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 제어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42초

Web 기반 이동로봇의 다중 접속 제어 처리법 (Multiplex connection control processing method of web based Mobile Robot)

  • 정성호;김성주;서재용;김용택;전홍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39-242
    • /
    • 2002
  • 점차 많은 형태의 가정용 로봇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부 제품화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정용 로봇을 원격지에서 제어하고자 할 때 대부분이 인터넷이나 무선을 이용한 원격제어 또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제어하여 그 상황을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제어대상이 극히 제한적인 수의 이동로봇인데 반해 다수의 가족 구성원인 제어조작자가 중복적으로 청소로봇과 같은 이동로봇을 제어하고자 접근을 시도했을 때 이동로봇에 다중적인 업무가 주어지게 될 수 도 있다. 이에 Database 를 이용하여 수행 업무의 우선순위와 제어조작자의 권한의 우선순위를 지정한 명령어를 Database 내에 구성하여 간접적으로 전송하여 제어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어를 통한 동작 시 실제 이동로봇의 속도와 방향 제어를 위해 퍼지 및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제어를 구성하여 제어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

온도, 전류 제어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 파장 안정화 (The Stabilization of Laser Diode Wavelength by Temperature and Current Control)

  • 염진수;양태규;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581-590
    • /
    • 2001
  • 본 연구는 광 전송 시스템에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되고 고정된 출력 파장의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하여 안정된 정전류 회로를 설계하려 했으며, 레이저 다이오드 자체의 온도센서와 TEC(Thermo Electric Cooler)를 이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회로를 구성하였다. 또한 광 출력에 Wavelength Locker글 이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A/D, D/A 컨버터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였다.

  • PDF

Reed-Solomon 부호의 직접복호법을 이용한 3중 오류정정 복호기 설계 (Design of Triple-Error-Correcting Reed-Solomon Decoder using Direct Decoding Method)

  • 조용석;박상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8A호
    • /
    • pp.1238-124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오류정정 능력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 매우 효과적인 직접복호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복호기에 비해 하드웨어적으로 매우 간단한 새로운 3중 오류정정 Reed-Solomon 복호기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3중 오류정정 Reed-Solomon 복호기는 오류위치다항식 및 오류평가다항식의 계산에 GF(2m) 상의 곱셈기가 9개만 사용되어, 기존의 복호기가 약24개가 소요되는데 비해 매우 간단한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어회로도 매우 간단하고, 복호지연도 오증계산에 걸리는 한 블록만큼만 소요되므로 수신 시퀀스를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 PDF

열확장 코어 광섬유의 구부림 손실을 이용한 광섬유형 온도 센서 (Fiber-optic Temperature Sensor Based on Bending Loss of Thermally Expanded Core Fiber)

  • 김광택;강지훈;조규정;문남일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15
    • /
    • 2010
  • 본 논문은 바이메탈(bi-metal)에 부착된 열확장 코어 광섬유의 높은 구부림 손실 효과를 이용한 광섬유 온도 센서를 제안 및 구현하였다. 바이메탈(bi-metal plate)의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은 열확장 코어 광섬유의 구부림 손실을 발생시킨다. 실험결과 소자의 감도와 측정범위는 열확장 코어 광섬유의 구조를 조절하여 제어 될 수 있음을 보였다. 소자의 제조공정이 상세하게 기술되었다.

수치해석을 통한 가스 레귤레이터의 압력제어 프로세스 고찰 (A Study on the Pressure Control Process of Gas Regulators through Numerical Analysis)

  • 정준환;남충우;김민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7-51
    • /
    • 2021
  • 가스 레귤레이터에 동일한 유량을 공급할 때 발생하는 압력 강하 현상을 분석하였다. 레귤레이터는 특정 범주의 환경에서 일정한 압력을 토출하기 위해 피스톤 상/하부에 작용하는 힘과 스프링 장력 간의 상호 작용으로 피스톤의 위치를 이동시켜 압력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레귤레이터 내부의 유체의 체적이 변화함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유동특성과 압력제어과정을 수치해석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피스톤과 피스톤 시트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압력 강하가 증가하고 유속이 증가하였다. 압력-유량시험과 동일한 조건(입구압력 3MPa, 출구압력 0.8MPa, 유량 70kg/h)에서 피스톤이 0.12mm에 위치함을 수치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Fuzzy logic control of robotic deburring process using acoustic emission feedback

  • Choi,Gi Sang;Choi, Gi Heu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1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KOEX, Seoul; 22-24 Oct. 1991
    • /
    • pp.1687-1692
    • /
    • 1991
  • Burrs, created when metals deform plastically, are by-products of most machining processes. The increasing requirements of precision and reliability in manufacturing processes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systems for automated deburring. In this paper the motivations and requirements for automated robotic deburring are discussed. Also, the feasibility of automating the deburring process using fuzzy logic controller is investigated. In implementing the fuzzy logic controller,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acoustic emission sensing for the characterization and feedback control of the burr removal proces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reveal the rule based control scheme based on fuzzy logics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traditional control schemes.

  • PDF

IEC61850 기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IEC61850 based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Prototype Development)

  • 김명회;김해누리;임성정;박동호;이승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308-310
    • /
    • 2006
  • TEC61850은 변전소 자동화에 있어서 변전소 감시, 보호, 제어, 운전에 필요한 모든 부분에 IT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제어 기반의 차세대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을 설계 개발 운용하는 기술로서 변전소 운전의 자동화 및 무인화를 위한 핵심 기술이다. 본 논문은 국제 표준인 IEC 61850 기반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 프로토타입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먼저 IEC 61850 기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실제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고 통신 모듈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SCL을 이용한 엔지니어링 하는 방법 및 전체 시스템 구현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 PDF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설계 (Design of High Power Laser Diode Driver)

  • 김영근;염진수;황대석;류광렬;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104-107
    • /
    • 2008
  •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는 소형화되면서 생산 단가가 낮아지는 것에 비해 출력은 점점 더 커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산업 응용 분야에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성과 고정된 출력 파워의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설계의 목적이 있다. 안정된 정전류를 위하여 온도와 전류의 안정성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 내부의 온도센서와 TEC(Thermo Electric Cooler)를 이용한 온도제어 회로를 구성하였다. 이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A/D, D/A 컨버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였으며, 정전류 50A일 때 35W 출력과 온도 범위는 ${\pm}0.5^{\circ}$로 설계를 하였다.

  • PDF

실시간 감시 정보를 이용한 전압안정도 제어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oltage Stability Control Scheme using Real-time Monitoring Data)

  • 이윤환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6권4호
    • /
    • pp.206-212
    • /
    • 2017
  • In this paper, using the power system information obtained from real-time monitoring device, to analyze the voltage stability margin index and described the voltage stability control scheme for voltage stability enhancement. Based on the utilization of the voltage stability monitoring index based on loc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MU(Phasor Measurement Unit), the purpose of the plan is to control the system stably in real time. In order to apply the load control scheme, the voltage stability margin is calculated using the data acquired through the PMU installed in each load bus. If the voltage drops below a certain level, load control is performed for each. The effectiveness of the voltage stability control measures is applied to the actual KEPCO system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온도 및 전류의 과도응답 제어가 가능한 SOA Driver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A Driver with Capability to Control Current and Temperature Transient Response)

  • 엄진섭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8
    • /
    • 2014
  • In this paper, SOA Current and Temperature Driver which consisted of LabVIEW programming part capable of current and temperature transient response pattern design, DAQ module for analog voltage in&out, and voltage to current converting chips has realized. The output current(possible to 3A) from the Driver to SOA was clearly constant without ripple and also showed no variance until 1mA unit for a long time operation. The temperature of TEC took several seconds to reach a set temperature, and were maintained stably within ${\pm}^0.1{\circ}C$ for several hours. The proposed Driver can replace the previous high cost SOA Drivers for wavelength swept lasers fully and provides the convenience of transient response design capability for current and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