moringa oleifera Lam 추출물에 대한 섬유화 관련 인자들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TGF-${\beta}$로 유도된 신장 섬유화 세포에서 모링가 추출물이 fibronectin, Type I collagen과 PAI-1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모링가 추출물 중 모링가 뿌리추출물이 가장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모링가 뿌리추출물이 어떠한 기전을 통하여 섬유화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TGF-${\beta}$로 유도된 $T{\beta}RII$ 및 그 하위 기전의 인산화 정도를 확인한 실험에서 모링가 뿌리추출물이 TGF-${\beta}$로 유도된 $T{\beta}RII$과 그 하위기전의 Smad4, ERK의 인산화를 저해하였다. 그러나 TGF-${\beta}$에 의해 유도된 JNK와 p38, PI3K/AKT의 인산화에는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모링가 뿌리추출물이 TGF-${\beta}$로 유도된 신장 섬유아세포에서 $T{\beta}RII$와 그 하위 기전인 Smad4, ERK를 통해서 Type I collagen 과 fibronectin, PAI-1의 발현을 조절하여 섬유화를 저해 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모링가 뿌리추출물이 섬유화 치료 및 완화에 좋은 물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가 인체 치주 인대세포 활성 및 백서의 실험적 치아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ON THE VIABIL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AND ON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RAT)

  • 박윤경;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1-327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시험관내에서 TGF-${\beta}$가 치주인대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치주 인대내에 TGF-${\beta}$ 를 투여하여 치주 인대조직에 대한 TGF-${\beta}$의 생물학적 역할을 알아보고자 시험관내에서 배양된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에 0.1, 1, 5, 10ng/ml농도의 TGF-${\beta}$를 투여하여 1,2,3일간 배양한후 MTT방법으로 세포의 활성을 관찰하였고, 백서의 실험적 이동시 압박측 및 견인측의 치주인대내에 TGF-${\beta}$를 투여하여 치주인대조직의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0.1ng/ml 농도의 TGF-${\beta}$를 치주인대세포에 투여한 경우, 배양 1, 2, 3일째에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1ng, 5ng/ml 농도의 TGF-${\beta}$를 치주인대세포에 투여한 경우, 배 양 1, 2일째에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3일째에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3. 10ng/m1 농도의 TGF-${\beta}$를 치주인대세포에 투여한 경우, 배양 1일째에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 3일째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실험적 치아이동시, TGF-${\beta}$ 투여군에서 3일째까지는 압박측에서의 초자양변성이 대조군에 비해 적었으나 7일째 이후에는 군 간의 차이가 없었고, 파골세포 출현 및 모세혈관 증식은 7일째까지 대조군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5. 실험적 치아이동시, TGF-${\beta}$ 투여군에서 3일째부터 14일째까지 견인측의 골모세포 활성 및 신생골 형성이 증가되었던 점이 대조군과 구별되었다.

  • PDF

Regulation of Tumor Immune Surveillance and Tumor Immune Subversion by TGF-$\beta$

  • Park, Hae-Young;Wakefield, Lalage M;Mamura, Mizuko
    • IMMUNE NETWORK
    • /
    • 제9권4호
    • /
    • pp.122-126
    • /
    • 2009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is a highly pleiotropic cytokine playing pivotal roles in immune regulation. TGF-$\beta$ facilitates tumor cell survival and metastasis by targeting multiple cellular components. Focusing on its immunosuppressive functions, TGF-$\beta$ antagonists have been employed for cancer treatment to enhance tumor immunity. TGF-$\beta$ antagonists exert anti-tumor effects through #1 activating effector cells such as NK cells and cytotoxic $CD8^+$ Tcells (CTLs), #2 inhibiting regulatory/suppressor cell populations, #3 making tumor cells visible to immune cells, #4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tumor growth factors. This review focuses on the effect of TGF-$\beta$ on T cells, which are differentiated into effector T cells or newly identified tumor-supporting T cells.

자연기흉환자의 폐기포에서 TGF-${\beta}1$ 단백질 발현에 대한 연구 (TGF-${\beta}1$ Protein Expression in Bullae of Patients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광호;조정수;김영삼;윤용한;김정택;백완기;김루시아;송순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05-809
    • /
    • 2006
  • 배경: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receptor II(TGF-${\beta}1RII$) 단백질의 과발현이 폐기포 조직의 형성에 관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본 연구팀은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폐기포벽에서 발견되는 섬유화에 관계될 것으로 생각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TGF-${\beta}1$) ligand의 발현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자연기흉 환자에서 폐기포 절제슬로 획득한 폐 기포조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6명의 자연기흉의 환자에서 비디오흉강경 폐기포절제술 시 획득된 폐기포조직을 획득하였다. 36명 환자 중 남자가 34명, 여자가 2명이었고 연령은 14세에서 38세였다. 획득된 폐기포조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으로 염색하였다. 결과: 36명 중 19예에서 TGF-${\beta}1$ 양성이었고 24예에서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receptor II(TGF-${\beta}1RII$)가 양성이었다. 19예의 TGF-${\beta}1$ 양성 예 중 15예에서 TGF-${\beta}1RII$에도 양성으로 관찰되었다. 이 같은 양성 변화는 폐기포조직과 정상 폐 조직과의 경계선에서 가장 강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TGF-${\beta}1$의 과발현은 TGF-${\beta}1RII$ 발현의 변이 여부와 마찬가지로 폐기포벽의 섬유화를 초래하여 폐기포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확실한 규명을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및 기타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진분획물이 인체간세포의 $TGF{\beta}1-induced$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ve Frac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on $TGF{\beta}1-induced$ Apoptosis in HepG2 Cells)

  • 이지현;이장훈;우홍정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61
    • /
    • 200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m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five fractions of aqueous extract from Artemisia capillaris THUNB(ACT), on TGF, 1-induced apoptosis, cell viability, cell cycle progression and mRNA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in human hepatocyte cell line HepG2. Methods: This study employed Tryphan blue exclusion assay, DNA fragmentation assay, Cpp32 protease activity assay and Quantitative RT-PCR analysis. Results: In the Tryphan blue exclusion assay, the butanol fraction of ACT with $TGF{\beta}$, l showed magnificent (Nice word, ut is it appropriate in a medical abstract\ulcorner) viability and the H2O fraction of ACT with $TGF{\beta}$, l also showed higher viability than only $TGF{\beta}$, l-treated group. DNA fragmentation assay showed that the butanol fraction and the H2O fraction carried inhibitory effects on apoptosis induction, with the butanol fraction displaying greater effects. The Cpp32 protease activity assay showed that the butanol fraction decreased Cpp32 protease activity. The H2O fraction of AC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pp32 protease activity. Quantitative RT-PCR showed that the butanol fraction suppressed Bax, p 15/INK4B, p21/Waf1, PAI-1 and increased Bcl-2 gene. Conclusions: The data shows that butanol fraction of ACT increases the hepatocyte viability and has the hepatocellular protective effect by the suppression of $TGF{\beta}$, l induced-apoptosis through gene regulation.

  • PDF

파골세포에 대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활성화 작용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Stimulates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in vitro)

  • 양대석;김일찬;고성희;유병제;남궁용;강신성;이창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17-324
    • /
    • 1996
  • 파골세포는 골조직을 분해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파골세포 활성조절은 골조직의 성장과 재조합의 조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관배양을 통해 파골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여러가지 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는 골조직 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골조직내에 다량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TGF-$\beta$의 파골세포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는 것은 전체 파골작용의 조절기작을 알아보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인들은 계배를 이용한 파골세포의 배양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파골세포 활성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TGF-$\beta$1이 파골세포의 골분해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활성작용은 TGF-$\beta$의 파골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라기 보다는 다른 세포를 통한 간접적인 효과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GF-$\beta$에 의한 파골세포의 활성화는 nordihydroguaiaretic acid에 의해 현저하게 저해된 반면, idomethacin에 의해서는 저해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은 TGF-$\beta$가 arachidonic acid의 lipoxygenase 유도체를 통해 파골세포의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탄광부 진폐증에서 혈장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_1$의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Plasma TGF-${\beta}_1$ in Coal Workers' Pneumoconiosis)

  • 김정주;라원연;홍애라;신표진;용석중;신계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1호
    • /
    • pp.76-83
    • /
    • 2001
  • 연구배경 : 탄광부 진폐증은 석탄 분진의 흡입에 의한 폐조직의 손상에 대하여 부적절하고 과도한 염증반응이 일어나 폐섬유화를 유발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이 반응에는 대식세포를 비롯한 많은 염증세포들과 그 세포들에서 분비되는 매개물질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TGF-$\beta$는 특발성 폐섬유화증, 규폐증 및 석면증의 폐섬유화 과정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슷한 기전에 의해 폐 섬유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탄광부 진폐증에서는 TGF-$\beta$의 관여여부에 대한 보고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탄광부 진폐증 환자에서 혈청 TGF-${\beta}_1$을 측정하여 섬유화의 정도에 따른 그 활성도의 변화를 비교하여 탄광부 진폐증의 폐섬유화 과정에 TGF-${\beta}_1$이 관여하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직업력과 방사선학적 소견 상 탄광부 진폐증으로 진단 된 환자 중 단순 탄광부 진폐증 20예와 복잡성 탄광부 진폐증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소견인 자 10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각 대상을 human TGF-${\beta}_1$ immunoassay kit (R&D system, Minneapolis, MN)을 이용하여 혈장 내 TGF-${\beta}_1$을 측정하였다. 결과 : 단순 탄광부 진폐증($0.64{\pm}0.17$ ng/mL)과 정상 대조군($0.63{\pm}0.18$ ng/mL)보다 복잡성 탄광부 진폐증 ($0.79{\pm}0.18$ ng/mL)의 혈중 TGF-${\beta}_1$의 농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p<0.05). 결론 : 탄광부 진폐증의 섬유화 진행 과정에 TGF-${\beta}_1$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단순 탄광부 진폐증과 복잡성 탄광부 진폐증의 감별진단과 경과 예측인자로서 혈장 TGF-${\beta}_1$이 유용하리라 생각되며, TGF-${\beta}$의 생성을 억제한다면 탄광부 진폐증의 섬유화 진행을 저지함으로써 탄광부 진폐증의 치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