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CP

검색결과 2,281건 처리시간 0.063초

모바일 ad-hoc 네트워크에서 TCP 성능 분석 (TCP Performance Analysis over Mobile ad-hoc Networks)

  • 남호석;조솔;이태훈;김준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B호
    • /
    • pp.800-808
    • /
    • 2007
  •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모든 IP 기반의 네트워크는 유선과 무선이 혼합된 형태의 네트워크로 진화해 나갈 것이다. TCP는 연결형의 신뢰성 있는 전송계층 프로토콜로서 모든 유선 네트워크의 실질적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TCP의 혼잡제어 알고리즘이 비트 에러, 링크의 단절, 경로의 변화로부터 혼잡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TCP는 모바일 ad-hoc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 TCP의 이론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모바일 ad-hoc 네트워크에서 TCP의 성능이 저하됨을 ns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간 통신을 위한 확장된 TCP/IP 프로토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nded TCP/IP protocol for real-time communication)

  • 윤영찬;박재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42-5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을 기반으로 연결되어 있는 분산 soft real-time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LAN/TCP라 명명된 확장된 TCP/IP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있다. LAN/TCP는 기존의 TCP/IP 환경에서 아무런 충돌 없이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soft real-time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을 별 다른 수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LAN/TCP는 주기적으로 수집, 갱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대적으로 낮은 트래픽으로 전송할 수 있는 PTM(Periodic Transmission Mode)전송 방식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제안된 프로토콜의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 PDF

마이크로파에 의한 생분해성 β-TCP/PLGA 복합체의 제조시 β-TCP 첨가량에 따른 영향 (The Influence of β-TCP Content on the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β-TCP/PLGA Composites Using Microwave Energy)

  • 진형호;민상호;박홍채;윤석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
    • /
    • 2006
  • Biodegradable $\beta$-tricalcium phosphate ( $\beta$-TCP)/poly(lactide-co-glycolide) (PLGA) composites were synthesized by in-situ polymerization with microwave energy. The influence of the $\beta$-TCP content in $\beta$-TCP/PLGA composites on the molecular weight, crystallinity,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investigated. As the molecular weight of composites decreased, the $\beta$-TCP content increased up to 10 wt.%, while the excess addition of the $\beta$-TCP content above 10 wt.% the molecular weight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beta$-TCP content. This behavior would be due to the superheating effect or nonthermal effect induced by microwave energy. It was found that the bending strength and Young's modulus of the $\beta$-TCP/PLGA composites was proportional to the molecular weight of PLGA. The bending strength of the $\beta$-TCP/PLGA composites ranged from 18 to 38 MPa, while Young's modulus was in the range from 2 to 6 GPa.

버스트 에러에 강인한 TCP 알고리즘 (Robust TCP algorithm against the burst error in wireless Internet)

  • 박종훈;배세인;유명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6B호
    • /
    • pp.548-553
    • /
    • 2004
  • 무선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기존 인터넷에서 제공받던 고품질의 서비스를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이동 환경에서도 제공 받고자하는 욕구가 늘고 있다. 하지만 무선 이동 환경에서는 유선 구간과 달리 무선 구간의 특성상 전파에 대한 간섭과 노이즈 현상이 심하여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현재 인터넷에서 별리 사용되고 있는 TCP는 유선 환경에 최적화되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전송 오류나 전파 간섭 등의 영향으로 비트 에러가 상대적으로 많은 무선 환경에서 성능 저하를 가져온다. 특히 전파 환경이 열악한 지하나 지하철 이동시 그 성능은 더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링크에서 빈번히 발생되는 전송 오류로 인한 TCP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Robust TCP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Robust TCP는 무선 환경에서 TCP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인 버스트 에러 상황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성능정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중복 승인을 사용하지 않는 TCP의 코드화된 무선 메쉬 망에서의 효과 (Effectiveness of DUPACK-independent TCP in Coded Wireless Mesh Networks)

  • 임찬숙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13
    • /
    • 2011
  • 네트워크 코딩이 사용되는 무선 메쉬 망에서의 TCP 처리량 저하 문제가 잘 알려져 있는 것에 비하면 효과적인 해결방안은 아직 많이 제안되지 않은 편이다. 지금까지 제안된 대부분의 방안들은 네트워크 코딩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패킷 바뀜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하위 계층에서 패킷 순서를 맞추도록 하거나 코딩 기회의 희소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내부에서의 패킷 전송률을 조정하려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표준 TCP들에 대한 모의실험을 통해, TCP 승인 패킷의 손실과 복제 또한 TCP의 처리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코드화된 무선 메쉬 망에서의 TCP 처리량 문제의 해소를 위해서는 중복 승인에 의존하지 않는 TCP가 더 적합함을 보여준다.

인터넷 통신에서 고속 TCP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지연 제어 (Delay Control using Fast TCP Prototype in Internet Communication)

  • 나하선;김광준;나상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194-120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고속 프로토타입 TCP 트래픽 제어 프레임워크를 TCP 기반의 신뢰할 수 있는 전송 및 윈도우 기반 혼잡제어로 확대한다. TCP의 소요 대역폭 응답의 적극성을 LTS(large time scale) 네트워크 상태의 함수 형태, 즉 RTT(round-trip time)가 결정한 피드백 루프의 한계를 넘어서는 정보의 형태로 조정하는 LTS 모듈과 TCP를 연계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특히, TCP 트래픽의 ACK를 지연시키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제어된 ACK 흐름은 TCP 활동의 트래픽 특성을 비교 평가한다. 링크 사용 또는 버퍼 점유에 대한 정보를 사용함으로서 혼잡 제어에 대한 ACK 지연을 통보할 수 있고, ACK 지연 메커니즘을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혼잡 제어를 통한 연결의 공정성 뿐 아니라 고속 TCP 프로토타입이 패킷 손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이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요구된 버퍼 크기에 대한 처리량이 뛰어남을 입증하였다.

오프셋을 활용한 효율적인 TCP SACK 메커니즘 (An Effective Solution to Overcome the Restriction of SACK Blocks' Number in TCP SACK)

  • 최린;홍충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7호
    • /
    • pp.1039-1046
    • /
    • 2005
  • TCP SACK은 sink의 순차적인 필드 상태를 나타내는 유일한 메커니즘이며, 여러 가지 변형된 TCP들은 최적의 성능을 위해서 SACK 메커니즘을 적용할 수 있다. RFC 2018에서 SACK 옵션은 수신자 측에 쌓여진 데이터 큐 각각의 연속된 블록으로 2개의 32비트로 정의되어 있다. TCP 옵션 필드는 최대 40바이트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TCP 수신자 큐에 있는 모든 데이터 블록들을 알려줄 수 있는 사용 가능한 옵션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며, TCP 송신자가 TCP sink에 의해서 수신된 패킷들을 불필요하게 재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TCP SACK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재전송을 제거하기 위해서 "one-byte offset based SACK mechanism" 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식의 분석과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방식은 최소한의 바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메커니즘들보다 오버헤드를 줄였고,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에러율이 적은 효율적인 메커니즘임을 입증하였다.

고성능 Hybrid TCP/IP Offload Engine 구현을 위한 TCP/IP 프로토콜 분석 (Analysis of TCP/IP Protocol for Implementing a High-Performance Hybrid TCP/IP Offload Engine)

  • 장한국;오수철;정상화;김동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2권6호
    • /
    • pp.296-305
    • /
    • 2005
  •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인터넷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TCP/IP가 호스트 CPU에서 처리되는데, 이는 호스트 CPU에 많은 부하(load)를 발생시켜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네트워크 어댑터에서 TCP/IP를 처리하는 TCP/IP Offload Engine(TO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inux 운영체제에 내장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구조를 분석하고, 통신을 수행할 때 프로토콜 스택의 각 함수에서 소모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호스트 CPU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주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CPU에 많은 부하를 발생시키는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하고 나머지 기능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Hybrid TOE 구조를 제안한다.

802.11 무선 네트워크에서 TCP 성능 향상을 위한 기법 (A Mechanism to improve the TCP performance in 802.11 Wireless Networks)

  • 장복전;김준환;박용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2호
    • /
    • pp.97-103
    • /
    • 2009
  • 최근 802.11 무선 네트워크에서 TCP성능 향상을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End-to-end 연결에서 TCP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hop-count와 RTT (Round Trip Time) 이다. 본 논문에서는 TCP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hop-count와 RTT 변경 시 적절한 CWND값을 설정하여 TCP-CEV을 변경하는 기법을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기본 TCP 구조를 따르는 대부분의 transport 프로토콜에 적합하고, 분석적인 과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체인 토폴로지에서 12%, 격자 토폴로지에서 4.9% 이상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TCP window가 특정 값에 수렴하는 것을 보인다.

An Extension to TCP HACK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CP in Lossy Environments

  • Niu, Ying-Xia;Hong, Choong-Seon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217-219
    • /
    • 2002
  • TCP has been designed and tuned as a reliable transfer protocol far wired links. However, it incurs end-to-end performance degradation in wireless environments where packet loss is very high. TCP HACK(Header Checksum Option) is a novel mechanism proposed to improve original TCP in lossy link. It presents an extension to TCP that enables TCP to distinguish packet corruption from congestion in losssy environments. TCP HACK performs well when the sender receives the special ACKs correctly, hut if the ACKs are also lost much, the efficient of TCP HACK will net be prominent.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xtension to TCP HACK, which can perform well even when the ACKs are much corrup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