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7F

검색결과 1,843건 처리시간 0.038초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이용(利用)한 전작용완효성(田作用緩效性) 복비개발(複肥開發) -II. 배추에 대(對)한 완효성(緩效性) 복비효과 (Development of Slow-release Compound Fertilizer Used Urea-resin for Upland Crop -II. Effect of Slow-release Compound Fertilizer on Chinese Cabage)

  • 성기석;김복진;신재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0-54
    • /
    • 1991
  • 조입성형제(造粒成型劑)로 사용(使用)된 요소수지(尿素樹脂)의 U/F반응(反應) mole비(比) 및 첨가량(添加量)이 각각(各各) 다른 시제품(試製品) 5종(種)을 단비분시(單肥分施)를 대조(對照)로 배추에 대(對)한 비효시험(肥效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추수량(收量)은 U/F반응(反應) mole비(比) 1.0인 요소수지(尿素樹脂)가 6.7% 첨가(添加)된 시제품(試製品) V에서 가장 높았고 U/F반응(反應) mole비(比)가 가장 낮고 첨가량(添加量)이 가장 많은 시제품(試製品) VII에서는 3요소(要素) 분시구(分施區)에 비(比)하여 감수(減收)하였다. 2. 배추용(用) 완효성(緩效性) 복비(複肥)의 질소(窒素) 완효도(緩效度)는 24시간후(時間後) 수중전질소(水中全窒素) 용출률(溶出率) 76.1%, 100일후(日後) 토양중(土壤中) 전질소(全窒素) 용출률(溶出率) 71.7%가 적합(適合)하였다.

  • PDF

PET직물의 감량율과 직물구조인자에 따른 열적 쾌적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omfort to the Weight Reduction Rate and Fabric Structural Parameters of PET Fabrics)

  • 이희준;이민수;김승진;조대현;김태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16-825
    • /
    • 1998
  • This study surveys the thermal property and air permeability to the weight reduction rate of PET fabrics. For this purpose, 12 kinds of satin and 18 kinds of plain weave fabrics are prepared with change of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weft yarn count, t.p.m. and density. The weight reduction rate was 0%, 12%, 25% and 30%. The warm/cool feeling(Qmax), thermal insulating value(T.I.V.) and thermal conductivity(K) were measured by KES-F7 System and discussed in relation with the weight reduction rate, weft yarn linear density, t.p.m., weft density of fabric and weave structure.

  • PDF

다운증후군 환자의 치주질환 원인균의 출현율 (PERIODONTOPATHIC BACTERIA IN DOWN'S SYNDROME)

  • 김선미;양규호;최남기;오종석;강미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17-725
    • /
    • 2005
  • 다운증후군 환자는 치주질환의 진행이 빠르고 치주조직의 파괴가 심하다. 다운증후군 환자의 치주질환 원인균의 출현율을 알아보고자 $7{\sim}19$세 다운증후군 환자 27명과 대조군으로 나이가 비슷한 정신지체자 27명을 대상으로 치태지수와 치은염 정도를 나타내는 치은지수를 측정하고 치은연하 치태에 존재하는 P. gingivalis, T. forsythia, T. denticola, F. nucleatum, A. actinomycetemcomitans균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 검사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다운증후군 환자와 대조군의 치태지수와 치은지수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2. 다운증후군 환자에서 F. nucleatum의 출현율이 96.3%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T. forsythia 74.1%, P. gingivalis는 63.0%였으며 A. actinomycetemcomitans는 55.6%, T. denticola는 40.7%로 출현하였다. 정신지체자는 다운증후군 환자와 비슷한 순서로 치주질환 원인균이 출현하였다. 다운증후군 환자가 대조군에 비해 T. denticola를 제외한 4종의 균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치주질환 원인균 출현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3. 연령에 따른 연구에서 $7{\sim}10$세군에서 다운증후군환자의 P. gingivalis는 16.7%로 낮은 출현율을 보였으나 연령의 증가에 따라 출현율이 평균 53.0%로 높아졌다. 반면 A. actinomycetemcomitans균은 $7{\sim}10$세군부터 83.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5) 같은 연령대에서 다운증후군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치주질환 원인균의 출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A. actinomycetemcomitans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P. gingivalis, T. forsythia, T. denticola가 함께 나타난 경우는 다운증후군 환자와 대조군 모두 33%를 나타내었다. red complex에 A. actinomycetem comitanstans까지가 나타난 경우는 다운증후군 환자에서 22%, 대조군에서 14%로 다운증후군 환자에서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운증후군 환자군과 정신지체자 대조군 모두에서 치주질환 원인균이 어린 시기부터 매우 높게 출현하였으나 전체적인 두 군간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주질환 원인균 출현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A. actinomycetem comitans균은 $7{\sim}10$세군 다운증후군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gar-Degrading Marine Bacterium, Gayadomonas joobiniege gen, nov, sp. nov., from the Southern Sea, Korea

  • Chi, Won-Jae;Park, Jae-Seon;Kwak, Min-Jung;Kim, Jihyun F.;Chang, Yong-Keun;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1호
    • /
    • pp.1509-1518
    • /
    • 2013
  • An agar-degrading bacterium, designated as strain $G7^T$, was isolated from a coastal seawater sample from Gaya Island (Gayado in Korean), Republic of Korea. The isolated strain $G7^T$ is gram-negative, rod shaped, aerobic, non-motile, and non-pigmented. A similarity search based on its 16S rRNA gene sequence revealed that it shares 95.5%, 90.6%, and 90.0% similarity with the 16S rRNA gene sequences of Catenovulum agarivorans $YM01^T$, Algicola sagamiensis, and Bowmanella pacifica W3-$3A^T$, respectively. Phylogenetic analyses demonstrated that strain $G7^T$ formed a distinct monophyletic clade closely related to species of the family Alteromonadaceae in the Alteromonas-like Gammaproteobacteria. The G+C content of strain $G7^T$ was 41.12 mol%. The DNA-DNA hybridization value between strain $G7^T$ and the phylogenetically closest strain $YM01^T$ was 19.63%. The genomes of $G7^T$ and $YM01^T$ had an average ANIb value of 70.00%. The predominant isoprenoid quinone of this particular strain was ubiquinone-8, whereas that of C. agarivorans $YM01^T$ was menaquinone-7. The major fatty acids of strain $G7^T$ were Iso-$C_{15:0}$ (41.47%), Anteiso-$C_{15:0}$ (22.99%), and $C_{16:1}{\omega}7c/iso-C_{15:0}2-OH$ (8.85%), which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YM01^T$. Comparison of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carbon utilization, enzyme production, and susceptibility to antibiotics also demonstrated that strain $G7^T$ is distinct from C. agarivorans $YM01^T$. Based on its phenotypic, chemotaxonomic, and phylogenetic distinctiveness, strain $G7^T$ was considered a novel genus and species in the Gammaproteobacteria, for which the name Gayadomonas joobiniege gen. nov. sp. nov. (ATCC BAA-2321 = $DSM25250^T=KCTC23721^T$) is proposed.

불소 테잎 적용 후 시간변화에 따른 타액 내 불소농도 (A CHANGE OF THE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 AFTER FLUORIDE-CONTAINING TAPE APPLICATION)

  • 박승효;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77-384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기저재에 불소를 분사하여 제작한 불소 테잎을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도포 후 잔류하는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APF gel(60seconds $taste^{(R)}$, 1.23% APF gel, Group I), Fluoride varnish($CavityShield^{TM}$, 5% NaF, Group II), Fluoride tape(SCMC-T-5, 5% NaF, Trial product, Group III)을 군별로 9명씩 건강한 20대 남녀성인의 구강에 도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7시간, 1일, 2일, 3일 후 비자극성 전타액내 불소농도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 2, 3일 후와 비교하여 모든 그룹에서 7시간 까지 초기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소농도를 보였다. 도포 후 1, 2, 3일에는 초기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도포 후 1, 3, 5, 7시간에 타액 내 불소농도는 모든 시간에서 2군, 3군, 1군 순으로 높았다. 3. 도포 후 1시간과 3시간 후에 2군의 불소농도는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1군과 3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쌍끌이 중층트롤어법의 연구 ( 1 ) - 모형어구의 망구형상에 관하여 - ( A Study on the Pair Midwater Trawling ( 1 ) - Mouth Performance of the Model Net - )

  • 이병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1호
    • /
    • pp.29-44
    • /
    • 1995
  • A model experiment on the pair midwater trawl net applicable to 800 PS class Korean pair bottom trawlers was carried out in the special-prepared experimental thank. the tank was prepared as a reverse trapezoid shape in its vertical section by digging out flat soil. The dimension of the tank showed the 9.6 W$\times$43.0 L(m) of the upper fringe and the 4.8 W$\times$38.0 L(m) of the bottom with 3.0m in depth. The depth of water was maintained 2.7m during experiment. The model net was prepared based on the Tauti's similarity law of fishing gear in 1/30 scale considering the dimension of the experimental tank. Mouth performance of the model net during towing were determined by the photographs taken in front of the net mouth with the combinations of towing velocity, warp length and distance between paired boats.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Vertical opening of the model nets A and B was varied in the range of 0.18~0.88 m and 0.21~0.78 m (which can be converted into 5.4~26.4m and 6.3~23.4 m in the full-scale net) respectively, and was varied predominantly by towing speed. Vertical opening (H which is appendixed m for the model net. f for the full-scale net. A and B for the types of the model net) can be expressed as the function of towing velocity$V_t$as in the model net $V_t$ : m/ sec)$H_{mA}$=1.67$e^{-1.65V_t}$ $H_{mB}$=1.15$e^{-1.13V_t}$, in the full-scale net ($V_t$ : k't) $H_{fA}$=50.27$e^-0.37V_t$ $H_{fB}$=34.46$e^{-0.26Vt}$. 2. Horizontal opening of the model nets An and b was varied in the range of 1.03~1.54m and 1.04~1.55 m (which can be converted into 30.9~46.2 m and 31.2~46.5m in the full-scale net) respectively, and was varied predominantly by distance between paired boats. Horizontal opening (W, appendixes are as same as the former) an be expressed as the function of distance between paired boats $D_b$as in the model net $W_{mA}$=0.69+0.09$D_b$ $W{mB}$=0.73+0.09$D_b$, in the full-scale net $W_{fA}$=20.81+0.09$D_b$ $W_{fB}$=22.11+0.09$D_b$ 3. Net opening area of the model net A and B was varied in the range of 0.28~1.04 $m^2$ and 0.33~0.94$m^2$(which can be converted into 252~936$m^2$ and 297~846$m^2$ in the full-scale net) respectively, and was varied predominantly by towing velocity. Net opening area ($S$, appendixes are as same as the former) van be expressed as the function of towing velocity$V_t$ as in the model net $v_t$ : m/sec) $S_{Ma}$=2.01$e^{-1.54V_T}$ $S_{mA}$=1.40$e^{-1.65V_t}$, in the full-scale net ($V_t$ : k't) $S_{fA}$=1.807$e^-0.35V_t$ $S_{fA}$=1.265$e^{-0.24V_t}$. 4. Filtering volume of the model nets A and B was varied in the range of 0.32~0.55 $m^3$ and 0.37~0.55$m^3$(which can be converted into 8.640~14.850 $m^3$ and 9.990~14.850$m3$in the full~scale net) respectively, and was predominantly varied by towing speed. filtering volume of the model net-A showed the maximum at the towing speed 0.69 m/sec(3 k't in the full-scale net), compared with that of the model net B showed at 0.92 m/sec(4 k't in the full-scale net).

  • PDF

Age and Growth of the Elongate Ilisha Ilisha elongata

  • Kim, Jin-Koo;Choi, Ok-In;Kim, Joo-Il;Chang, Dae-Soo;Park, Kyeong-D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1호
    • /
    • pp.30-36
    • /
    • 2007
  • We present age and growth data for Ilisha elongata, based on 363 specimens caught in 1999 and 2000 around Jeju Island and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Scale and ring radii of each ring group showed a direct one-to-one relationship, with ring radius increasing as scale radius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k length and scale radius was FL=39.553SR+60.935 for females, FL=39.474SR+54.026 for males, and FL=39.608SR+57.547 for both sexes. Monthly changes in the marginal index indicated that a new ring appears once each year (in July). Maximum age, mean age and mean fork length of fish were 10 years, 5.0 years, and 349mm, respectively. Von Bertalanffy's growth equations were $FL_t=495.4{\times}[1-\exp(-0.2586(t+0.6487))]$ for fork length (mm) and $W_t=1,112.5{\times}[1-\exp(-0.2586(t+0.6487))]^{2.874}$ for body weight (g) for both sexes.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indicated that the spawning period was in June and July, which corresponded closely with ring formation time. Differences in monthly GSI changes in 1999 and 2000 may be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variation. Fecundity ranged from 5,664 to 176,290 eggs per individual (n=43, fork length 264-470mm).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F) and fork length was $F=7.7{\times}10^{-7}{\times}FL^{4.9269}$.

입원 폐암환자의 수면의 질 (Quality of Sleep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Lung Cancer)

  • 한영인;손수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1호
    • /
    • pp.1-7
    • /
    • 2005
  • 목적: 본 연구는 입원한 폐암환자의 수면의 질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대상자의 제(인구사회학적, 질병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수면의 질과 제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K대학 부속병원에서 임의표집 한 입원 폐암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1월 21일부터 4월8일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환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대상자가 직접 기입하도록 하여 회수하였다. 측정도구는 수면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오진주 등(1999)이 개발한 15문항으로 구성된 '수면측정도구 A'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ost-hoc test(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수면의 질은 평균 $35.64{\pm}7.59$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과 관련된 수면의 질은 현재 통증(t=-1.943, P=.046), 주간호제공자(F=2.863, P=.047), 체중의 변화(F=5.906,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Scheffe's test)결과 체중 증가군($43.50{\pm}4.03$)이 체중변화가 없는 군($29.44{\pm}6.00$)보다 유의하게 수면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폐암환자의 수면의 질과 관련된 변수로 나타난 현재 통증, 주간호제공자, 체중변화의 요인들을 간호제공 시 고려함으로 폐암환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폐암환자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해 수면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고, 수면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참깨 토양전염성병(土壤傳染性病)의 생물학적방제(生物學的防除) (Biological Control of Sesame Soil-born Disease by Antifungal Microorganisms)

  • 신관철;임길조;유승헌;박종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29-237
    • /
    • 1987
  • 참깨토양전염병해(土壤博染病害)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법(防除法)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참깨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Bacillus spp., Streptomyces spp., Trichoderma spp. 등을 분리(分離)하여 항균성(抗菌性)이 강(强)한 균주(菌株)를 선발(選拔)하고 참깨에 처리(處理)하여 입고병방제(立枯病防除)의 효과(效果) 및 참깨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1. 참깨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한 Bacillus spp. 중(中) 26%가 F. oxysporum과 R. solani에 항균성(抗菌性)을 나타내었다. 그 중(中) B. subtilis와 B. polymyxa가 중요한 종(種)이었다. 2. 참깨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한 Streptomyces는 F oxysporum의 균사(菌絲)와 포자(胞子)의 세포벽(細胞壁)을 분해(分解)하고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와 후막포자(厚膜胞子)의 형성(形成)을 현저(顯著)히 감소(減)少시켰다. 3. 참깨경작지(耕作地)에서 분리(分離)한 Trichoderma spp.의 84%가 oxysporum에 60%가 F. oxysporum과 R. solani에 동시(同時)에 항균성(抗菌性)을 보였다. 4. 분리(分離)된 Trichoderma spp. 중(中) 항균성(抗菌性)이 강(强)한 T. viride TV-192를 F. oxysporum과 함께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입고병(立枯病)의 발생율(發生率)이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였다. 5. T. viride는 볏짚, 보리짚, 톱밥등 유기태영양원(有機態營養源)에서 F. oxysporum보다 생장(生長)이 빨랐다. F. oxysporum은 톱밥에서는 거의 생장(生長)하지 못하였다. 6. 밀기울, 밀기울+톱밥배지(培地)에 T. viride를 배양(培養)하여 토양(土壤)에 첨가(添加)한 결과(結果), F oxysprum에 의한 입고병(立枯病)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나 T. viride의 밀도(密度)가 높을 때 참깨의 종자발아(種子發芽)와 묘(苗)의 생장(生長)이 저해(沮害)되고 다수(多數)의 묘(苗)가 사멸(死滅)하였다. 7. Trichoderma spp.에 의(依)한 참깨 종자발아(種子發芽) 및 묘생장(苗生長) 억제(抑制)의 영향(影響)은 분리균주(分離菌株)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고 Trichoderma viride 토양처리시(土壤處理時) 건전묘(健全苗)는 무처리(無處理)보다 생장(生長)이 촉진(促進)되었다.

  • PDF

$NdFe_{10.7}Ti_{1.3}$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성질 연구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NdFe_{10.7}Ti_{1.3}$)

  • 이승화;이용종;안성용;김철성;김윤배;김창석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361-366
    • /
    • 1996
  • $ThMn_{12}$ 구조를 갖는 $NdFe_{10.7}Ti_{1.3}$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성질을 X-선 회절 분석과 $M\"{o}ssbauer$ 분광법 그리고 VSM으로 연구하였다. $NdFe_{10.7}Ti_{1.3}$ 합금은 알곤 가스 분위기의 아크 용해로에서 제조하였으며, X-선 회절분석 결과 결정구조는 상온에서 tetragonal 구조를 갖고 있으며, 격자상수는 $a_{0}=8.607{\AA},\;c_{0}=4.790{\AA}$으로 결정하였고, $2{\theta}=44.5^{\circ}C$ 근방에서 약한 $\alpha$-Fe 상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M\"{o}ssbauer$ spectrum을 13 K에서 800 K 까지 취하였으며, Curie 온도는 590 K로 결정하였다. Curie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Fe-site가 $(8i_{1},\;8i_{2},\;8j_{2},\;8j_{1},\;8f\;and\;{\alpha}-Fe)$의 6 site로 나타났으며, 295 K에서의 면적 비는 각가가 13.8%, 15.4%, 17%, 16.4%, 34.1% 그리고 $\alpha-Fe$는 3.3%로 나타났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alpha-Fe$ 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Curie 온도에서 24.5%의 $\alpha-Fe$ 상이 존재함을 알았다. 초미세 자기장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크기는 $H_{hf}(8i)>H_{hf}(8j)>H_{hf}(8f)$ 임을 알았다. 초미세자기장, 이성핵적 이동값과 자기 moment 값의 급격한 변화로 spin reorientation은 180 K에서 일어남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