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I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Tissue doppler imaging으로 측정한 modified Tei 지수 (Modified Tei index in patients with Kawasaki disease by tissue doppler imaging)

  • 김희정;차정화;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1호
    • /
    • pp.1202-1210
    • /
    • 2006
  • 목 적 : Tei 지수는 전반적인 심기능을 양적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심박동수, 전부하, 후부하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같은 심장 cycle에서 측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반해 modified Tei 지수는 TDI을 이용하여 같은 cycle 내에서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Tei 지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방 법 : 가와사키병의 급성기 환아 48명을 두 군(modified Tei 지수가 0.37 미만인 24명을 1군, modified Tei 지수가 0.37 이상인 24명을 2군), 그리고 열이 없는 정상 소아 30명을 대조군인 3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시행하였다. 혈액 검사, TDI, 고식적인 심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수축기 심근 속도, 초기 이완기(E') 심근 속도, 그리고 후기 이완기(A') 심근 속도와 조직 이동을 심저, 심중간부, 심첨에서 측정하였다. Ejection fraction(EF), Tei 지수, modified Tei 지수를 계산하였다. 결 과 : 백혈구수와 CRP는 2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좌심실 기저부 수축기 심근 조직 이동, 초기 이완기 및 후기 이완기 심근 조직 이동이 2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Modified Tei 지수와 심실 기저부의 수축기 심근조직 이동(r=0.331), 초기 이완기(E') 심근 조직 이동(r=0.296), 그리고 후기 이완기(A') 심근 조직 이동(r=0.266)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Modified Tei 지수가 증가할수록 ESR(r=0.561)과 CRP(r=0.427)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가 보였다. EF과 Tei 지수는 정상이었다. 결 론 : 가와사키병에서 TDI를 이용한 modified Tei 지수는 EF이나 Tei 지수로 구별되지 않았던 심기능 이상을 발견하는데 매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지표로 생각된다.

TEI Independent Header와 MARC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of TEI Independent Header and MARC)

  • 엄혜련;김성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6년도 제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78
    • /
    • 1996
  • 본 연구는 TEI를 기반으로 한 전자문헌의 서지정보를 수록한 TEI Independent Header를 MARC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하여 전자문헌의 인코딩, 인코딩언어인 SGML, 인코딩 포맷인 TEI를 연구하였다. 나아가 TEI를 기반으로 한 전자문헌의 자동 목록작성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TEI Independent Header와 MARC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정상 및 퇴행성이첨판 질환이 있는 개에서 조직도플러를 통한 좌심실 Tei index의 평가 (Evaluation of Left Ventricular Tei Index in the Normal Dogs and Dogs with Mitral Valve Degenerative Disease)

  • 이인;이정우;최수영;한우석;이기자;이영원;최호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2-167
    • /
    • 2015
  • 좌심실의 용적과부하와 심할 경우 심근 기능부전을 일으키는 질병에서 Tei index는 심근기능을 평가하는데 있어 비교적 측정이 쉽고 재현율이 양호하다고 보고된 심초음파 측정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및 퇴행성 이첨판 질환이 있는 개에서 조직도플러와 펄스파 도플러를 통해 Tei index 값을 측정하고, 다른 초음파평가지표와 비교평가하였다. 정상 개에서 Tei index 측정을 위해 심혈관계에 이상이 없는 13마리의 비글견을 사용하였으며, 이첨판 역류를 진단받은 환자 31마리를 환자군으로 하여 각각의 환자는 임상증상에 따라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 대부분의 측정항목들이 좋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Tei index의 경우 조직도플러를 통한 Tei index가 펄스파 도플러에 비해 좀 더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정상 개에서 Tei index는 조직도 플러의 심실외벽과 중격에서 각각 $0.58{\pm}0.07$, $0.60{\pm}0.07$로 측정되었다. 조직도플러 검사 결과 중격과 좌심실벽 지점간에는 Tei index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펄스파도플러를 통해 측정한 Tei index는 조직도플러를 통해 측정한 Tei index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게 측정되었다. 정상 및 퇴행성이첨판 질환이 있는 환자군에서 Tei index는 두 가지 측정 방식 모두에서 이첨판 역류의 임상증상에 따라 그룹별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eiindex는 이첨판 역류가 있는 개에서 좌심실 기능 저하를 반영하는 유용한 검사 요소로 생각된다.

한국어사전 인코딩체계의 확장에 관한 연구: MARTIF와 TEI를 중심으로 (Extending the MARTIF and TEI for Korean Lexical Entities)

  • 백지원;최석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5-322
    • /
    • 2001
  • 본 연구는 사전이 가지는 특징과 구조를 분석하고, 모든 한국어 사전항목을 손실 없이 인코딩 할 수 있는 마크업체계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제표준인 MARTIF와 용어데이터의 상세한 인코딩형식을 제공하는 TEI를 분석하였다. TEI는 용어데이터베이스용 형식과 인쇄사전용 형식은 확연히 다른 형식이었다. 그리고 실제 사전 및 용어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어사전의 종합적인 미시구조를 파악하고, 그 미시구조를 MARTIF와 인쇄사전용 TEI에 대응시켜 적용가능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두 형식 모두 한국어사전의 미시구조와 정확하게 매핑되지 않았으나 확장에 따라 두 형식 모두 사용가능 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으며, 한국어사전의 특징을 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파악된 한국어사전의 미시구조 내용을 포함시켜서 새로운 두 가지 확장형식을 제안하였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Tei 지수를 이용한 우심실기능 평가 (Assessment of Right Ventricular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Using Echocardiographic Tei Index)

  • 오윤정;신준한;김덕기;최영화;박광주;황성철;이이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3호
    • /
    • pp.343-352
    • /
    • 2001
  • 연구배경 : 만성 폐쇄성 폐질환 기능의 평가를 위해서 여러 가지 비침습적, 침습적 방법이 이용되나 그 정확도나 실용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최근 도플러 심초음파상의 수축기, 이완기 및 박출시간을 조합한 기능지수인 Tei 지수가 우심실기능을 평가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어 저자 등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Tei 지수를 구하여 우심실 기능을 평가하고 폐기능검사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26예와 대조군 10예을 대상으로 간헐파 도플러를 이용하여 도플러 간격을 측정하였다. Tei 지수는 등용성 수축시간(ICT)과 등용성 이완시간(IRT)의 합을 박출시간(ET)으로 나누어 구하였고, PEP, ICT/ET, PEP/ET, IRT/ET를 측정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폐기능과 Tei 지수의 상관관계를 구하였고, Tei 지수와 다른 도플러 간격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Tei 지수는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0.45{\pm}0.17$ vs. $0.27{\pm}0.03$, p<0.01), ICT/ET ($0.32{\pm}0.08$ vs. $0.25{\pm}0.05$, p<0.05), PEP/ET ($0.46{\pm}0.10$ vs. $0.38{\pm}0.06$, p<0.05), IRT/ET ($0.29{\pm}0.16$ vs. $0.15{\pm}0.15$, p&0.05) 등은 대조군보다 증가되어 있었으며 박출시간은 단축되어있었다($255.2{\pm}32.6$ vs. $314.2{\pm}16.5$, p<0.05). 환자군에서 Tei 지수는 1초간 노력성 호기량과 역상관성을 보였고 (r=-0.469), 중증 폐기능 장애가 있는 3기 환자는 1기나 2기 환자에 비해 Tei 지수가 증가되어 있었다. 환자군에서 Tei 지수는 박출시간과 역상관성을 보였고 (r=-0.469), ICT/ET(r=0.453), PEP/ET(r=0.480), IRT(r=0.812), IRT/ET(r=0.896) 는 Tei 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Tei 지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폐기능 지표와도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우심실 기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검사법으로 사료된다.

  • PDF

단계구분도의 계급구간 설정을 위한 공간적 인접성의 최적화기법에 관해 (On the Optimization Methods of Spatial Proximity to Set the Class Intervals for the Choropleth Map)

  • 손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34-443
    • /
    • 2001
  • 통계적 인접성을 중시하는 기존의 최적화 기법과는 달리 최대 BEI 지수를 추적하여 공간적 인접성을 최적화하는 새로운 최적화 기법을 개발하였다. 5가지 계급수에 대해 등간격, 시각구분법, 사분위법을 비롯해 최적화하여 얻은 최대 BEI, 최대 TEI를 나타내는 5가지 계급구분 방법으로 만들어진 25개의 단계구분도에 대해 계급구간 분류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된 평가기준은 TEI, BEI, $C_{F}$이다. 최대 BEI와 최대 TEI를 나타내는 계급구간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분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두 결과는 서로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시각구분법으로 얻은 분류 결과 역시 평가지수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 이는 새로운 지수인 $\alpha$-index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다.

  • PDF

중국의 교사교육 정보화 전략 및 추진 체제 (Teacher Education Informationization Strategies and Propulsion System in China)

  • 박성일;이건인;김영태;김형준;조태경;박병수;조정원;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249-1256
    • /
    • 2006
  • 정보화 수준은 한 나라의 국력과 현대화 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정보화의 추진은 한 국가의 경제 및 사회 발전의 중요한 전략이 되고 있다. 국가의 정보화는 결국 교육의 정보화로 이어지고 교육의 정보화는 교사교육의 정보화를 먼저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중국은 이러한 인식으로 교사교육 정보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교사교육 정보화의 의의와 필요성, 원칙과 절차 등의 내용을 다루었다. 교사교육 정보화의 추진 체제는 대체로 교사교육 정보화의 기반시설, 교사교육 정보화 자원 개발, 정보통신기술 소양교육과 교수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 교사교육 정보화의 체계적 연구, 교사교육 정보화의 제반 제도와 표준의 제정, 교사교육 정보화의 평가 등으로 요약된다.

  • PDF

The Influence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Distribution: An Empirical Study on Sushi Tei Restaurant, Jakarta

  • ANDRIYANI, Nova;HIDAYAT, Z.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6호
    • /
    • pp.51-64
    • /
    • 2021
  • Purpose: A restaurant is a business of the physical distribution of food and beverages which includes intercultural interaction. This research paper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Japanese taste as a product advantage, determining service quality factor in the restaurant business, the e-CRM that involves technology, social media campaigns to reach the target market of young people,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customer loyalty in Sushi Tei restaurant. This study also intends to find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between the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method by distributing 100 questionnaires to Sushi Tei customers in Jakarta, consisting of Gen Z and Millennials. Samples were taken at each outlet in the Jakarta area on weekend and weekdays by purposive sampling. Data was generated by path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Japanese taste, service quality, and e-CRM significantly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However, social media campaigns failed to influence customer loyalty. As a result, custome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within Sushi Tei restaurant. Conclusion: The study also proposed significant implications to develop and maintain a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to gain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시조문화 정보시스템 개발의 가능성과 전망 (The possibility and prospect for developing Sijo Munhwa information system)

  • 한창훈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19권1호
    • /
    • pp.37-62
    • /
    • 2003
  • 이 논문은 시조문화 정보 시스템 개발의 가능성과 전망을 논한 것이다.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언어 자료로서의 시조 문화 정보 시스템은 원전 자료를 포함한 자료의 입력ㆍ교정 작업이 우선 필요하다. 2. 구축된 원시 자료를 가공할 때에는 TEI (Text Encoding Initiative), 시소러스(Thesauras) 등의 작업이 고려되어야 한다. 3. 이는 Topic Map을 구축하는 기본 작업이 된다. 4. 예술 자료로서의 시조 문화 정보 시스템은 다른 자료들 - 이미지, 동영상 등 -과의 연결(link)이 매우 중요하다.

  • PDF

Comparison of total energy intakes estimated by 24-hour diet recall with total energy expenditure measured by the doubly labeled water method in adults

  • Kim, Eun-Kyung;Fenyi, Justice Otoo;Kim, Jae-Hee;Kim, Myung-Hee;Yean, Seo-Eun;Park, Kye-Wol;Oh, Kyungwon;Yoon, Sungha;Ishikawa-Takata, Kazuko;Park, Jonghoon;Kim, Jung-Hyun;Yoon, Jin-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5호
    • /
    • pp.646-657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The doubly labeled water (DLW) method is the gold standard for estimating total energy expenditure (TEE) and is also useful for verifying the validities of dietary evaluation tool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ccuracy of total energy intakes (TEI) estimated by the 24-h diet recall method with TEE obtained using the doubly labeled water method. SUBJECTS/METHODS: This study involved 71 subjects aged 20-49 yrs. Over a 14-day period, three 24-h diet recalls per subject (2 weekdays and 1 weekend day) were used to estimate energy intakes, while TEE was measured using the DLW method.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TEI and TEE results, and the accuracy of the 24-h recall method was determined by accuracy predictions percentage, root mean square error, and bias. RESULTS: Average study subject age was 33.4 ± 8.6 yrs. The association between TEI and TEE was positive and significant (r = 0.463, P < 0.001), and the difference between TEI (2,084.3 ± 684.2 kcal/day) and TEE (2,401.7 ± 480.3 kcal/day) was also significant (P < 0.001). In all study subjects, mean TEI was 12.0% (307.5 ± 629.3 kcal/day) less than mean TEE, and 12.2% (349.4 ± 632.5 kcal/day) less in men and 11.8% (266.7 ± 632.5 kcal/day) less in women. Rates of TEI underprediction for all study subjects, men, and women, were 60.5%, 51.4%, and 66.7%,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24-h diet recall underreports energy intakes. More research is needed to corroborate our findings and evaluate the accuracy of 24-h recall with respect to additional demograp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