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BL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대학생의 팀기반학습에서 메타인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on Learning Flow of Team-Bas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 한주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375-383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팀기반학습(TBL)에서 메타인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및 메타인지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7년 1학기, 총 6주간 팀기반학습에 참석한 98명의 간호대학생이었다. 자료는 2017년 6월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메타인지와 공유리더십, 학습몰입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는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공유리더십은 메타인지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에게 팀기반학습을 활용하여 수업을 할 경우 메타인지를 최대한 높이고 공유리더십을 향상시켜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RFs와 TBL을 이용한 자동화된 음성인식 후처리 방법 (An Automatic Post-processing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using CRFs and TBL)

  • 선충녕;정형일;서정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9호
    • /
    • pp.706-711
    • /
    • 2010
  • 음성 인식기의 오류는 음성기반 응용 시스템들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오류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의 후처리 기법들은 수동 작업을 통한 코퍼스나 규칙으로 후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제나 인식기의 특성에 무관하게 자동으로 학습할 수 있는 후처리 모델을 제안한다. 후처리의 문제를 오류의 인식과 수정으로 구분하고 오류 검출 문제는 순차적인 분류 문제로 간주하여 conditional random fields(CRFs)를 사용하고 오류 수정 규칙은 transformation-based learning(TBL)을 이용하여 자동 생성하여 적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여행 예약 영역의 음성 인식기에 적용한 결과 삽입, 삭제, 치환 오류를 각각 25.85%, 3.57%, 7.42%을 수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인식기의 어휘 오류율을 2% 감소시킬 수 있었다.

기초간호과학 해부학 교육에서의 팀기반 학습 효과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Anatomy Subject for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 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098-7108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기초간호과학 해부학교육에 팀기반 학습이 학습태도,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행된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연구이다. 해부학 교과목을 수강한 145명을 6~7명의 팀을 나누어 팀기반 학습을 12주간 시행하여 교과목 수강전후 설문조사와 팀기반 학습에 대한 적용에 대한 반구조적인 면담술을 하였다. 양적연구는 SPSS WIN 18.0 을 이용하여 빈도,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질적연구는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동기(t=-2.97, p<.003)와 자기주도적 학습력(t=-2.40, p<.018)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학습태도,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력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팀기반 학습을 해부학 수업에 효과적인 교육법이며 추후 타 교과목에서의 팀기반 학습 적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팀 기반 학습을 이용한 건축시공 교육의 학습효과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n Learning Effects of the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Team-based Learning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 김재엽;원종성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1-109
    • /
    • 2017
  • 본 연구는 건축공학교육에의 팀 기반 학습의 도입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건축공학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팀 기반 학습 교육 프로그램을 수정, 제안하고, 제안된 팀 기반 학습을 건축시공학 수업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팀 기반 학습 강의는 준비단계, 학습준비도 확인단계, 활용단계로 구성되었다.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수강생들의 학습효과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팀 기반 학습 강의의 학습효과와 만족도가 이론식 강의보다 높았다. 학습준비도 확인단계의 학습준비도 확인시험의 학습효과와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활용단계의 평가에 대한 학습효과와 만족도는 낮았다.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 실습 수업에서 약학대학 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플랫폼 선호도: 예비 연구 (Effects of Blended Learning on Pharmacy Student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latform Preferences in a Team-based Learning Pharmacy Experiential Course: A Pilot Study)

  • 김소원;최은주;이윤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2-209
    • /
    • 2023
  • Background: With the emergent transition of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need for online/offline blended learning that can effectively be utilized in a team-based learning (TBL) course has emerged. Methods: We used the online metaverse platforms, Gather and Zoom, along with face-to-face teaching methods in a team-based Introductory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IPPE) course and examined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s well as their preferences to the learning platform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after the IPPE course completion.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Excel and SPSS. Results: Students had high levels of course satisfaction (4.61±0.57 out of 5) and achievement of course learning objectives (4.49±0.70 out of 5), and thes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ile students believed that the face-to-face platform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many of the class activities, they responded that Gather was the most effective platform for team presentations. The majority of students (64.3%) indicated that blended learning was the most preferred method for a TBL course. Conclusion: Students in a blended TBL IPPE course had high satisfaction and achievements with the use of various online/offline platforms, and indicated that blended learning was the most preferred learning method. In the post-COVID-19 era, it is important to utilize the blended learning approach in a TBL setting that effectively applies online/offline platforms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to maximize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국내 섬유패션산업의 사회적 책임 경영에 관한 연구 -웹사이트상의 정보공시 현황을 중심으로-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actices of the Textiles and Apparel Industry -Content Analysis of Website Disclosures-)

  • 이민정;마윤진;이민선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1호
    • /
    • pp.45-57
    • /
    • 2017
  •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tu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mong textiles and apparel manufacturers and retailers in Korea, based on the Triple Bottom Line (TBL). We also investigate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CSR practices on the websites of companies. A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website disclosures of 61 listed companies categorized in the textiles, apparel, shoes, and luxury industry. Analysis was focused on the presence, accessibility, and the level of CSR website disclosure. Seven themes emerged by applying the constant comparison analysis. Using Scott's formula for pi, a high level of inter-coder reliability was achieved, ranging from 0.91 to 0.97. Regarding the three dimensions of CSR suggested in TBL, economic dimension was relatively more emphasized in the website disclosures of most companies, compared to social and environment dimensions. Website disclosures were further investigated, based on the product categories of each compan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표면조도가 있는 난류경계층에서의 직접수치모사 (Direct numerical simulation of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with rod-roughened wall)

  • 이승현;성형진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6년 제4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5-448
    • /
    • 2006
  • The effects of surface roughness on a spatially-developing turbulent boundary layer (TBL) were investigated by performing direct numerical simulations of TBLs over rough and smooth walls.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momentum thickness was varied in the range $Re_{\theta}=300{\sim}1400$. The roughness elements used were periodically arranged two-dimensional spanwise rods, and the roughness height was $k=1.5{\theta}_{in}$, which corresponds to $k/{\delta}=0.045{\sim}0.125$. To avoid generating a rough wall inflow, which is prohibitively difficult, a step change from smooth to rough was placed $80{\theta}_{in}$ downstream from the inlet. The spatially-developing characteristics of the rough-wall TBL were examined. Along the streamwise direction, the friction velocity approached a constant value and a self-preserving form of the turbulent stress was obtained. Introduction of the roughness elements affected the turbulent stress not only in the roughness sublayer but also in the outer layer. Despite the roughness-induced increase of the turbulent stress in the outer layer, the roughness had only a relatively small effect on the anisotropic Reynolds stress tensor in the outer layer. Inspection of the triple products of the velocity fluctuations revealed that introducing the roughness elements onto the smooth wall had a marked effect on vertical turbulent transport across the whole TBL. By contrast, good surface similarity in the outer layer was obtained for the third-order moments of the velocity fluctuations.

  • PDF

학부과정의 다학제 융합 교과 수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수업 개선을 중심으로 - (Narrative Inquiry about Practical Experience of an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Class of Design and Engineering - Focusing on an improvement of the class -)

  • 이상선;김동민;김미희;김수찬;김한중;이인석;박경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1-141
    • /
    • 2015
  • 본 논문은 3년간(2012~2014) 학부에서 진행된 다학제 융합수업 개선을 위하여 융합 교육과정, PBL(Problem Based Learning)과 TBL(Team Based Learning)의 활용, 효과적인 발표 등에 대한 딜레마를 다루었으며,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시간, 장소, 교육과정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기술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몇 가지 수업 개선점을 제안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융합수업에서 교수들의 미니 강의비율이 대체로 높다. 강의시간을 1/4로 줄이고 수업시간에 중요한 토론과 과제를 마칠 수 있도록 시간을 배려하고, 즉각적인 도움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과제부담은 줄어들 것이다. 둘째, 기존의 교육과정 틀을 유지한 채 융합수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각 학과 전공교육과정에 '융합교과목'이라는 과목을 설치하여 다른 학과 교수와 함께 수업을 개설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셋째, 본 수업에서 PBL과 TBL를 동시에 적용하는 효율적인 수업진행 방식은, TBL에서 요구하는 과제를 하나의 문제 상황으로 생각하고 PBL 학습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적인 발표수업은 매시간 발표할 기회를 학생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팀 발표수업의 횟수는 한 학기 3번이 적당하지만, 발표시간이나 방법은 수정이 필요하다. 발표 전날 모든 팀으로부터 발표내용을 받고, 팀 발표시간은 15분에서 30분으로 늘리고 2일 동안 발표를 한다면 학생은 발표 준비와 진행에 여유를 갖게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에듀테인먼트 활성화를 위한 팀기반학습(TBL) 효과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TBL) for Edutainment Activation in Nursing Students)

  • 김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97-408
    • /
    • 2019
  • 본 연구는 혈관·혈액계 장애 대상자 간호를 주제로한 성인간호학 전공필수 교과목에서 팀기반학습 수업이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간호대학생의 문제 해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인 유사실험 연구로서 G광역시 3학년 간호대학생을 편의표집하여 실험군 66명과 대조군 66명의 총 1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팀기반학습 수업 전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사전설문조사를 하였고, 실험군에게는 표준화된 팀기반학습 수업 3단계 프로토콜에 따라 총 6회 12시간의 팀기반학습 수업을 진행하였다. 팀기반학습 수업 후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사후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은 팀기반학습 수업을 받은 실험군(3.57±.40)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3.35±.40)보다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높아졌고, 사전점수를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9.179, p=.003).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팀기반학습 수업을 받은 실험군(3.54±.42)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3.35±.48) 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가 높아졌고, 사전점수를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7.447, p=.007).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는 팀기반학습 수업을 받은 실험군(3.79±.40)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3.58±.37)보다 학습동기 점수가 높아졌고, 사전점수를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7.974, p=.006). 따라서, 팀기반학습 수업은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임을 확인하였다.

난류경계층에 의한 다층재질 원통형 실린더의 유체소음 해석 연구 (A Study of Flow Induced Noise for Multilayered Cylinder due to Turbulent Boundary Layer)

  • 신구균;홍진숙;이헌곤
    • 소음진동
    • /
    • 제6권5호
    • /
    • pp.671-677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tical method for predicting turbulence- induced noise in the multilayered cylinder composed of an outer hose, an inner fluid and an internal core. It is assumed that an infinite axisymmetric cylinder is located horizontally in water with free stream velocity and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TBL) surrounding the outer hose is fully developed and homogeneous. The transfer function at the core surface due to the propagation of the pressure fluctuation within the TBL is formulated using the linearized Navier-Stockes equation for solid and fluid. In the estimation of the energy spectrum of wall pressure fluctuation, the empirical formula proposed by Strawderman based on the Corcos model is used. A general algorithm for the calculation of the pressure level at the surface of a core, that is, turbulence- induced noise, is presented. Through the detailed numerical simulation, it is found that the major noise mechanism is the propagation of the bulge wave along ho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