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

검색결과 24,238건 처리시간 0.051초

RELATIVE (p, q, t)L-TH TYPE AND RELATIVE (p, q, t)L-TH WEAK TYPE ORIENTED GROWTH PROPERTIES OF WRONSKIAN

  • Biswas, Tanmay;Biswas, Chinmay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9권1호
    • /
    • pp.69-91
    • /
    • 2022
  • In the paper we establish some new results depending on the comparative growth properties of composite transcendental entire and meromorphic functions using relative (p, q, t)L-th order, relative (p, q, t)L-th type and relative (p, q, t)L-th weak type and that of Wronskian generated by one of the factors.

호소내 퇴적물의 근접도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분석(I) - COD, T-N, T-P, pH - (Analysis of Water Quality Pollutants Proximated to sediment in Lake)

  • 박선구;양영모
    • 분석과학
    • /
    • 제14권3호
    • /
    • pp.238-243
    • /
    • 2001
  • K 수계 6개 지점의 호소 퇴적물과 근접된 수질에 대해 $COD_{Mn}$, T-N, T-P, pH를 측정분석 하였다. 퇴적물로부터 분리된 수질이 퇴적물과 근접한 수질보다 COD, T-N, T-P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퇴적층 바로 위의 수질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직상수와 최상수의 $COD_{Mn}$, T-N, T-P에 대한 수질분석 결과는 1.2~19.0mg/L, T-N, 1.3~6.2mg/L, T-P, 0.05~0.26mg/L의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퇴적물이 호소내 수질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새송이버섯과 원료육의 입자 차이가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eurotus eryngii and Meat Particle Size on Sausage Quality)

  • 진상근;김일석;김동훈;정기종;문성실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3-348
    • /
    • 2006
  • 새송이 버섯과 원료육의 입자 크기를 달리하여 제조한 3종(T1: 미세하게 커팅된 새송이 버섯 및 원료육, T2: 입자를 살린 새송이 버섯과 미세하게 커팅된 원료육, T3: 입자를 살린 새송이 버섯 및 원료육)의 소시지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pH는 새송이 버섯과 원료육의 입자가 모두 미세한 T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처리구 간에 전단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조직감 중 소시지의 경도는 새송이 버섯의 입자를 살린 T2와 T3이 미세한 T1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원료육의 입자 크기에 따른 경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육색의 경우, 명도와 백색도는 원료육의 입자가 미세한 T1과 T2가 입자를 살린 T3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새송이 버섯의 입자 크기가 다른 T1과 T2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원료육의 입자를 살린 T3이 미세한 T2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관능검사 결과 소시지의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새송이 버섯의 입자를 살린 T2와 T3가 미세한 T1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Turnover Intention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 김여진;박금숙;양은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52-362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의료기관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 및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수술실 간호사 1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연령(F=5.629, p=.004), 결혼상태(t=-2.907, p=.004), 자녀유무(t=-2.623, p=.010)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는 연령(F=11.924, p<.001), 결혼상태(t=-4.747, p<.001), 자녀유무(t=-4.434, p<.001), 수술실 근무경력(F=6.000, p=.003), 수술실 근무배경(t=-2.543, p=.012)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연령(F=21.472, p<.001), 교육수준(F=4.997, p<.008), 종교유무(t=3.235, p=.001), 수술실 근무경력(F=13.599, p<.001), 직위(t=3.222, p=.002), 수술실 근무배경(t=-3.001, p=.003), 근무형태(t=-2.797, p=.006)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스트레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요인이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32.6%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스트레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스트레스와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대응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재가 필요하다.

쑥 첨가 사료를 섭취한 한우육의 냉장 중 품질 변화 (Effects of Feeding Dietary Mugwor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nwoo Beef during Cold Storage)

  • 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9-505
    • /
    • 2011
  • 쑥을 섭취하지 않은 한우육(T0구)과 쑥을 섭취한 한우육(T1구)을 $3{\pm}1^{\circ}C$에서 50일간 냉장하면서 쑥의 섭취 효과를 검토하였다. 냉장 중 T1구는 T0구에 비하여 표면색도의 $a^*$ 값 과 $b^*$ 값이 느리게 저하하였고, 냉장 40일부터 처리구간의 유의성(p<0.01)이 있었다. 냉장 중 T0구와 T1구의 전단력은 낮아지고(p<0.001) 드립과 가열 감량은 많아졌으며(p<0.05),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냉장 중 T1구는 T0구에 비하여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이 느리게 상승하고 냉장 50일에 유의성(p<0.01)이 있으며, 일반세균수와 지방산패도 값이 느리게 상승하고 냉장 30일부터 유의성(p<0.01)이 있었다. 그리고 항산화력은 T1구가 느리게 저하하고 냉장 40일부터 유의성(p<0.05)이 있었다. 냉장 중 T1구는 T0구에 비하여 가열육의 맛, 다즙성 및 연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향과 종합적 기호도는 냉장 30일부터 유의적(p<0.05)으로 우수하였다.

육계의 인 이용율 향상을 위한 식물성 Phytase의 이용 (Utilization of Plant Phytase to Improve Phosphorous Availability for Broiler)

  • 김병한;남궁환;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07-418
    • /
    • 2002
  • Phytase 공급원으로 밀과 밀기울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및 P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5주간의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갓 부화한 1,000수의 병아리(Ross$^{(R)}$)를 20pen에 50수씩(암수 각 25수) 공시하여 5처리 4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T1은 대조구로 정상수준의 nonphytate-P(NPP)를 함유하였고, T2는 T1 -0.1% NPP의 低 NPP구, T3는 T2 + 사료 kg당 600IU microbial phytase(NOVO$^{(R)}$)구, T4는 T2 + 밀과 밀기울로 사료 kg당 600IU plant phytase 공급구, T5는 T2 + 밀과 수침 후 건조 처리한 밀기울로 사료 kg당 600IU plant phytase 공급구 였다. NPP 수준을 0.1% 감소시킨(T2) 처리에서 생산성과 사료효율이 감소되었고 식물성 phytase 처리시(T4와 T5)에서는 생산성이 회복되었다. 식물성 phytase 처리구들(T4와 T5)이 microbial phytase 처리구(T3)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정상 밀기울구(T4)와 수침 후 건조 처리한 밀기울구(T5)와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폐사율은 低  NPP(T2)에서 가장 높았다. 육성 사료에서 조지방과 조회분 이용률에 일반 밀기울 처리구(T4)가 가장 높았다. Ca과 P의 이용률 또한 T4가 가장 높고 T3와 T5가 다음으로 높았다. Phytase 처리구 (T3, T4와 T5) 들은 Mg, Fe와 Zn의 이용률을 크게 증가시켰다. Ca, P, Mg, Fe와 Zn의 배설량은 microbial phytase가 가장 적었다. 혈청내 Ca과 Mg의 함량은 低 NPP에서 가장 높았고, 경골내 조회분 함량은 T2와 T3가 T1, T4와 T5보다 낮았다. 그러나 경골내 Ca 함량은 T1과 T2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았다. 경골내 P과 Mg의 함량은 T1구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밀기울을 통한 식물성 phytase의 공급은 P 이용률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수침 후 건조처리하는 것은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어유의 산화안정성 예측 (Oxidation Stability Model of Fish Oil)

  • Jeong-Hwa Hong;Jin-Woo Kim;Dae-Seok Byu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84-388
    • /
    • 1995
  • 어유는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 산화가 쉽게 되므로 식품가공용이나 기능성식품으로 응용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유의 산화안정성을 예측할 수 있는 기본 모델을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dp/dt=k{\cdot}p(t){\cdot}[P_{max}\;-\;p(t)]$. 상기식을 적분하면, $p(t)=P_{max}/[1\;+\;[(P_{max}/P_{(0)})\;-\;-1]{\cdot}EXP(-K_p{\cdot}t)]$. 여기서 산화온도가 50, 60와 70 및 $80^{\circ}C$ 일 때, $K_p$는 각각 0.00535, 0.01345와 0.02516 및 0.04657였다. 상기식은 대부분 측정치와 잘 일치하였다. 또한 $K_p$를 아래와 같이 온도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었다. $K_p=(1/P_{max})EXP\;[1\;-\;(8148/T)+20.1]$. 여기서 T 절대온도($^{o}K$)이다.

  • PDF

ON THE MARTINGALE PROBLEM AND SYMMETRIC DIFFUSION IN POPULATION GENETICS

  • Choi, Won;Joung, Yoo-Ju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8권3_4호
    • /
    • pp.1003-1008
    • /
    • 2010
  • In allelic model $X\;=\;(x_1,\;x_2,\;\cdots,\;x_d)$, $$M_f(t)\;=\;f(p(t))\;-\;\int_0^t\;Lf(p(t))ds$$ is a P-martingale for diffusion operator L under the certain conditions. In this note, we define $T_tf\;=\;E_{p_0}^{p^*}\;[f((P(t))]$ for $t\;{\geq}\;0$ for using a new diffusion operator $L^*$ and we show the diffusion relations between $T_t$ and diffusion operator $L^*$.

건강체조 프로그램이 낙상경험 여성노인의 보행능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ealth Exercise Program on Walking ability, Depression and WHOQOL-BREF in the Fall experienced Women Elderly)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726-3732
    • /
    • 2010
  • 본 연구는 낙상을 경험한 여성 노인에게 적합하도록 구성된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여 노인들의 보행능력, 우울 및 삶의 질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7년 4월에서 6월 동안 낙상 경험이 있는 여성노인 7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대상자에게 적용한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은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및 백분율, paired t-test 등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상자의 보행능력을 측정하는 지표 중 '의자에서 일어나 앉기(t=2.291, p=.025)', '오른발 한발서기(t=2.236, p=.029)', '전후 보폭(t=4.015, p=.000)'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노인의 우울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1.044, p=.300)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t=3.528, p=.001)를 보였다. 삶의 질 하부영역에서는 전반적인 삶의 질(t=2.93, p=.005), 신체적(t=3.039, p=.003), 심리적(t=2.481, p=.016), 사회적(t=2.531, p=.014), 환경영역 (t=4.259,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근지구력 및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는데 중재법으로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Statistical Hierarchical Analysis of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s Effects on Mural Preference, Emotion Cultivation, and Community Connection

  • Lee, Kang Il;Ko, Young Chu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50-56
    • /
    • 2014
  • To explore effects on each the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of the sub-factors of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o mural preference, emotion cultivation, and community connectio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re performed(as in Table 1, 2, and 3). As the results, we found the following facts. Children's mural preference, emotion cultivation, and community connection we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in order, respectively. Mural Preference = $.170{\times}$[Emotional Awareness](t=2.118, $p=.036^*$) - $.025{\times}$[Emotional Expression](t=-.275, p=.783) + $.088{\times}$[Emotional Empathy](t=.938, p=.350) + $.139{\times}$[Emotional Regulation] (t=1.529, p=.128). Mural Emotion Cultivation = $-.021{\times}$[Emotional Awareness](t=-.294, p=.769) - $.205{\times}$[Emotional Expression](t=-2.573, $p=.011^*$) + $.265{\times}$[Emotional Empathy](t=3.156, $p=.002^*$) + $.192{\times}$[Emotional Regulation](t=2.361, $p=.019^*$). Mural Community Connection = $-.001{\times}$[Emotional Awareness](t=-.007, p=.995) - $.132{\times}$[Emotional Expression](t=-1.478, p=.141) + $.172{\times}$[Emotional Empathy](t=1.732, $p=.027^*$) + $.098{\times}$[Emotional Regulation](t=1.072, p=.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