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M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4초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통합 전달 시스템 (Convergence System to Guarantee Quality of Services)

  • 윤지욱;홍승우;이종현;염경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2호
    • /
    • pp.25-3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 패킷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통합전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통합전달 시스템은 하나의 장치에서 MPLS 기반의 L2 VPN 서비스, 프리미엄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TDM 전용회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통합전달 시스템은 VCG로 구성된 채널별로 QoS 정책을 설정하고 그 용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이더넷 시스템에서는 가질 수 없었던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어 고 품질 실시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 실험은 3노드로 구성된 링 네트워크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교통수요모형과 의사결정모형을 이용한 자동차 배출저감정책 평가 (Evaluation of Mobile Emissions Reduction Strategies Using Travel Demand Model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규진;박관휘;심상우;최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1123-1133
    • /
    • 2015
  • 본 연구는 자동차 배출저감정책에 대한 기존 정량적 요소 중심의 평가 방법과 차별된, 교통수요모형(Travel Demand Model, TDM)과 다기준 의사결정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의 연계된 평가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자동차 배출저감정책의 다기준 평가항목은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감축효과, 상위계획과의 일치성, 정책추진 용이성, 기술적용 용이성으로 설정하였고, AHP분석 결과 정량적 평가항목인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의 감축효과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가 각 0.373, 0.218로 정책적 평가항목들에 비해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평가 방법론을 적용하여 각 정책들을 평가한 결과,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정책이 가장 효과적인 정책으로 나타났고, 승용차 요일제 정책, 경차보급 활성화 정책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TDM 또는 AHP에 의해 평가된 우선순위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감정책 시나리오를 구성한 기본적인 가정과 범위에 국한된 결과라는 한계점이 있지만, 자동차 배출저감 효과와 더불어 정책적 요소들을 반영하여 보다 합리적인 자동차 배출저감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체목 및 임분조사를 위한 LiDAR 응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LiDAR for Measuring Individual Trees and Forest Stands)

  • 곽두안;이우균;손민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31-440
    • /
    • 2005
  •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개체목의 위치, 수고, 지하고 등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LiDAR로부터 측정된 수고정보로부터 흉고직경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상의 생장인자로부터 임분의 체적 및 생체량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iDAR로 부터 측정된 개체목의 수고, 지하고, 흉고직경 등을 현장조사 자료와 비교하여 정확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경기도 가평 유명산 일대의 잣나무림, 낙엽송림, 참나무류림 등의 단순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LiDAR로부터 측정된 수고의 결정계수는 0.66으로 나타났다. 수종별로는 잣나무가 0.68, 낙엽송이 0.66, 참나무류가 0.60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iDAR로부터 측정된 지하고의 결정계수는 0.79로 나타났으며 수종별로는 잣나무가 0.73, 낙엽송이 0.79, 참나무류가 0.68로 나타났다. 수종별로 예측된 흉고직경의 결정계수는 잣나무가 0.73, 낙엽송이 0.73, 참나무류가 0.85로 나타났으며, ha당 흉고단면적의 결정계수는 잣나무가 0.82,낙엽송이 0.92, 참나무류가 0.95로 나타났다. LiDAR로부터 측정된 생장인자를 이용하여 추정한 연구지역의 수종별 ha당 생체량은 잣나무가 40,306 tdm/ha, 낙엽송이 94,150 tdm/ha, 참나무류는 94,481 tdm/ha로 나타났다.

광전송플랫폼에서의 망동기장치 구현과 광전송망에 미치는 원더의 영향분석 (An Implementation of the Network Synchronization Equipment on Optical Transmission Flatform and Impact Analysis of the Wander on NG-SDH Network)

  • 양충열;고제수;이창기;김환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7A호
    • /
    • pp.678-685
    • /
    • 2007
  • 광전송플랫폼 또는 차세대 패킷, TDM 데이터 통합 스위칭 시스템을 위한 망동기장치를 구현하고, 원더잡음 성분이 NG-SDH 광전송망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