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Scan system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1초

3.0 Tesla 자기공명영상시스템에서 고 해상도 나선주사영상 (High-resolution Spiral-scan Imaging at 3 Tesla MRI)

  • 김판기;임종우;강승원;조상흠;전수열;임헌진;박호종;오승준;이흥규;안창범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0권2호
    • /
    • pp.108-116
    • /
    • 2006
  • 목적 : 3.0 Tesla 고 자장에서 고 해상도 나선주사영상을 수행하였다. 나선주사영상은 초고속 영상기법의 하나로서, Echo Planar Imaging(EPI)에 비하여 eddy current 가 작게 발생하고, 경사자계 파형의 기울기가 완만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slew rate 를 가진 경사자계시스템으로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 자장 영상에서 고속스핀에코(Fast Spin Echo: FSE) 등의 rf 에코 기반의 고속영상방법에서 심각하게 대두되는 SAR 문제가 근원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고 자장에서의 초고속영상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0 Tesla 에서 나선주사방식으로 고 해상도 영상을 얻어 고 자장 MRI에서 나선주사영상기법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3 Tesla 전신 자기 공명 영상 시스템에서 다양한 해상도의 나선주사영상 방법을 개발하였다. 고차(higher-order) shimming 을 통하여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였고, 해상도에 맞게 interleaves 수를 조절하였다. 스핀에코 와 gradient에코 기반 나선주사영상방법을 구현하였고, 에코 time 과 repetition time, rf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영상의 대조도(contrast)와 신호대잡음비를 조절하였다. 결과 : 3 Tesla 전신 자기 공명 영상 시스템에서 나선 주사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해상도의 영상을 얻었다. 고 자장에서 주 자장의 불균일도(inhomogeneity) 의 절대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한 shimming 이 더욱 중요해진다. 한번의 스캔으로 axial, sagittal, coronal 방향의 불균일도 map을 구하여 spherical harmonics 분석으로 고차 shimming을 하였다. 팬텀과 in-vivo 두부 영상에서 single shot 나선주사 영상으로 $100{\times}100$ 정도의 영상과 6-12 정도의 interleaves 를 적용하여 $256{\times}256$ 의 고 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 신호대잡음비의 향상과 스펙트럼의 분리, 뇌기능영상에서 BOLD 효과 향상 등으로 고자장 영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고 자장 영상에서의 rf field 에 의한 SAR 증가는 중요한 제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나선주사영상은 SAR 문제가 근원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EPI에 비하여 하드웨어 요구 조건이 낮아 고 자장에서의 고속영상방법으로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차 shimming 을 통하여 불균일도를 개선하고, single shot 과 interleaving 을 적용한 multi-shot 나선주사영상 기법으로 $100{\times}100$에서 $256{\times}256$의 고해상도 영상을 얻어 고 자장에서 초고속영상기법으로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 PDF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풍력터빈 블레이드 NDE 탐상 평가기법 (NDE Inspecting Techniques for Wind Turbine Blades Using Terahertz Waves)

  • 임광희;김선규;정종안;조영태;우용득
    • 공학기술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45-251
    • /
    • 2018
  • Terahertz waves (T-ray) was extensively studied for the NDE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characterization of trailing edges for a use of turbines composed with composite materials. The used NDE system were consisted of both CW(Continuous wave) and TDS (Time domain spectroscopy). The FRP composites were utilized for two kinds of both trailing edges of wind energy (non-conducting polymeric composites) and carbon fiber composites with conducting properties. The signals of T-ray in the TDS (Time domain spectroscopy) mode resembles almost that of ultrasound waves; however, a terahertz pulse could not penetrate a material with conductivity unlike ultrasound. Also, a method was suggested to obtain the "n" in the materials, which is called the refractive index (n). The data of refractive index (n) could be solved for the trailing edges. The trailing edges were scanned for characterization and inspection. C-scan and B-scan images were obtained and best optimal NDE techniques were suggested for complicated geometry samples by terahertz radiation. Especially, it is found that the defect image of T-ray corresponded with defect locations for the trailing edges of wind mill.

T-Scan II 시스템을 이용한 습관적 편측저작자들의 교합 분석 (Occlusal Analysis of the Subjects with Chewing Side Preference Using the T-Scan II System)

  • 박은희;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3호
    • /
    • pp.245-254
    • /
    • 2006
  • 구강안면 영역의 통증이나 치아결손, 부정교합 같은 치아적 요소가 편측저작습관의 주요요인으로 여겨지나, 치아적 요소가 선호하는 저작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들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화된 교합분석 시스템인 T-Scan II 시스템을 사용하여 편측으로 저작하는 대상자와 양측으로 저작하는 대상자 사이에 교합양상의 특이점이 있는지 조사하고 편측 저작자의 주저작측과 비저작측 사이의 차이를 함께 평가하고자 하였다. 편측저작습관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20명의 편측 저작자(평균 $25.25{\pm}2.84$세)와 20명의 양측 저작자(평균 $27.00{\pm}5.07$세)를 선정하였으며 치아적 문제나 악골의 통증이나 기능이상 같은 문제가 있는 경우는 모두 제외하였다. 습관적 폐구와 측방운동시의 교합양상은 T-Scan II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습관적 폐구는 시간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었다. 각 세 단계에서의 접촉점의 수와 교합력의 비율을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습관적 페구 동안의 경과시간 및 치아 활주면적, 좌우측 각각의 측방운동시간이 측정되었다. 편측 저작 습관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양측 저작을 하는 사람에 비해서 치아의 평균 교합 면적이 작았다(p<0.005). 습관적 편측저작자에서 저작측과 비저작측을 비교해보았을 때 비저작측의 교합면적은 저작측에 비해 작았으나 (p<0.005), 편측저작자의 저작측과 양측저작군의 어느 한쪽의 교합면적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초접촉부터 최대교두감합위까지의 경과 시간 및 측방운동 시간, 치아의 활주 면적 및 교합력의 좌우 비율도 양측저작군과 편측저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저작시 좌우측 중 교합면적이 작은 측을 피하여 교합효율이 높은 방향으로 저작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COMPARISON OF SHADE CHANGES ACCORDING TO DRY/WET CONDITION OF TEETH USING INTRA-ORAL COLORIMETER

  • Lee, Dong-Hwan;Han, Jung-Suk;Yang, Jae-Ho;Lee, Jai-Bong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14-321
    • /
    • 200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ade changes in wet and dry conditions of natural teeth using two different intra-oral colorimeter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volunteer subjects have no restorations and fillings i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were involved in this clinical study. The color of tooth was measured by two different instruments that were a Shade $Scan^{TM}$ System and a VITA $Easyshade^{(R)}$, Five times consecutive measurements were done for each subject with both instruments. Groups of measurement are an initial wet condition as control, dry in 5 minutes, 15 seconds after re-wetting with saliva, re-wetting after 5minutes and re-wetting after 30 minutes. Using ShadeScan $System^{TM}$, tooth image was captured and converted to the mapping image of Vitapan 3D master. Three main shades were chosen from each subject and calculated the area in Global Lab Image softwar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ed Test. Using VITA $Easyshade^{(R)}$, color differences($\Delta$E) between measurements were analyzed with one sample T-test. Results. Using ShadeScan $System^{T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dry(P=.023), dry and re-wetting 15 seconds, 5 minutes, 30 minutes as well(P=.021, P=.017, P=.030) in comparison of primary shade. However, comparing three main shad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dry(P=.105). Using VITA $Easyshade^{(R)}$, color differences($\Delta$E) between control and dry, dry and re-wetting 30 minute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P=.002, P=.022). Conclusion. Primary shade could be changed in dry and wetting procedure in tim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hade changes in overall.

T-Scan System을 이용한 성인 정상교합자의 교두감합위에서 교합안정에 관한 연구 (THE BALANCE OF OCCLUSAL CONTATS IN NORMAL OCCLUSION DURING INTERCUSPAL POSITION ON T-SCAN SYSTEM)

  • 방원동;우이형;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37
    • /
    • 1991
  • The understanding the natureof occlusal tooth contacts of natural dentition is important for correct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developed in stomatognatic system. Several investigator have studied the distribution of tooth contacts in maximum intercuspation and have reported contact locations with respect to the tooth position. Many methods have been clinically applied for the occlusal analysis in the intercuspal position. However, there are few quantativ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new software version of the T-Scan system to record and analyze occlusal contact balance in the anterior-posterior and right-left directions. Six time moment statistics and five moment statistics were calculated in the midsagittal and the incisal axes of the occlusal plane. In the present study,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100 subjects with natural denti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the dental arch length & width were 48.78, 65.32mm in whole population, 49.09mm, 65.50mm in males, 48.78mm, 64.63mm in females, respectively. 2. The mean of TLR & PLR were 0.193mm(left), 0.311mm(left), respectively. Therefore, the distribution of tooth contacts was bilaterally symmetric. 3. The mean of TFB & PFB were 29.168mm, 29.055mm, and that of LFB & RFB were 29.627mm, 29.587mm, respectively, and the qualitative center of occlusal contacts was the firtst molar. 4. The mean of LL & RL were 31.666mm, 31.377mm, respectively, and the quantitative center of occlusal force was the first molar. 5. The mean of LF & RF were 60.237N, 59.276N, respectively and Left-right moment was 72.491Nmm. Therfore, the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 was bilaterally balanced.

  • PDF

인터넷 와이드 스캔 기술 기반 인터넷 연결 디바이스의 취약점 관리 구조 연구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Management of Internet Connection Devices based on Internet-Wide Scan)

  • 김태은;정용훈;전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04-509
    • /
    • 2019
  • 최근 무선 통신 기술과 소형 디바이스의 성능이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였다. 이런 기술과 환경 변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IoT 서비스의 증가로 오프라인 환경에서 사용되던 소형 센서, CCTV 등의 디바이스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있으나, 많은 수의 IoT 디바이스는 보안 기능이 없고 취약한 오픈소스, SW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스위치, Gateway 등의 네트워크 장비도 사용자의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많은 취약점을 내포한 채 운영된다. 최근에는 IoT 디바이스의 간단한 취약점을 대상으로 대량의 봇넷(botnet)을 형성하여 DDoS 공격 등에 악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nternet-Wide Scan 기술을 활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대량의 디바이스를 빠르게 식별하고, 내포된 취약점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실제 수집한 배너 정보를 통해 제안 기술의 취약점 분석률을 검증하였다. 향후 제안 시스템이 사이버 공격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 될 수 있게 자동화 및 고도화를 진행 할 계획이다.

유리단 국소의치 환자에서 T-scan system을 이용한 중심교합시에 교합접촉 양상 연구 (COMPUTERIZED EVALUATION OF OCCLUSAL CONTACTS IN CENTRIC CLOSURE IN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 CASES)

  • 이호용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5-573
    • /
    • 1992
  • This clinical study was to analyze occlusal contacts in maximum intercuspation on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 and to compare tooth contact state between the denture teeth and abutment teeth by time mode and force mode using the T-scan system. The subjects ware twenty-one adult patients with upper natural teeth and lower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 Conclusion : 1. The patient with simultaneous occlusal contacts both denture tooth and abutment and bilaterally in Kennedy Class I cases was one-sixth, but there was no one with symmetric occlusal and equal force among bilateral denture teeth and abutments. 2. The five-fifteenth of Kennedy Class I case patients resulted in simultaeous occlusal contacts bet-ween denture teeth and abutments but no one has the symmetric occlusal contacts and unifarm force between denture teeth and abutment tee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