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1-relaxation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36초

Vibrational Relaxation and Bond Dissociation in Methylpyrazine on Collision with N2 and O2

  • Young-Jin Yu;Sang Kwon Lee;Jongbaik Ree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6호
    • /
    • pp.407-414
    • /
    • 2023
  • The present study uses quasi-classical trajectory procedures to examine the vibrational relaxation and dissociation of the methyl and ring C-H bonds in excited methylpyrazine (MP) during collision with either N2 or O2. The energy-loss (-ΔE) of the excited MP is calculated as the total vibrational energy (ET) of MP is increased in the range of 5,000 to 40,000cm-1.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llision-induced vibrational relaxation of MP is not large, increasing gradually with increasing ET between 5,000 and 30,000 cm-1, but then decreasing with the further increase in ET. In both N2 and O2 collisions, the vibrational relaxation of MP occurs mainly via the vibration-to-translation (V→T) and vibration-to-vibration (V→V) energy transfer pathways, while the vibration-to-rotation (V→R) energy transfer pathway is negligible. In both collision systems, the V→T transfer shows a similar pattern and amount of energy loss in the ET range of 5,000 to 40,000cm-1, whereas the pattern and amount of energy transfer via the V→V pathway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two collision systems. The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of the C-Hmethyl or C-Hring bond occurs when highly excited MP (65,000-72,000 cm-1) interacts with the ground-state N2 or O2. Here, the dissociation probability is low (10-4-10-1), but increases exponentially with increasing vibrational excit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intermolecular interaction below ET = 71,000 cm-1. By contrast, the bond dissociation above ET = 71,000 cm-1 is due to the intramolecular energy flow between the excited C-H bonds. The probability of C-Hmethyl dissociation is higher than that of C-Hring dissociation.

인두조직의 점 탄성특성의 수학적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hematical Modeling of Human Pharyngeal Tissue Viscoelasticity)

  • 김성민;김남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5-502
    • /
    • 1998
  • Y.C. Fung[1]에 의한 연조직의 점탄성에 관한 수학적 모델이론 (Fung's Quasi-linear vlscoelastic theory)을 이용하여 인간의 인두조직의 점탄성(vlscoelatlcity)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반복성하중(cyclic load) ,응력완화 (tensile stress relaxation), incremental load, 그리고 일축성인장 (uniaxial tensile)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실험적으로 측정한 인두조직의 점탄성특성이 이미 조사된 다른 조직의 점탄성특성과 정량적으로 비교되었다. 인두조직의 점탄성특성의 정량화를 위하여 Y.C.Fung의 수학적 모델이 적용되었는데 응력완화(tensile stress relaxation) 시험 측정결과로부터 도출된 표준화된 응력완화(reduced stress relaxation)함수 G(t)와 일축성인장(uniaxial tensile)시험에서 도출된 탄성반응(elastic response)함수 5(t)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응력의 궤적을 산출하여 이를 반복성 하중(cyclic load)실험에서 측정된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인두조직의 점탄성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향후 유한요소를 이용한 인두의 생체역학적 모델의 기본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벼줄기의 점탄성(粘彈性)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Viscoelastic Properties of Rice Plant)

  • 허윤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255-264
    • /
    • 1986
  • 수확시기(收穫時期)의 벼줄기에 대(對)한 역학적(力學的), 점탄성적(粘彈性的)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해 압축시(壓縮時) 최대압축하중(最大壓縮荷重), 이력현상(履歷現象), 가공경화현상(加工硬化現象) 및 점탄성(粘彈性) 거동(粘彈性)에 대(對)한 변형속도(變形速度), 초기하중(初期荷重)이 영향을 분석(分析)하며, 도해법(圖解法) 및 computer에 의(依)한 수치해법(數値解法)으로 하중이완(荷重弛緩)의 rheological model 을 제시(提示)코져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압축시험시(壓縮試驗時) 벼줄기의 최대압축하중(最大壓縮荷重)은 다수계(多收系) 품종(品種)보다 일반계(一般系)에서 큰 경향(傾向)이었다. 2. 동진벼의 부위별(部位別) 최대압축하중(最大壓縮荷重)은 4절간이 가장 컷고, 3절간, 1절간 하부(下部), 2절간, 1절간 상부(上部)의 순(順)으로 작았다. 3. 비례한도내(比例限度內)의 하중(荷重)으로 loading-unloading 할 때 일부의 잔유변형이 발생(發生)하여 탄소성(彈塑性) 변형(變形)을 일으켜 이력손실(履歷損失)을 가져왔다. 4. Loading-unloading cycle을 반부(反復)하면 소성변형(塑性變形)이 감소(減少)하여 가공경화현상(加工硬化現象)을 보였다. 5. 하중이완거동(荷重弛緩擧動)은 변형속도(變形速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이완속도(弛緩速度)가 빨라졌다. 6. Computer에 의(依)한 수치해법(數値解法)과 도해법(圖解法)으로 이완거동(弛緩擧動)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3개지수항(個指數項)으로 표시(表示)되고 일반화(一般化) Maxwell model로 나타내었다. 이 model의 rheology 방정식(方程式)은 다음과 같다. $$F(t)=C_1e^{{-t/{\tau}}_1}+C_2e^{{-t/{\tau}}_2}+C_3e^{{-t/{\tau}}_3}$$ 동진벼줄기의 함수율(含水率) 71.9%(w.b.), 초기하중(初期荷重) 45.5 N, 변형속도(變形速度) 38mm/min 일 때 하중이완(荷重弛緩) 방정식(方程式)은 다음과 같았다. $$F(t)=24.3e^{-t/1006}+7.6e^{-t/12.7}+13.6e^{-t/1.8}$$ 7. 초기변형(初期變形)이 클수록 하중이완(荷重弛緩)은 크게 일어났다.

  • PDF

Continuous distribution analysis를 이용한 냉.해동과정 중 돈육의 NMR relaxation pattern의 변화 (Changes of NMR Relaxation Pattern of Pork Loins during Freezing and Thawing Using Continuous Distribution Analysis)

  • 이선민;노정해;윤혜현;이택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1
    • /
    • 2003
  • 냉동 및 해동과정 중의 돈육의 NMR 자기완화시간의 변화를 측정하고, $T_2\;CPMG$ 데이터의 연속 분배 분석을 통하여 근육 내 물의 상태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형 지방 함량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어는점인 $-4^{\circ}C$에서 급격하게 증가되어 $-25^{\circ}C$에서 85%의 고형 지방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반대로 자기완화시간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온도에 따라 물의 상태가 변화하여 얼음 결정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T_2$ 자기완화시간은 냉동보다 해동시의 $T_2$가 더 높게 나타나 형성되었던 얼음 결정이 녹으면서 원래 상태로 복원되지 않고 육즙 유출을 형성하였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따라서 $T_2\;CPMG$ 데이터의 연속 분배 분석을 수행하여 온도에 따른 물의 상태 변화를 조사하였다. 주성분은 $30{\sim}45\;ms$$T_2$로 온도가 낮아질수록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4^{\circ}C$ 이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4^{\circ}C$ 이하에서는 $T_s$만이 검출되었고, 피크의 크기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되어 $-25^{\circ}C$에서는 아무런 피크도 나타나지 않았다. 해동 중의 $T_2$ 성분의 변화는 $-4^{\circ}C$ 이하에서는 냉동과정과 마찬가지로 $T_s$ 1개의 피크만이 검출되었고, $-4^{\circ}C$이상으로 단계적으로 승온하는 과정에서 냉동시보다 $T_m$$T_l$의 면적이 더 넓게 나타나, 냉동과 해동과정을 거치면서 결합수와 자유수간의 상태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A Theoretical Study of the Formation of Benzene Excimer: Effects of Geometry Relaxation and Spin-state Dependence

  • Kim, Dongwo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9호
    • /
    • pp.2738-2742
    • /
    • 2014
  • Geometry relaxation effects on the formation of benzene excimer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ab initio calculation at SOS-CIS($D_0$)/aug-cc-pVDZ level. In the case of T-shaped dimer configuration, intermolecular interactions in the excited states are found to be nearly the same as those in the ground state and structural deformations are limited within a single molecule; the geometry relaxation effects are then negligible and singlet-triplet energy gap remains constant. As for face-to-face eclipsed dimer, on the other hand, both molecules undergo structural change. As a result, intermolecular interactions in the excited stat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ose in the ground state. Although the intermolecular distances obtained from potential energy curve calculation with frozen molecular structures are in qualitative agreement, the excited-state binding energies are notably overestimated with respect to those at optimized structures. In particular, the effects are calculated to be larger in $T_1$ state and hence singlet-triplet energy gap, which reduces markedly in this configuration, is underestimated without relaxation.

Activation Energy of 69Ga, 71Ga, and 75As Nuclei in GaAs:Mn2+ Single Crystal

  • Yeom, Tae Ho;Lim, Ae Ra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9권2호
    • /
    • pp.116-120
    • /
    • 2014
  • The spin-lattice relaxation time, $T_1$, for $^{69}Ga$, $^{71}Ga$, and $^{75}As$ nuclei in GaAs:$Mn^{2+}$ single crystals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The values of $T_1$ for $^{69}Ga$, $^{71}Ga$, and $^{75}As$ nuclei were fou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T_1$ values in GaAs:$Mn^{2+}$ crystal are similar to those in pure GaAs crystal. The calculated activation energies for the $^{69}Ga$, $^{71}Ga$, and $^{75}As$ nuclei are 4.34, 4.07, and 3.99 kJ/mol. It turns out that the paramagnetic impurity effect of $Mn^{2+}$ ion doped in GaAs single crystal was not strong on the spin-lattice relaxation time.

Relaxographic 분석법을 이용한 뇌의 다중 자기이완특성에 관한 연구 (Multi-Component Relaxation Study of Human Brain Using Relaxographic Analysis)

  • Yongmin Chang;Bong Soo Han;Bong Seok Kang;Kyungnyeo Jeon;Kyungsoo Bae;Yong-Sun Kim;Duk-Sik Ka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20-128
    • /
    • 2002
  • 목적: 자기공명영상과 자기이완분포 분석법을 통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자기이완시간 분석기법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자기이완 시간의 분포 및 해당 분포의 상대적인 물분자 함유량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기이완분포 분석법(CONTIN)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검증 하기 위하여 먼저 자기이완시간이 일정한 분포를 가지도록 고안된 모의 자기이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지질의 함유량이 99% 이상인 식용유와 증류수를 일정비율(0, 10, 2 0, 30%)로 혼합한 실험 팬텀을 제작하고 inversion-recovery시퀀스 (TI: 40 -1160 msec, TR/TE=2200/20 msec)를 사용하여 MR 영상을 획득하여 CONTI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리고 사람의 뇌 영상에서 뇌척수액, 백질, 회백질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CONTIN을 사용하여 각 관심영역에서의 자기이완분포를 분석하였다. 결과: 신호대잡음비를 달리한 모의 자기이완 데이터의 분석결과 자기이완시간의 위치에 대한 오차는 신호대잡음비에 관계없이 긴 자기이완시간 ($T_1=600$ msec)에 비해 짧은 자기이완시간 ($T_1$=150 msec)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자기이완시간 분포면적에 대해서는 긴 자기이완시간 ($T_1$=600 msec)의 면적 오차가 짧은 자기이완시간 ($T_1=150$ msec)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팬톰을 이용한 분석결과는 실제 오일대 증류수의 비율을 1:2:3으로 한 팬톰들에서 분석결과는 1:1.3:1.9으로 나타났다. 자원자의 뇌영상에서는 CSF의 경우에는 하나의 $T_1$ 자기이완시간만이 나타난 반면 백질과 회백질에서는 2개의 $T_1$ 자기이완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SF와 백질의 평균 자기이완시간은 기존의 보고된 값들과 잘 일치하였다. 결론: 자기공명영상과 자기이완분포 분석법을 통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자기이완시간 분석기법에서 제공 할 수 없었던 자기이완시간의 분포 및 해당 분포의 상대적인 물분자 함유량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고 이러한 추가적인 정보들은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친수성 Poly(HEMA) 수화겔내 물 양성자의 NMR 이완 (NMR Relaxation of Water Protons in Hydrophilic Poly(HEMA) Hydrogels)

  • 성용길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21-426
    • /
    • 1995
  •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와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DGMA)로부터 수용액중에서 친수성 3차원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분자 망상의 수화겔을 제조하여 NMR 분석법에 의해 그 친수성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물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적은 양의 물을 함유하고 있는 수화겔의 스핀-격자 이완시간$(T_1)$을 측정한 결과 물 양성자 주위의 다른 두 환경에 따른 $T_{1a}$$T_{2b}$가 나타났다. Poly(2-hydrocyethyl methacrylate)[p(HEMA)]-$(10{\%}\; H_2O)$ 수화겔에 대한 $T_{1a}$$T_{1b}$가 각각 $16.4{\times}10^{-3}\; sec$$58.2{\times}10^{-3}\;sec$이고, 가교된 EGDMA-p(HEMA)- $(10{\%}\; H_2O)$ 수화겔에 대한 $T_{1a}$$T_{2b}$가 각각 $13.2{\times}10^{-3}\; sec$$23.1{\times}10^{-3}\; sec$이었다. 또한 수화겔들에 대해 스핀-스핀 이완시간$(T_2)$를 측정한 결과 $p(HEMA)-(H_2O)_n$ 및 가교된 $EDGMA-p(HEMA)-(H_2O)_n$의 계에 $(T_2)$값은 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T_2)$값들은 $(T_1)$의 값들보다 약 10배 작게 나타나고 스핀이완원리와 일치하였다.

  • PDF

Nuclear Magnetic Relaxation in Flurinated $YBa_2Cu_3O_{7-x}$

  • Lee, Cheol-Eui;White, D.;Davies, P.K.;Moon, B.M.;Sung, M.Y.;Park, J.H.;Kim, B.H.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권1호
    • /
    • pp.1-3
    • /
    • 1996
  • The $YBa_2Cu_3O_{7-x}$ structure has been fluorinated by a gas phase exchange technique. The ${^19}F$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in-lattice relaxation rate (1/T1) measurements on a fluorinated sample gave superconducting energy gap of $2\Delta=4.6kT_c$.

  • PDF

Low field NMR을 이용한 참깨의 원산지 판별 (Discriminating the Geographical Origin of Sesame Seeds by Low Field NMR)

  • 노정혜;이선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62-1066
    • /
    • 2002
  • 참깨의 원산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및 low field NMR을 이용하여 relaxation time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으로는 한국산, 중국산 및 수단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NMR 데이터 중 CPMG를 제외한 나머지 측정항목인 $T_1-IR,\;T_1-SR,\;T_2-SE,\;SFC$는 원산지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가장 유의적인 차이가 높았던 SFC, IR, SR을 이용하여 정준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수단산은 100% 판별이 가능하였고, 한국산 및 중국산은 각각 80%, 90%의 정확성을 나타내었으며, 5가지 NMR 측정항목을 모두 사용하여 판별한 결과 한국산, 중국산, 수단산이 각각 95%, 90%, 100%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