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A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진정아미노산이용율(TAAA)방법에 의한 단백질공급원의 아미노산 이용율 및 대사에너지 측정 (Determination of Amino Acid Availability and Metabolizable Energy in Protein Feedstuffs by True Amino Acid Availability(TAAA) Method)

  • 남궁환;백인기;이희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89-196
    • /
    • 1993
  • TAAA(true amino acid availability)방법에 의해 단백질공급원들의 진정아미노산 이용율과 대사에너지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원료당 수탉 3수씩을 공시하여 35시간 절식후 30g의 시험원료를 강제급이 한 다음 36시간 동안 분요를 채취하였다. 진정아미노산 이용율은 단백질원료간에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는데 어분(96.1%)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옥수수글루텐(91.2%), 채종박(88.8%), 대두박(88.7%), 육골분(87.2%), 캐놀라박(86.1%), 면실박(82.6%) 그리고 우모분(82.5%) 순이었다. TAAA방법에 의한 가용 Iysine 값은 chick bioassay(CBA)나 화학적 방법중 FDNB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용 Iysine 값과 고도(P<0.01)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정대사에너지가는 옥수수글루텐(4,011 kcal/kg)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어분(3,906), 우모분(3,098), 대두박(3,007), 육골분(2,631), 캐놀라(2,326), 면실박(2,246) 그리고 채종박(2,120) 순이었다.

  • PDF

생미강의 영양적 가치와 사료 내 첨가가 육계 성적에 미치는 영향 (Nutritional Values of Rice Bran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s on the Performances of Broiler Chickens)

  • 신영근;김관응;신승철;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5-150
    • /
    • 2004
  • 본 실험은 생미강을 부존 사료 자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사료적 가치 평가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과 동시에 TAAA와 TMEn을 이용한 사료배합의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생미강을 강제 급여함으로서 TME, TMEn 그리고 TAAA를 측정하였고, 실험 2에서는 대조구, 생미강(5, 10, 15%) 첨가구의 4개 처리구에 처리당 3반복 반복당 6수로 완전 임의 배치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생미강의 TME와 TMEn은 건물기준으로 각각 3.25 kcal/g와 3.12 kcal/g이었고, 16개 아미노산의 평균 생체 이용율(TAAA)은 76.21% 이었다. 3주령부터 6주령까지 실시한 사양실험에서 생미강 첨가구에서 사료섭취량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도 생미강 첨가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TMEn과 TAAA를 기초로 사료를 배합할 경우 부존원료의 이용에 의한 성장성적의 저하를 막을 수 있었고, 생미강을 15%까지 첨가하여도 아무런 부정적인 영향 없이 사료를 배합할 수 있어 부존 사료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국내산 탈지미강의 영양적 가치 평가와 사료 내 첨가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he Nutritive Value of Local Defatted Rice Bran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김은집;안병기;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59-766
    • /
    • 2003
  • 본 연구는 탈지미강의 부존사료원료로써의 영양적 가치 평가와 사료 내에 첨가수준을 달리했을 때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Ⅰ에서는 절식구 8수, 탈지미강 급여구 8수, 총 16수의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강제급여에 의해 탈지미강의 TME, TMEn 및 TAAA를 평가하였다. 탈지미강의 TME와 TMEn은 건물 기준으로 각각 2.19 kcal/g, 2.05 kcal/g이었으며, 15개 아미노산의 평균 생체이용률은 77.29%로 나타났다. 실험Ⅱ에서는 옥수수와 대두박 위주의 대조구 사료와 탈지미강을 5%, 10% 및 15%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사료를 총 72수의 육계 (4처리, 3반복, 반복당 6수)에 3주간 급여하였다. 사료섭취량은 탈지미강 1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지만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주당 증체량은 탈지미강을 여러 수준으로 첨가한 처리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탈지미강 10% 및 15%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약간 높아졌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탈지미강 5% 첨가구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료요구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사료 원료의 정확한 품질 평가 및 생체이용률을 근거로 사료를 배합했을 때 항영양인자가 함유되어 있지 않는 한 사료의 품질저하를 막을 수 있었고, 탈지미강 역시 가금 사료 내에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하여 부존사료원료로써 이용할 수 있다는 결과가 시사되었다.

Canola전지종실과 유박 및 기름의 대사에너지 함량과 아미노산 이용률 (Metabolizable Energy Contents and Amino Acid Availability values in the Full-Fat Seeds, Oil Meals and Oils of Canola)

  • 이규호;심정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07
    • /
    • 1990
  • 본시험은 Canola 전지종실과 Canola 박 및 Canola 유의 유효에너지가(AM 및 TME)와 아미노산 이용을(TAAA)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시험에는 단관백색레그혼종(S.C.W.C.) 성계수탉이 실시되었으며, AME시험에서는 측정사료인Canola 전지증실, Canola 박 Canola 박+유(60:40)을 30% 그리고 Canola 유를 10% 배합한 4종의 시험사료와 기초사료를 각각 자유채식시켰고 예비시험기간은 3일 채분기간은 4일이었다. TME와 TAAA시험에서는 Canola 전지종실과 Canola 박은 단-사료로, Canola 박+유와 Canola 유는 각각 기초사료에 30%와 10%의 비율로 혼합하여 각각 1일 30g을 24시간의 절식기간 후에 강제투여(force feeding)하였고 48시간동안 전분을 채취하였다. 모든 에너지가는 질소정정 에너지가로 환산하였는데, Canola 전지종실, Canola 박, Canola 유 및 Canola +유의 AMEn가는 각각 4,485, 1,984. 8,275 및 5,655 kcal/kg이었고 TMEn가는 각각 4,577, 2,103, 8,487 및 5,630kcal/kg으로 측정되어 Canola 박+유는 Canola 전지종실보다 높은 에너지가를 나타냈으며(P<0.01), 전반적으로 Canola전지종실은 Canola 박보다 높은 TAAA가를 나타냈다.

  • PDF

수입 옥수수들의 TME가와 In vitro 방법에 의해 측정한 ME가의 비교 (Comparison of TME Values of Imported Corns and ME Values Determined by In vitro Method)

  • 조중호;백인기;현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737-744
    • /
    • 2007
  • 수입 옥수수들의 TME가를 구하고 진정 아미노산 이용율(TAAA) 그리고 여타 진정 영양소 이용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57주령 된 Hy-Line rooster 24수를 대사 케이지에 수용하고 미국산 (USA), 아르헨티나산(ARG), 중국산(CHN), 중국산‐premium(CHNP) 등 원산지별로 5수씩 공시하였고 내인성 에너지가와 아미노산을 측정하기 위해 4수를 절식구로 두어 총 4회에 걸쳐 4주 간격을 두고 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TME값은 In vitro 방법에 의해 측정한 MEn, ME 그리고 MEpc와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풍건물(as fed) 기준으로 한 TME 값에 있어서 USA구가 3,745로 ARG구 3,555 그리고 CHNP구 3,517 보다 유의하게(P<0.01) 높았고 CHN구 3,671kcal/kg와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건물(DM) 기준 TME 값은 USA구가 4,144로 CHN구 4,060와 CHNP구 4,008과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ARG구 4,001kcal/kg 보다는 유의하게(P<0.05) 높았다. 옥수수의 phenylalanine, histidine 그리고 arginine의 TAAA는 수입 옥수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USA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체 아미노산의 TAAA에 있어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USA 옥수수가 89.4%로 다른 원산지 옥수수들인 ARG 89.3%, CHN 89.1%, CHNP 86.5% 보다 다소 높았다. 영양소 이용률에 있어서 NFE 이용율은 USA, ARG 그리고 CHN 옥수수가 CHNP 옥수수 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으며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및 조회분의 이용율에는 시료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TME가와 In vitro 방법에 의해 측정된 MEn가 사이의 상관계수는 0.91로 P<0.1이었으나 TME가와 ME가 그리고 TME가와 MEpc가 사이에서의 상관계수는 각각 0.90과 0.83으로 P>0.1이었다. 결론적으로 미국산 옥수수가 TME값과 아미노산 이용율이 가장 높았고 중국산 premium corn은 중국산 regular corn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n vitro 방법으로 옥수수의 TME가를 추정할 경우 MEn값 산출 공식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고추씨의 영양적 가치 평가와 사료 내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장익훈;노성래;권순관;김은집;임호중;강창원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54-55
    • /
    • 2001
  •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ing values of red pepper seed (Exp. 1) and to investigate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layer performances (Exp. 2). The values of TME, TMEn and average TAAA determined by force-feeding 14 roosters (Hy-line) were 2.83 kcal/g, 2.94 kcal/g and 82.72%, respectively. a total of 200 layers (ISA-brown) was divided into 4 groups with 5 replicates of 10 birds per replicate, and fed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 of red pepper seed (0, 3, 5, 10%).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erformances of laying hens among treatments. Liver lipids in all groups containing red pepper seed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P<0.05).

  • PDF

내장동맥 탈분지술과 혈관내 교정 하이브리드 술식으로 치료한 흉복부대동맥류 치험 - 2예 보고 - (Hybrid Endovascular Repair of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Using Visceral Debranching Technique - 2 case reports-)

  • 김종우;최준영;이상호;장인석;심희제;신태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47-752
    • /
    • 2010
  • 흉복부대동맥류 질환에서 고전적인 수술은 고위험군 환자에서 아직까지 높은 합병증 발생과 사망률을 나타낸다. 최근에는 스텐트 그라프트를 이용한 혈관내 시술(endovascular repair)이 시행되고 있으나 내장동맥의 보존이 시술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저자들은 2명의 고위험군 흉복부대동맥류 환자에서 내장동맥 우회술과 흉복부대동맥에 스벤트 그라프트를 삽입하는 하이브리드 술식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True Metabolisable Energy and True Amino Acid Availability in Chinese Varieties of Dehulled and Hulled Soybean Meals Determined with Adult Roosters

  • Wang, Jitan;Li, Defa;Gong, Limin;Xing, Jianjun;Shen, Huile;Ma, Guolong Song Fab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0호
    • /
    • pp.1487-1494
    • /
    • 2003
  • Studies were conducted with intact White Leghorn roosters to determine the true metabolisable energy (TME) and the true amino acid availability (TAAA) in five dehulled and hulled soybean meals produced in China. 60 roosters, kept in individual cages, were fasted for 48 h and then tube-fed 50 g of one of experimental feedstuffs and their excreta was then collected for the subsequent 48 h period. Two separate collection periods were used with each meal being fed to 12 roosters. The birds were given a 15-day recovery period between collection periods. An additional 12 roosters were either fasted or fed a protein-free diet in order to estimate the extent of endogenous losses of energy and amino acids in excreta. The average values per bird for nitrogen loss, endogenous energy losses (EEL) and endogenous energy losses corrected to zero-nitrogen balance ($EEL_n$) were found to be 0.74 g, 47.0 kJ and 21.5 kJ,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TME and TAAA values of dehulled soybean meal were higher than those of hulled soybean meal. The TME and nitrogen-corrected TME metabolisable energy values of dehulled soybean meal were 10.58 and 10.74 MJ/kg, respectively, while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hulled soybean meal were 10.03 and 10.27 MJ/kg, respectively. The average indispensable and dispensable amino acid availability of dehulled soybean meal was 92.1 and 93.5%, compared with 89.3 and 91.4% for hulled soybean meal. Dehulled soybean meal would therefore appear to be superior to hulled soybean meal as a source of protein and energy for use in poultry rations.

Nutrient Digestibility of Palm Kernel Cake for Muscovy Ducks

  • Mustafa, M.F.;Alimon, A.R.;Zahari, M.W.;Idris, I.;Bejo, M. Hai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514-517
    • /
    • 2004
  • Expeller pressed and solvent extracted palm kernel cake (PKC) were force-fed to male and female Muscovy ducks at 7 weeks of age. The nutrient digestibility,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 true metabolizable energy (TME) and true available amino acid (TAAA) digestibilities were determined. There was no significant (p>0.05) effect of the type of PKC used on crude protein (CP), ether extract (EE), metabolizable energy (ME) and amino acid (AA) digestibilities. However,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DM) and neutral detergent fibre (NDF) was found to be higher in solvent extracted compared to expeller pressed PKC. The average digestibility of DM, CP, NDF and EE were 43, 58, 39 and 89%, 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ducks utilized about 47% of the gross energy of PKC. The respective average AMEn and TMEn values of PKC for Muscovy ducks was 1,743 and 1,874 kcal/kg. The overall TAAA of PKC for Muscovy ducks was 65%. The data on the TMEn and digestible AA for PKC obtained from this study provide new information with regard to diet formulation for Muscovy ducks.

호마박의 영양적 가치 평가 및 산란계 사료 내 첨가각 사양 성적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he Feeding Value of Sesame Oil Meal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s of Laying Hens)

  • 임호중;안승민;유선종;김용란;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55-263
    • /
    • 2004
  • 본 연구는 호마박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고 산란계의 성적에 미치는 호마박의 첨가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16수의 ISA-Brown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강제 급여 방법에 의해 호마박의 진정 대사에너지(TME),질소 보정 진정 대사 에너지 (TMEn)및 진정 아미노산 이용률(TAAA)을 조사하였다. 호마박의 TME 및 TMEn은 각각 2.30 kca1/g및 1.99 kcal/g이었고, 15개 아미노산의 평균 이용률은 $76.93\%$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48주령의 ISA-Brown산란계 90수를 3개 처리(대조구, 호마박 $5\%$, 호마박 $10\%$)로 나누어 4주간의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사료 내 호마박 첨가가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란계 사료 내에 호마박을 $5\%$$10\%$첨가했을 때 난 생산성 및 생산된 계란의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마박 $10\%$ 첨가구에서 난황 내 Cl8:3 $\omega$3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청 내GOT, G-GT, BUN및 cholesterol 조성에 있어서도 처리간에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호마박을 정확한 원료 평가를 거쳐 사용한다면 산란계 사료에 있어서 $10\%$까지 사용하여도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았으며, 공시계에게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는 않았다는 결과가 시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