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INAL FLOWER 1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 of Altitude on Flower Bud Differentiation and Necrosis in 'Shinko' Pears in Subtropical Climates

  • Seo, Ho-Jin;Jin, Young-Ook;Lee, Chin-Lung;Roan, Su-Feng;Chen, Iou-Ze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1호
    • /
    • pp.18-23
    • /
    • 2015
  • Time-specific responses of flower bud differentiation were investigated in 'Shinko' (Pyrus pyrifolia Nakai) pear grown at different altitudes from July through December 2013 to determine their suitability as scions in a top-grafting system. Flower bud initiation and bud necrosis were monitored on each of three sections of one-year-old shoots: terminal, middle, and basal. Flower bud differentiation s tarted in September in the highlands of the Lishan area, and in J uly in the lowlands of the Zhoulan area. In Lishan, flower bud differentiation was higher in the middle and basal segments; during leaf fall, however, flower bud differentiation occurred rapidly in the terminal segment. In Zhoulan, flower buds began to differentiate from the terminal section of the shoot, and severe flower bud necrosis was noted. In July, flower buds developed normally; however, in early August, some of the buds at the basal segment showed browning. During leaf fall, some flower buds showed symptoms of necrosis with rapid and complete browning. Flower bud necrosis began at the basal segment and progressed rapidly towards middle and terminal sections. Before leaf fall, flower buds fell off when scales swelled. The terminal and middle parts of the current-year shoots, with some flower buds, collected in October or later from the Lishan area could be used as scions for top-grafting of 'Shinko' pear. Each grafting scion was a 3-5 cm shoot with one flower bu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ions from the terminal and middle segments of stems of 'Shinko' pear from the Lishan area can be used as scions whereas those from Zhoulan area show necrosis and might not be suitable as scions.

Structural Basis of Functional Conversion of a Floral Repressor to an Activator: A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Study

  • Kang, Suk-Ki;Lee, Ju-Yong;Lee, Myeong-Sup;Seok, Cha-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2호
    • /
    • pp.408-412
    • /
    • 2008
  • FLOWERING LOCUS T (FT) and TERMINAL FLOWER 1 (TFL1) in Arabidopsis are homologous proteins that perform opposite functions: FT is an activator of flowering, and TFL1 is a repressor. It was shown before that change of a single amino acid (His88) of TFL1 to the corresponding amino acid (Tyr) of FT is enough to convert the floral repressor to an activator. However, structural basis of the functional conversion has not been understood. In our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on modified TFL1 proteins, a hydrogen bond present in native TFL1 between the His88 residue and a residue (Asp144) in a neighboring external loop became broken by change of His88 to Tyr. This breakage induced conformational change of the external loop whose structure was previously reported to be another key functional determinant. These findings reveal that the two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functional specificities of the floral regulators, the key amino acid (His88) and the external loop, are correlated, and the key amino acid determines the functional specificity indirectly by affecting the conformation of the external loop.

파종기이동에 따른 두과작물의 생육특성 비교연구 제2보 콩, 팥, 녹두의 개화기 분포 및 결협율의 변이 (Comparative Studies on Growth Patterns of Pulse Crops at Different Growing Seasons II. Variation in Distribution of Flowering Dates and Pod Setting Ratio of Soybean, Azuki -bean and Mungbean)

  • 김기준;김광호;김영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3-250
    • /
    • 1981
  • 파종기이동에 따른 콩, 팥, 녹두의 개화기분포와 결협율의 변이를 알기 위하여 중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 하나씩을 공시, 5월 10일, 6월9일, 7월 9일 파종구 및 5월 10일 파종후 단일 처리한 구를 두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각 처리별 개화까지의 일수, 개화기간 그리고 개화시에서 정엽출현까지의 일수를 비교한 결과 공시된 중 품종은 유한신육형에 그리고 팥과 녹두는 무한신육형에 속하는 것이었다. 2. 주당개화수 및 성숙협수는 3작물이 모두 7월9일 파종구 및 단일처리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결협율은 파종기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 없이 콩 38\sim48%, 팥 23\sim34%, 그리고 녹두 46\sim60%였는데 콩과 녹두는 낙화 그리고 팥은 낙협이 각각의 결협률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3. 콩은 어느 파종구에서든지 1회의 개화성기를 보인 반면 팥과 녹두는 극만파구민 7월9일 파종구를 제외하고는 2\sim3회의 개화성기를 보였고 개화최성기는 콩이 개화시로부터 10일 이내에 왔으나 팥과 녹두는 파종기에 따라서 개화시로부터 25\sim45일 사이에 왔다. 4. 개화기에 따른 성숙협수의 분포는 모든 처리구에서 개화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콩의 결협율은 개화최성기 직후에 핀 꽃들이 가장 낮았으며 그 이전 및 이후에 핀 꽃들이 점점 높은 값을 보였다. 팥과 녹두의 결협율은 각 개화성기 직전에 된 꽃들이 높았고 그 직후에 핀 꽃들이 낮은 값을 보였는데 7월 9일 파종구는 3작물에서 모두 시기적으로 늦게 핀 꽃일수록 결협률이 낮아졌다. 5. 중은 모든 파종구에서 정엽출현일을 전후로 한 5일 동안에 개화최성기를 보였으며 정엽전개 이전에 핀 꽃 및 여기서 생긴 성숙협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 반면 팥과 녹두는 정엽출현기와 개화 또는 결협간에 아무런 관계도 없었고 정엽전관 이후에 더 많은 꽃을 피웠다.

  • PDF

슬래쉬 소나무의 화아원기형성(花芽原基形成)의 생리적(生理的) 연구(硏究) -IV. 자화형성기간(雌花形成期間)동안의 정아의(頂芽) PEROXIDASE의 변화(変化) (Physiology of Strobilus Initiation in Slash Pine -IV. Peroxidase Activity during the Period of Female Strobilus Initiation)

  • 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9
    • /
    • 1980
  •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법(電気泳動法)을 이용(利用)하여, 슬래쉬 소나무 (접목묘(接木苗), 20년생(年生))의 화아원기형성기간(花芽原基形成期間) 동안에 자화다량(雌花多量) 개화개체(開花個体)와 소량(少量) 개화개체간(開花個体間)에 정아(頂芽)의 peroxidase 동위효소(同位酵素)의 변화(変化)를 비교(比較)하였다. 정아(頂芽)에서 모두 9개의 band를 관측(観察)할 수 있었으며, 두 개체간(個体間)에 동위효소(同位酵素)의 양적(量的)인 차이(差異)는 미세(溦細)하였으나, 제오(第五) band는 다량(多量) 개화개체(開花個体)에서 대부분(大部分) 발견(発見)되었다. 제오(第五) band의 동위효소(同位酵素)는 자화원기형성(雌花原基形成)에 직접(直接) 관병(関聠)되는 것 같이 생각된다.

  • PDF

적과제 처리가 '홍로'와 '후지' 사과의 착과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it Thinner on Fruit Set and Quality in 'Hongro' and 'Fuji' Apples)

  • 유진기;박무용;강인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5호
    • /
    • pp.577-583
    • /
    • 2014
  • 본 연구는 '홍로'와 '후지' 품종에 benzyladenine(BA, 99% purity), MaxCel$^{(R)}$(1.9% BA), Fruitone(3.5% NAA), MaxCel$^{(R)}$ + Fruitone, simazine 등 약제들이 과실의 착과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BA와 MaxCel$^{(R)}$$100mg{\cdot}L^{-1}$ 농도로, Fruitone은 $0.1mg{\cdot}L^{-1}$ 농도로 과실직경이 6mm인 만개 8일 후에, 그리고 simazine은 $400mg{\cdot}L^{-1}$ 농도로 만개 7일후와 14일 후에 2회 처리하였다. 적과제 처리 후 '홍로' 품종의 정화아의 과총당 착과수는 MaxCel$^{(R)}$ + Fruitone, MaxCel$^{(R)}$, simazine 처리구가 각각 1.67, 1.84, 1.81개로 무처리구 2.35개보다 적어 적과효과를 보였고, 특히 무착과 과총 비율이 높아 적과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후지' 품종의 경우 정화아의 과총당 착과수는 MaxCel$^{(R)}$ + Fruitone, Fruitone, MaxCel$^{(R)}$ 처리구가 1.29, 1.60, 1.76개로 무처리구 2.56개보다 적어 우수한 적과효과를 보였다. 또한, 두 품종 모두에서 MaxCel$^{(R)}$ + Fruitone 혼용처리구가 MaxCel$^{(R)}$ 단독처리구에 비하여 적과증진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액화아의 경우도 정화아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과중은 '홍로' 품종의 BA 처리구에서, '후지' 품종에서는 BA와 MaxCel$^{(R)}$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그리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두 품종 모두에서 BA, MaxCel$^{(R)}$, MaxCel$^{(R)}$ + Fruitone 처리 과실들에서 증가하였지만 다른 과실특성들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화제 및 적과제가 '감홍' 사과의 착과와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ower and Fruit Thinner on Fruit Set and Fruit Quality of 'Gamhong' Apples)

  • 유진기;강봉국;김대현;이진욱;이동훈;권헌중;최인명;정희영;정명근;최동근;강인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24-31
    • /
    • 2016
  • 본 연구는 2년에 걸쳐 '감홍' 품종에 석회유황합제(Lime sulfur), MaxCel(1.9% BA), Fruitone(3.5% NAA)을 처리하여 적과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차년도 약제 처리에 의한 과총당 착과수는 석회유황합제 3회 처리구는 0.82개, MaxCel(10mm) 처리구 역시 1.15개로 무처리구 1.74개에 비해 유의하게 적어 적과 효과가 인정되었다. 과총당 과실의 착과수는 석회유황합제 또는 MaxCel(10mm) 처리 시 단일과 착과율이 각각 47.9%와 48.7%로 무처리 36.0%에 비하여 높았고, 3개이상 과실 착과율이 각각 1.4%와 5.8%로 무처리 22.9%에 비해 낮아 좋은 적과 효과를 보였다. 액화아의 경우 석회유황합제 및 MaxCel(10mm) 처리구 0.36개와 0.50개로 무처리구 1.20개에 비하여 낮아 정화아에서와 비슷하게 우수한 적과 효과를 보였다. 2년차 적과 효과는 무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높은 적과 효과를 보였고, 약제 처리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석회유황합제 또는 MaxCel 혼용처리보다 단용처리만으로도 착과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형광 Differential Display법에 의한 파리지옥풀 포충잎트랩 특이발현 유전자 탐색 (Molecular Cloning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First Trap Leaf of Dionaea muscipula by Fluorescent Differential Display)

  • 강권규;이근향;박진희;홍경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07-313
    • /
    • 2003
  • 파리지옥풀 first trap leaf에만 발현하는 유전자군을 탐색하기 위하여 기내배양 식물체와 포충능력을 가진 3년생 실생주을 이용하여 각각의 포충잎 (leaf base), 꽃조직 (flower tissue) 및 포충잎트랩 (first trap leaf)으로부터 분리한 RNA로 Fluorescent differential display (FDD)를 실시하였다. First trap leaf특이발현 유전자 15개를 screening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리된 DNA들은 protease inhibitor (Pl), myo-inositol-1-phosphate synthase 및 lipocalin-type prostaglandin D syn-thase 유전자들과 매우 유사하였다. 또한 Northern blot분석 결과, 이들 유전자들이 first trap leaf에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FDD방법은 세포, 조직 및 기관에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유전자들을 선발하는데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Optimized Conditions for Making Tea from Camellia(Camellia japonica) Leaf and Flower and Sensory Evaluation

  • Kim, Ju-Hee;Im, Wha-Chun;Park, Min-Hee-;Lee, Jun-Ho;Lee, Soo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제10차 국제학술회의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 /
    • pp.34-35
    • /
    • 2003
  • Before making of tea, the number of leaf, plant height and node length in young shoot were 5.2, 14.9cm and 1,9cm respectively. These contents caused problems in leaf rolling and uniform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and comoposition of roasted and steamed were observed, external shape and internal quality, however, were good from 1st to 3rd leaf. Chemical nutrition consists of leaf position, Total nitrogen content of terminal leaf was 4.88%, total free amino acid 21.12%, and caffein 3%. Vitamin C content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leaf age. Making of roasted tea was required long time because camellia leaf was very hard and smoothly. Products had lower water color, perfume and taste. Internal quality of steamed tea was good in water color and taste.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total free amino acid, catechin, caffeine and vitamin C were 4.24%, 1.01, 17.7%, 2.6% and 75.7mg/ml.(중략)

  • PDF

'Fuji'/M.9-T337 묘목의 삭아접 시기, 대목절단 시기, 적엽 및 Promalin 처리가 나무의 생장과 측지발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imes of Chip Budding and Rootstock Removal, Leaf Removal Plus Promalin Application on the Tree Growth and Lateral Development for 'Fuji'/M.9-T337 Nursery Trees)

  • 박정관;홍재성;최인명;김정배;윤천종;전성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3호
    • /
    • pp.329-332
    • /
    • 1999
  • 대목재식 후 2년차에 측지가 10개 이상 발생 된 우량묘를 생산하기 위하여 삭아접시기 및 대목 절단시기에 따른 수체생육 특성과 측지발생에 미치는 적엽 및 promalin 처리 효과를 시험한 결과, 대목재식 후 약 90일 정도 경과한 6월중순경에 삭아접을 실시하는 것이 4월 중순에 삭아접을 하는 것보다 재식 1년차의 수체생육은 떨어지지만 접아고사주율이 평균 8% 정도 낮았다. 또한 M.9 대목 절단시기에 있어서는 삭아접전절단(ECCB)을 실시하는 것보다 삭아 접후절단을 할 경우, 접아고사율이 14% 정도 낮아 수체 생장의 균일도가 높으면서 접목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식 2년차인 1998 년도에 접목시기 및 M.9 대목 절단시기에 따른 적엽(3회) 및 promalin(3회) 처리효과를 조사한 결과, 6월 중순 삭아접후절단(LCCB) 처리 구에서 측지발생 효과 및 화아형성 정도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좋았다. 묘목 특성으로는 수고 209cm, 측지수 13.8개, 화아형성수 9.0개로 우량한 측지묘 조건에 부합한 묘목이 생산되었다.

  • PDF

Molecular Cloning of a Pepper Gene that Is Homologous to SELF-PRUNING

  • Kim, Dong Hwan;Han, Myeong Suk;Cho, Hyun Wooh;Jo, Yeong Deuk;Cho, Myeong Cheoul;Kim, Byung-D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2권1호
    • /
    • pp.89-96
    • /
    • 2006
  •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inflorescences in plants are controlled by a single recessive gene, for example, SELF-PRUNING (SP) in Solanum lycopersicum, TERMINAL FLOWER1 in Arabidopsis, CENTRORADIALIS in Antirrhinum, and CENTRORADIALIS-like gene in tobacco. Pepper (Capsicum annuum L.) is an indeterminate species in which shoots grow indefinitely. In this study, we cloned and characterized the pepper SP-like gene (CaSP). RT-PCR revealed that the CaSP transcript accumulates to higher levels in floral buds than in other organs. Comparison of genomic DNA and cDNA sequences from indeterminate and determinate pepper plants revealed the insertion of a single base in the first exon of CaSP in the determinate pepper plants. CaSP is annotated in linkage group 8 (chromosome 6) of the SNU2 pepper genetic map and showed similar synteny to SP in tomato. Transgenic tobacco plants overexpressing CaSP displayed late-flowering phenotypes similar to the phenotypes caused by overexpression of CaSP orthologs in other plant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pper CaSP is an ortholog of SP in toma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