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1 recovery time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7초

Ultrashort Echo Time MRI (UTE-MRI) Quantifications of Cortical Bone Varied Significantly at Body Temperature Compared with Room Temperature

  • Jerban, Saeed;Szeverenyi, Nikolaus;Ma, Yajun;Guo, Tan;Namiranian, Behnam;To, Sarah;Jang, Hyungseok;Chang, Eric Y.;Du, Jia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3권3호
    • /
    • pp.202-209
    • /
    • 2019
  • Purpose: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based differences of cortical bone ultrashort echo time MRI (UTE-MRI) biomarkers between body and room temperatures. Investigations of ex vivo UTE-MRI techniques were performed mostly at room temperature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MRI properties of cortical bone may differ in vivo due to the higher temperature which exists as a condition in the live body. Materials and Methods: Cortical bone specimens from fourteen donors ($63{\pm}21$ years old, 6 females and 8 males) were scanned on a 3T clinical scanner at body and room temperatures to perform T1, $T2^*$, inversion recovery UTE (IR-UTE) $T2^*$ measurements, and two-pool magnetization transfer (MT) modeling. Results: Single-component $T2^*$, $IR-T2^*$, short and long component $T2^*s$ from bi-component analysis, and T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while the noted macromolecular fraction (MMF) from MT modeling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at body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room temperature.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short component fraction (Frac1) showed higher values at body temperature.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effects on MRI measurements, before extending a conclusion from ex vivo studies on cortical bone specimens to clinical in vivo studies. It is noted that the increased relaxation times at higher temperature was most likely due to an increased molecular motion. The T1 increase for the studied human bone specimens was noted as be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viously reported values for bovine cortical bone. The prevailing discipline notes that the increased relaxation times of the bound water likely resulted in a lower signal loss during data acquisition, which led to the incidence of a higher Frac1 at body temperature.

TIME-DEPENDENT DEFORMATION OF POLYMER-BASED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MATERIALS

  • Pae Ahran;Jeong Mi-Sook;Kim Sung-Hu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17-726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One of the common problems of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materials is that when they are subjected to constant load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y exhibit a dimensional change (creep).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coelastic behaviour of polymer-based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materials with time at constant compressive load. Material and methods. Three dimethacrylate-based materials (Protemp 3 Garant, Temphase, Luxatemp) and one monomethacrylate-based material (Trim) were selected. Dimensional changes of the specimens were recorded by a LVDT to evaluate their viscoelastic behavior and creep strain. For all specimens, two loading procedures were used. At first, static compressive stress of 4 MPa was applied for 30 minutes and followed by 1 hour of strain recovery. Then, after 24 hours of water storage, the specimens were loaded again. The creep values between material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Scheff\acute{e}$ 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also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creep strain between first and secondary loading condition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Following application of the first loading, Trim showed the highest maximum creep strain (32.7%) followed by Luxatemp, Protemp 3 Garant and Temphase, with values of 3.78%, 2.86% and 1.77%, respectively. Tri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materials (P<0.05),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Luxatemp, Protemp 3 Garant and Temphase (P>0.05). The highest recovery and permanent set of Tri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s (P<0.05). At the secondary loading of the dimethacrylate-based materials, creep deformation, recovery and permanent set decreased and the percentage of recovery increased, while in Trim, all values of the measurements increased. This result showed that the secondary loading at 24 hours produced a significant creep magnitude. Conclusion. The dimethacrylate-based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reep resistance and lower deformation than the monomethacrylate-based material. Thus, monomethacrylate-based materials should not be used in long-term stress-bearing situations.

저온디젤연소에서 저세탄가 연료의 방향족 및 T90 온도가 배기가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omatics and T90 Temperature of Low Cetane Number Fuels on Exhaust Emissions in Low-Temperature Diesel Combustion)

  • 한만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12호
    • /
    • pp.1121-1126
    • /
    • 2010
  • 1.9L 커먼레일 직접분사 디젤 엔진을 이용하여 1500rpm 2.6bar BMEP 에서 다량의 EGR (약 41%)과 연료분사 제어를 통한 저온디젤연소 영역에서 연료의 특성이 연소와 배기가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였다. 사용한 연료는 세탄가 30 에 대하여 방향족 성분 (20%: A20, 45%: A45)과 T90 온도($270^{\circ}C$: T270, $340^{\circ}C$: T340)의 조합으로 네 개이다. 주어진 엔진 운전 영역에서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방향족 성분 및 T90 온도에 따른 연소 및 배기가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착화지연 기간은 T90 온도가 지배적인 인자로 T90 온도 증가에 따라 착화지연 기간도 증가하였다. 저세탄가에 의한 착화지연 기간의 증가로 네 가지 연료 모두 PM 배출은 거의 없었다. NOx 배출은 방향족 성분이 지배적인 인자로 방향족 성분증가에 따라 NOx 배출이 증가하였다.

Influences of Forest Fire on Forest Floor and Litterfall in Bhoramdeo Wildlife Sanctuary (C.G.), India

  • Jhariya, Manoj Kum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330-341
    • /
    • 2017
  • Tropical forests play a key role for functioning of the planet and maintenance of life. These forests support more than half of the world's species, serve as regulators of global and regional climate, act as carbon sinks and provide valuable ecosystem services. Forest floor biomass and litterfall dynamics was measured in different sites influenced by fire in a seasonally dry tropical forest of Bhoramdeo wildlife sanctuary of Chhattisgarh, India. The forest floor biomass was collected randomly placed quadrats while the litterfall measured by placing stone-block lined denuded quadrat technique. The seasonal mean total forest floor biomass across the fire regimes varied from $2.00-3.65t\;ha^{-1}$. The total litterfall of the study sites varied from $4.75-7.56t\;ha^{-1}\;yr^{-1}$. Annual turnover of litter varied from 70-74% and the turnover time between 1.35-1.43 years. Monthly pattern of forest floor biomass indicated that partially decayed litter, wood litter and total forest floor were differed significantly. The seasonal variation showed that leaf fall differed significantly in winter season only among the fire regimes while the wood litter was found non significant in all the season. This study shows that significant variation among the site due to the forest fire. Decomposition is one of the ecological processes critical to the functioning of forest ecosystems. The decomposing wood serves as a saving account of nutrients and organic materials in the forest floor. Across the site, high fire zone was facing much of the deleterious effects on forest floor biomass and litter production. Control on such type of wildfire and anthropogenic ignition could allow the natural recovery processes to enhance biological diversity. Chronic disturbances do not provide time for ecosystem recovery; it needs to be reduced for ecosystem health and maintaining of the high floral and faunal biodiversity.

열수광물내 Au의 선상회수를 위한 마이크로웨이브-차아염소산 용출 적용성 (Application of Microwave-HClO Leaching for On-board Recovery of Au in Hydrothermal Minerals)

  • 김현수;명은지;김민성;이성재;박천영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3호
    • /
    • pp.243-2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상에서 열수광물 내 Au를 효과적으로 용출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차아염소산 용출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비교용출실험은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의 유(T1)/무(T2)에 따른 Au 용출율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계적 교반에 의한 전통적인 용출(T3)과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에 따른 Au 용출율을 비교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결과(고액비; 10%, 용출온도; 90℃, 용출시간; 20분), 금속의 용출율은 As>Pb>Cu>Fe>Zn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용출잔사 내 Au의 함량은 33.77 g/ton에서 60.02 g/ton으로 증가하였다. 염화물 용매제를 이용한 비교용출실험 결과, Au의 용출율은 T1(61.10%)>T3(53.30%)>T2(17.30%)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해수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고 용출과정에서 발생되는 염소 가스를 포집하여 재이용 가능한 염화물은 Au용출을 위한 최적의 용매제로 예상된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적용함으로써 시간, 효율 및 에너지 측면에서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경증 두부외상 환자에서 MR FLAIR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MR FLAIR Image in Mild Head Injuries)

  • 김세윤;황금;김헌주;이명섭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0호
    • /
    • pp.1182-1186
    • /
    • 2001
  • Objectives : MR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FLAIR) image uses paired long inversion time and relaxation time that nulls the signal from CSF. With nulling of the CSF long echo time readout could be used to increase T2-weighting, hence improving the conspicuousness of most tissue lesions without the deleterious effects of CSF artifact seen on T2 weighted sequence. We examed the usefulness of FALIR image in the diagnosis of mild head injury. Methods : A total of 38 patients with mild head injury were examined by FLAIR image. We compared those images with CT scan and T1, T2-weighted images. Careful observation of MR images were done by two well-trained neuroradiologists. Each image was compared for conspicuousness and detectability of traumatic lesions might have shown abnormal signal intensities.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evaluation. Results : The FLAIR image was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han those of other images(p<0.001). T2 FFE(Fast Field Echo) image was more useful for detection of small petechial hemorrhages. Conclusion : FLAIR image is considered to be more sensitive than those of conventional MR images in the evaluation of mild head injuries.

  • PDF

저온디젤연소에서 고세탄가 연료의 방향족 및 T90 온도가 배기가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omatics and T90 Temperature for High Cetane Number Fuels on Exhaust Emissions in Low-Temperature Diesel Combustion)

  • 한만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4호
    • /
    • pp.371-377
    • /
    • 2011
  • 1.9L 커먼레일 직접분사 디젤 엔진을 이용하여 1500rpm 2.6bar BMEP 에서 다량의 EGR(약 41%)과 연료분사 제어를 통한 저온디젤연소 영역에서 연료의 특성이 연소와 배기가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용한 연료는 세탄가 55 에 대하여 방향족 성분(20%, 45%, vol. %)과 T90 온도($270^{\circ}C$, $340^{\circ}C$)의 조합으로 네 개이다. 주어진 실험 조건에서 모든 연료에 대하여 착화지연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M 은 단조적으로 저감되었다. 동일한 착화지연 기간에 대하여 T90 온도가 높은 연료들의 PM 발생이 높았다. NOx 는 동일한 MFB50% 위치에서 모든 연료가 동등 수준이었다. THC, CO 발생은 연료 조성에 관계없이 동일한 착화지연 기간에 대하여 동등 수준이었다. 또한 착화지연 기간 증가에 따라 THC, CO 배출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과혼합 증가가 주 원인으로 판단된다.

생선내장의 아임계 및 초임계 가수분해에 의한 아미노산의 회수 (Amino Acids Recovery from Fish Entrails by Hydrolysis in Sub- and Supercritical Water)

  • 강길윤;김용하;전병수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28-33
    • /
    • 2005
  • 본 연구는 재자원화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폐기물 생선내장으로부터 아미노산을 회수하기 위하여 아임계 및 초임계 가수분해반응을 수행하였다. 반 회분식 및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아미노산의 최적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시간 등의 반응인자에 대한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회분식 반응결과, 폐기물 생선내장으로부터 얻어진 전체적인 아미노산의 최적수율(137 mg/g-dry entrails)은 온도 $250^{\circ}C$ (p=4 MPa), 반응시간 60 min에서 얻을 수 있었다. 초임계조건(e.g., T=$400^{\circ}C$, P=45 MPa)에서는, 아미노산의 생성속도보다 분해속도가 빠른 관계로 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고수율의 아미노산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저온 및 짧은 반응시간에서의 조작이 필요한 것을 알았다.

마취제 MS-222, ethyl 3-amino-benzoate-methane sulfonate 가 해양 부착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생존과 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nesthesia MS-222, Ethyl 3-Amino-Benzoate-Methane Sulfonate on Survival and Hatching of Marin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신효진;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5-309
    • /
    • 2006
  • 살아 움직이는 요각류를 모세관으로 분리 할 때 마취제(MS-222)의 이용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분리 후 요각류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험은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요각류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부착성 요각류인 Tigriopus japonicus 수컷과 포란한 암컷을 대상으로 MS-222의 농도별(500, 750, 1,000 ppm) 마취시간과 회복시간 그리고 마취 후 분리된 개체들의 생존율 및 포란한 암컷의 nauplius 생산력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MS-222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마취시간은 짧고 회복시간은 길게 나타났다. MS-222로 마취 후 분리한 T. japonicus의 14일간의 생존율에서 수컷은 포란한 암컷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수컷 대조구와 유의적 차를 보이지 않았다. 반대로 포란한 암컷의 경우는, 750 ppm, 1,000 ppm에서는 생존율이 대조구나 500 ppm 에서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MS-222 농도가 높을수록 T. japonicus의 부화횟수와 부화량은 적고, 부화주기는 길었다. 그러나 500 ppm 실험구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T. japonicus의 분리 시 적정 농도는 500 ppm 정도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다양한 크기의 요각류를 분리할 때 MS-222의 적정 농도를 파악하는데 유익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에 따른 생활 및 생산환경에 대한 영향 및 복원체감연구 (Analysis on Impact and Recovery Effectiveness of Hebei Sprit Oil Spill Accident for Living and Production Environment)

  • 이문숙;권석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11
  • 인간이 환경을 보전 복원하고자 하는 목적은 자연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환경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받기 위함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류오염에 대응하고 복원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인간의 생활 및 생산환경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유류유출의 사회경제적 피해영향 및 복원정도 모니터링은 손상된 자연환경의 기능 회복에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사회경제적 영향평가는 직간접적 관련자들의 이해와 직결되어 있어 적절한 조사 및 평가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어렵고 결과를 해석하는 것도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를 대상으로 생활 및 생산환경 피해 모니터링의 주요 지표인 수산, 관광부문의 영향평가를 위해 기존의 문헌 및 통계자료조사 외에 지역주민 체감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 결과, 복원의 수준은 40~50 % 수준이고, 복원정도는 둔화 혹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감조사결과가 문헌 및 통계자료 조사결과 보다 2~10 점 정도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사회경제적 영향평가를 위해 기본적으로 수행하여 왔던 문헌 및 통계자료를 통한 분석이 피해영향 복원의 지표로 삼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실제 피해지역 주민들이 체감하는 영향과 복원정도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