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tree

검색결과 835건 처리시간 0.025초

ATM 교환기용 분산 주기억장치 상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T-tree 색인 구조의 회복 기법 (The T-tree index recovery for distributed main-memory database systems in ATM switching systems)

  • 이승선;조완섭;윤용익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867-1879
    • /
    • 1997
  • DREAM-S는 ATM 네트워크용 교환 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들의 교환기 운용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처리 요구를 지원하기 위한 분산 주기억장치 상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Main Memory Database Systems)이다. DREAM-S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가지면서 서버 프로세서에만 디스크가 연결되어 있으며,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신속히 검색하기 위하여 T- Tree 색인 구조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논 DREAM-S에서 T- Tree 색인 구조에 대한 회복 기법를 제안한다. 주기억장치 상주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크 상주 데이터베이스 보다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지만 시스템 고장 시(정전 등과 같은 오류)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릴레이션과 색인 구조)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고장 후 파손된 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를 신속히 정상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회복하는 회복 기법이 필수적이다. 제안된 회복 기법에서는 T-Tree 색인 구조를 각 프로세서의 주기억장치에만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ATM 교환기 시스템의 성능에서 병복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서버 프로세서의 디스크 출입 오버헤드를 줄인다. 또한, 시스템 고장 후 서버와 모든 클라이언트 시스템들이 병렬 처리 방식으로 각자의 T- Tree(들)를 회복하도룩 함으로서 클라이언트 개수가 많은 경우에도 신속한 회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tRNA 염기 순서를 이용한 계통학적 연구 (Construction of a Phylogenetic Tree from tRNA Sequences)

  • 이병재;이동훈;김영준;강현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0-405
    • /
    • 1986
  • 이미 발표된 각 시료들의 tRNAAn 염기 서열을 이용하여 세통학적 연구플 하였나. archaebacterium안 H. volcano가 진핵생물과 연계된 결과는 진핵생물이 eubacteria와의 공통척 조상에셔 분화되지 않았음을 세시하며 Phage $T_{4}$$T_{s}$,의 연계 순서는 그들이 각각 독럽적으로 숙주로부터 분화되였음을 내타낸다. tRNA의 염기 순서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연구 결과가 기존의 다른 연구 결고 및 고생물학적 기록들과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방글라데시 경사지 산림토양의 경제적 이용을 위한 생강 재배기술 개발 (Ginger Cultivation Under Multipurpose Tree Species in the Hill Forest)

  • Aslam Ali, M.;Jamaluddin, M.;Mujibur Rahman, G.M.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8-221
    • /
    • 2005
  • 본 연구는 임산자원과 유실 수자원이 복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방글라데시 Chittagong 지역 경사지 산림토양에서 경제작물인 생강의 재배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강의 적정 재식거리를 산정하기위해 총 4개 처리구를 다음과 같이 설치하였다. T1: 100% 채광이 가능한 나대지 (open field), T2: Gamar tree (꾸지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90{\times}90cm$로 생강재배, T3: Guava tree (구아바 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180{\times}180cm$로 생강을 재배하였다. 각 처리구는 3반복으로 난괴법에의해 임의배치되었다. 생강의 외관적 생육특성을 비교구 T1과 비교 할 때 Gamar 나무와 Guava 나무하에서 재배된 T2와 T3 처리구에서 양호하였다. 생강뿌리 무게는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성립하였다. Guava 나무가 재배되고 비교적 재식거리가 크고 ($180{\times}180cm$) 부분적으로 그늘이 형성된 T3 처리구에서 생강수량은 $23.63Mg\;ha^{-1}$로 가장 많았으며, Gamar 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90{\times}90cm$으로 밀식 재배되어 채광이 차단된 조건에서 재배된 T2 처리구의 생강수량은 $15.64Mg\;ha^{-1}$로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생강은 100% 채광조건이나 채광이 완전히 차단된 조건보다는 부분적 차광이 가능한 수종 하에서 재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범위질의 검색을 위한 캐시적응 T-트리 주기억장치 색인구조 (Cache Sensitive T-tree Main Memory Index for Range Query Search)

  • 최상준;이종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374-1385
    • /
    • 2009
  • 최근 CPU의 속도는 메모리의 속도에 비해 훨씬 빠르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주기억 장치의 접근이 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성능에서 병목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억장치 접근 속도를 줄이기 위해 캐시메모리를 이용하지만, 캐시메모리는 요구되는 데이터가 캐시에서 찾을 수 있는 경우에만 기억장치 접근속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ST^*$-트리라는 범위질의를 위한 새로운 캐시 적응 T-트리 색인구조를 제안한다. $CST^*$-트리는 색인 엔트리를 저장하지 않는 축소된 내부노드들을 캐시메모리에 올려 사용함으로써 캐시메모리의 활용도를 높인다. 그리고 인접한 단말노드들과 내부 색인노드들을 링크포인터를 통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색인 엔트리들의 순차적 접근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평가를 위한 비용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캐시미스 발생 횟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단일키 값 검색에서는 기존의 캐시만을 고려한 CST-트리에 비해 약 20~30%의 캐시미스 발생 횟수가 감소하였고, 범위질의에서는 기존의 범위질의만을 고려한 색인구조인 $T^*$-트리에 비해 약 10~20%의 캐시미스 발생 횟수가 감소하였다.

  • PDF

PACKING TREES INTO COMPLETE K-PARTITE GRAPH

  • Peng, Yanling;Wang, Ho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9권2호
    • /
    • pp.345-350
    • /
    • 2022
  • In this work, we confirm a weak version of a conjecture proposed by Hong Wang. The ideal of the work comes from the tree packing conjecture made by Gyárfás and Lehel. Bollobás confirms the tree packing conjecture for many small tree, who showed that one can pack T1, T2, …, $T_{n/\sqrt{2}}$ into Kn and that a better bound would follow from a famous conjecture of Erdős. In a similar direction, Hobbs, Bourgeois and Kasiraj made the following conjecture: Any sequence of trees T1, T2, …, Tn, with Ti having order i, can be packed into Kn-1,[n/2]. Further Hobbs, Bourgeois and Kasiraj [3] proved that any two trees can be packed into a complete bipartite graph Kn-1,[n/2]. Motivated by the result, Hong Wang propose the conjecture: For each k-partite tree T(𝕏) of order n, there is a restrained packing of two copies of T(𝕏) into a complete k-partite graph Bn+m(𝕐), where $m={\lfloor}{\frac{k}{2}}{\rfloor}$. Hong Wong [4] confirmed this conjecture for k = 2. In this paper, we prove a weak version of this conjecture.

On the edge independence number of a random (N,N)-tree

  • J. H. Cho;Woo, Moo-Ha
    • 대한수학회보
    • /
    • 제33권1호
    • /
    • pp.119-126
    • /
    • 1996
  • In this paper we study the asymptotic behavior of the edge independence number of a random (n,n)-tree. The tools we use include the matrix-tree theorem, the probabilistic method and Hall's theorem. We begin with some definitions. An (n,n)_tree T is a connected, acyclic, bipartite graph with n light and n dark vertices (see [Pa92]). A subset M of edges of a graph is called independent(or matching) if no two edges of M are adfacent. A subset S of vertices of a graph is called independent if no two vertices of S are adjacent. The edge independence number of a graph T is the number $\beta_1(T)$ of edges in any largest independent subset of edges of T. Let $\Gamma(n,n)$ denote the set of all (n,n)-tree with n light vertices labeled 1, $\ldots$, n and n dark vertices labeled 1, $\ldots$, n. We give $\Gamma(n,n)$ the uniform probability distribution. Our aim in this paper is to find bounds on $\beta_1$(T) for a random (n,n)-tree T is $\Gamma(n,n)$.

  • PDF

The Existence of an Alternating Sign on a Spanning Tree of Graphs

  • Kim, Dongseok;Kwon, Young Soo;Lee, Jaeun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2권4호
    • /
    • pp.513-519
    • /
    • 2012
  • For a spanning tree T of a connected graph ${\Gamma}$ and for a labelling ${\phi}$: E(T) ${\rightarrow}$ {+,-},${\phi}$ is called an alternating sign on a spanning tree T of a graph ${\Gamma}$ if for any cotree edge $e{\in}E({\Gamma})-E(T)$, the unique path in T joining both end vertices of e has alternating signs. In the present article, we prove that any graph has a spanning tree T and an alternating sign on T.

3D 게임 공간 분할 트리에서 트리 빌드 휴리스틱 (Tree Build Heuristics for Spatial Partitioning Trees of 3D Games)

  • 김영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5-34
    • /
    • 2013
  • 3D 게임에서 충돌 탐지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구성하는 공간 분할 트리는 분할 평면을 결정하는데 트리 밸런스와 분할 평면과 겹치는 폴리곤의 개수 등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3D 게임 공간 분할 트리에서 트리 빌드 조건에 대한 가중치를 제어하는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가중치의 변화에 따라서 트리 빌드 시간, 분할 평면과 겹치는 폴리곤을 쪼갤 때 시각적 불일치를 유발할 수 있는 T-junction 의 제거 시간, 트리 밸런스에 따른 렌더링 속도(frame per second) 등을 3D 게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PEBBLING ON THE MIDDLE GRAPH OF A COMPLETE BINARY TREE

  • LOURDUSAMY, A.;NELLAINAYAKI, S. SARATHA;STEFFI, J. JENIFER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7권3_4호
    • /
    • pp.163-176
    • /
    • 2019
  • Given a distribution of pebbles on the vertices of a connected graph G, a pebbling move is defined as the removal of two pebbles from some vertex and the placement of one of those pebbles at an adjacent vertex. The t-pebbling number, $f_t(G)$, of a connected graph G, is the smallest positive integer such that from every placement of $f_t(G)$ pebbles, t pebbles can be moved to any specified vertex by a sequence of pebbling moves. A graph G has the 2t-pebbling property if for any distribution with more than $2f_t(G)$ - q pebbles, where q is the number of vertices with at least one pebble, it is possible, using the sequence of pebbling moves, to put 2t pebbles on any vertex. In this paper, we determine the t-pebbling number for the middle graph of a complete binary tree $M(B_h)$ and we show that the middle graph of a complete binary tree $M(B_h)$ satisfies the 2t-pebbling property.

TOTAL DOMINATION NUMBER OF CENTRAL TREES

  • Chen, Xue-Gang;Sohn, Moo Young;Wang, Yu-Fe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7권1호
    • /
    • pp.245-250
    • /
    • 2020
  • Let γt(G) and τ(G) denote the total domination number and vertex cover number of graph G, respectively. In this paper, we study the total domination number of the central tree C(T) for a tree T. First, a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domination number of C(T) and the vertex cover number of tree T is discussed. We characterize the central trees with equal total domination number and independence number. Applying the first result, we improve the upper bound on the total domination number of C(T) and solve one open problem posed by Kazemnejad 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