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N

검색결과 11,864건 처리시간 0.045초

다양한 곤충에 의한 계분의 분해능력에 대한 연구(1) (A Case Study on the Degradability of Poultry Manure by Various Insect Larvae (1))

  • 김정연;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89-992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larval stages of three species, namely, Tenebrio molitor,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and Ptecticus tenebrifer larvae, in degrading poultry manure, specially, broiler and duck manure. The survival rates of larvae were also noted. For the experiment, T. molitor (n=300), P. brevitarsis seulensis (n=60), and P. tenebrifer (n=300) hatched larvae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with three replicates. The degaradation efficacy tests were then performed for 30 days in a laboratory. The test groups were as follows: T1, 110 g broiler manure + T. molitor larvae (n=50); T2, 110 g duck manure + T. molitor larvae (n=50); T3, 125 g broiler manure + P.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n=10); T4, 125 g duck manure + P.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n=10); T5, 105 g broiler manure + P. tenebrifer larvae (n=50); and T6, 105 g duck manure + P. tenebrifer larvae (n=50).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efficacy in degrading broiler and duck manure (p<0.05). The highest survival rates were recorded for T. molitor larvae in both manure types [T1 (92.67%) and T2 (50%)], followed by P.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T4, 40%) and P. tenebrifer larvae (T6, 14.67%) in duck manure. Next, the survival rates of P. brevitarsis seulensis (T3) and Ptecticus tenebrifer larvae (T5) in broiler manure were 0%. In conclusion, these results point to the feasibility of using insect larvae to degrade broiler and duck manure.

CT상 폐암과 유사하게 보이는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Anthracofibrosis Mimicking Lung Cancer on CT: MR Imaging Findings)

  • 류대식;이덕희;정승문;최수정;박성빈;박만수;강길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5권1호
    • /
    • pp.18-23
    • /
    • 2001
  • 목적 : 전산화단층촬영(CT)상 폐암과 유사하게 보인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MRI)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기관지내시경검사상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으로 입증된 50명의 환자에서 CT상 중 페암과 유사하게 보인 10명의 환자(남 : 여 = 2 : 8, 평균 연령 68세, 연령 분포: 58-79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 예에서 CT(n=10)검사와 MRI(n=10) 검사를 시행하였고 경피적 조직생검(n=1)은 1예에서 시행하였다. 조영증강 없이 축상 T1 강조영상(600/30/3, repetition time/echo time/excitation)과 T2 강조영상(3500/99/4)에서 종괴, 무기폐와 림프절의 신호강도를 2명의 방사선과 전문의가 합의에 의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CT 소견은 4명에서는 종괴로, 4명에서는 무기폐로, 2명에서는 기관지벽 비후였다. 전 예에서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특징인 종격동 림프절은 커져 있었다. 종괴는 T1 강조영상과 T2 강조영상에서 모두 저 신호강도로 보였다. 무기페는 T1 강조영상에서 중등도 신호 강도로, T2 강조영상에서 저 신호강도로 보였다. 림프절은 9명의 환자에서 T1 과 T2 강조영상에서 저 신호 강도로 보였다. 한명의 환자에서 T2 강조영상에서 림프절이 중심부는 고 신호강도로, 주변부는 저 신호강도로 보였다. 결론 : 폐암과 유사하게 보인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환자에서 종괴, 무기폐와 림프절은 T2 강조영상에서 주로 저 신호강도로 보여 폐암과의 감별에 자기공명영상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The Counting Processes that the Number of Events in [0,t] has Generalized Poisson Distribution

  • Park, Je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7권2호
    • /
    • pp.273-281
    • /
    • 1996
  • It is derived that conditions of counting process ($\{N(t){\mid}t\;{\geq}\;0\}$) in which the number of events in time interval [0, t] has a (n, n+1)-generalized Poisson distribution with parameters (${\theta}t,\;{\lambda}$) and a generalized inflated Poisson distribution with parameters (${\{\lambda}t,\;{\omega}\}$.

  • PDF

ON THE RANDOM n×n ASSIGNMENT PROBLEM

  • Lee, Sung-Chul;Zhonggen, Su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19-729
    • /
    • 2002
  • Consider the random n $\times$ m assignment problem with m $\geq$ $_{i,j}$ Let $u_{i,j}$ be iid uniform random variables on [0, 1] and exponential random variables with mean 1, respectively, and let $U_{n, m}$ and $T_{n, m}$ denote the optimal assignment costs corresponding to $u_{i, j}$ and $t_{i, j}$. In this paper we first give a comparison result about the discrepancy E $T_{n, m}$ -E $U_{n, m}$. Using this comparison result with a known lower bound for Var( $T_{n, m}$) we obtains a lower bound for Var( $U_{n, m}$). Finally, we study the way that E $U_{n, m}$ and E $T_{n, m}$ vary as m does. It turns out that only when m - n is large enough, the cost decreases significantly.tly.

Conditional Integral Transforms on a Function Space

  • Cho, Dong Hyun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2권4호
    • /
    • pp.413-431
    • /
    • 2012
  • Let $C^r[0,t]$ be the function space of the vector-valued continuous paths $x:[0,t]{\rightarrow}\mathbb{R}^r$ and define $X_t:C^r[0,t]{\rightarrow}\mathbb{R}^{(n+1)r}$ and $Y_t:C^r[0,t]{\rightarrow}\mathbb{R}^{nr}$ by $X_t(x)=(x(t_0),\;x(t_1),\;{\cdots},\;x(t_{n-1}),\;x(t_n))$ and $Y_t(x)=(x(t_0),\;x(t_1),\;{\cdots},\;x(t_{n-1}))$, respectively, where $0=t_0$ < $t_1$ < ${\cdots}$ < $t_n=t$. In the present paper, using two simple formulas for the conditional expectations over $C^r[0,t]$ with the conditioning functions $X_t$ and $Y_t$, we establish evaluation formulas for the analogue of the conditional analytic Fourier-Feynman transform for the function of the form $${\exp}\{{\int_o}^t{\theta}(s,\;x(s))\;d{\eta}(s)\}{\psi}(x(t)),\;x{\in}C^r[0,t]$$ where ${\eta}$ is a complex Borel measure on [0, t] and both ${\theta}(s,{\cdot})$ and ${\psi}$ are the Fourier-Stieltjes transforms of the complex Borel measures on $\mathbb{R}^r$.

T-N 제거공정 개선을 위한 하수처리장 공정 분석 (Analysis of sewage treatment process for the improvement of T-N removal process)

  • 신춘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9-107
    • /
    • 2018
  • In order to design the improvement process for T-N removal, the treatment process of Suyoung, Gangbyeon, and Noxan sewage treatment plants (STP) in Busan was anlayzed. Suyoung STP shows a T-N removal efficiency of about 69.8% with MLE(Modified Ludzack ettinger) and A2O+MBR. Howev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cess to maintain over DO of 1 mg/L and is required to install a flow control tank to minimize the rainfall effect. Gangbyun STP shows a about 70.2% T-N removal efficiency with A2O+GFF(gravity fiber filtration).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N removal efficiency, it is needed to install MLE process to treat recycle water. Noksan STP shows a T-N removal efficiency of about 71.0% with MLE+Chemical treatment and shows stable T-N concentration in effluent. However, it is required a toxic chemical management process because bad wastewater flows into the STP, also is necessary a process improvement in order to increase internal recycling ratio. Especially, it is required a process improvement to increase HRT of nitrification tank because Suyoung and Gangbyeon STPs shows low nitrification efficiency during winter season.

MST 재구성 분산 알고리즘 (Distributed Algorithm for Updating Minimum-Weight Spanning Tree Problem)

  • 박정호;민준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84-193
    • /
    • 1994
  • 본 논문은 최소목(Minimum-weight Spanning Tree, MST)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랭크 중 몇개가 삭제(또는 파괴) 또는 추가(또는 회복) 되었을 때, MST를 재구성하는 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메세지 복잡도는 Ο(m+n log(t+f))이고, 이상시간 복잡도는 Ο(n+n log(t+f))가 되며, 여기서 n은 네트워크의 프로세서의 수이고 t(resp. f)는 추가되는 링크의 수(resp. 이전 MST의 삭제된 링크의 수)이다. 그래서 네트워크의 형태가 변형이 된 다음에 f=O이고 m=e일 경우에는 m=t+n이 된다. 또한 본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링크의추가, 삭제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의 추가, 삭제되었을 경우의 알고리즘도 제안한다.

  • PDF

원격 복부 림프절의 전이(M1LYN)를 동반한 식도암의 수술 (Surgery of Esophageal Cancer with Metastasis to Distant Abdominal Lymph Nodes(M1LYN))

  • 이종목;임수빈;이현석;박종호;조재일;심영목;백희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48-1256
    • /
    • 1996
  • 원자력병원에서는 1987년 6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식도암으로 수술받은 372명중 병리학적으로 원격 복부 림파절의 전이가 확인된 병기 IV(M1LYN) 48명(12.9%)의 기록을 분석하였다. 원발 종양의 위치는 주로 하흉부 식도이었고, 전이된 림프절의 위치는 복강 동맥(n=45),총간 동맥(n=4), 대동맥 주위(n=1), 췌장하(n=1) 이었다. 대부분의 종양은 T3, T4(n=43)이고 국소 림프절 전이 (n=41)가 있었으나, T1, T2 종양(n=5)와 국소 림프절 전이없이 원격 림프절에 전이한 경우(n=7)도 일부있었다. 절제률과 완전 절제률은 각각 87.5%, 64.6%이었다. 절제 불가능과 불완전 절제의 원인의 대부분은 절제 불가능한 T4 병소(n=8), 림프절 막외 침습(n=7)이었으며, 전체 수술 사망률과 유병률은 각각 4.2%, 22.9%이었고, 절제 사망률은 4.8%이었다. 27명에서 수술후 보조 치료를 병행하였으며, 수술후 모든 생존 환자에서 추적이 가능하였다(추적 중앙값, 32개월). 수술 사망을 포함하여 식도암의 절제를 받은 환자(n=42)의 I년, 3년 생존률은 각각 54.0%, 18.1%(중앙값, 386일)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원격 복부 림프절의 전이를 동반한 식도암은 수술의 사망률과 유병률이 높지 않으며,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예후가 극히 나쁘므로 잘 선택된 환자에서는 원격장기로 전이된 환자에 비하여 절제술의 역할이 인정된다. 그러나 수술만으로는 장기 성적이 좋지 않으므로 항암제 치료나 방사선 치료 등의 복합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EVALUATION FORMULAS FOR AN ANALOGUE OF CONDITIONAL ANALYTIC FEYNMAN INTEGRALS OVER A FUNCTION SPACE

  • Cho, Dong-Hyun
    • 대한수학회보
    • /
    • 제48권3호
    • /
    • pp.655-672
    • /
    • 2011
  • Let $C^r$[0,t] be the function space of the vector-valued continuous paths x : [0,t] ${\rightarrow}$ $R^r$ and define $X_t$ : $C^r$[0,t] ${\rightarrow}$ $R^{(n+1)r}$ and $Y_t$ : $C^r$[0,t] ${\rightarrow}$ $R^{nr}$ by $X_t(x)$ = (x($t_0$), x($t_1$), ..., x($t_{n-1}$), x($t_n$)) and $Y_t$(x) = (x($t_0$), x($t_1$), ..., x($t_{n-1}$)), respectively, where 0 = $t_0$ < $t_1$ < ... < $t_n$ = t. In the present paper, with the conditioning functions $X_t$ and $Y_t$, we introduce two simple formulas for the conditional expectations over $C^r$[0,t], an analogue of the r-dimensional Wiener space. We establish evaluation formulas for the analogues of the analytic Wiener and Feynman integrals for the function $G(x)=\exp{{\int}_0^t{\theta}(s,x(s))d{\eta}(s)}{\psi}(x(t))$, where ${\theta}(s,{\cdot})$ and are the Fourier-Stieltjes transforms of the complex Borel measures on ${\mathbb{R}}^r$. Using the simple formulas, we evaluate the analogues of the conditional analytic Wiener and Feynman integrals of the functional G.

Tropinone 유도체의 항경련성 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convulsant effect of tropinone derivatives)

  • 김익수;서덕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05-514
    • /
    • 2002
  • 생쥐에서 최근 합성된 4가지 종류의 tropinone유도체들의 항경련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pentylenetetrazole (PTZ) 및 Maximal Electroshock (MES)로 유발된 경련에 tropinone 유도체들이 경련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Troponine 유도체로는 화학구조가 다른 4가지 종류를 사용하였다(T-1:2,4-dipywolylmethenylnortropinone, T-2:2,L di phenylme thenylnortropinone, T-3 : 2,Ldifurfurylmetheny- Inortropinone, 74 : 2,4-dimetho xyphenylmethenylnortro- pinone). nZ 25 mg/kg을 복강 내로 투여 후 전신성 경련을 유발하였으며 tropinone 유도체를 전처치한 후 PTZ에 의한 경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T-1과 T-2는 경련정도에 변화가 없었으나 T-3과 T-4는 유의하게 경련정도를 약화시켰다. PTZ에 의한 경련의 시작 시간은 T-4에서 유의하게 지연되어 T-4가 PTZ에 의한 경련에 항경련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MES로 경련을 유발한 경우에 있어서는 T-1이 경련정도를 유의하게 약화시켰으며 경련 후 회복시간도 T-1에서 가장 빨리 회복되는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T-1이 MES에 의한 경련유발에 항경련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Troponine 유도체에 의한 경련 억제 효과와 경련과 동반되어 증가한다고 알려진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발현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직 단백질에서 Western blot을 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PTZ 및 MES에 의해 경련을 유발한 생쥐에서 모두 해마부 및 전뇌피질부에서 nNOS가 증가하였다. Tropinone 유도체를 투여하지 않고 경련을 유발시킨 대조군에 비하여 tropinone 유도체를 투여한 군에서도 모두 nNOS의 발현이 해마부 및 전뇌피질부에서 증가되었다. MES로 경련을 유발한 생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T-1 및 T-4는 피질부에서 nNOS가 감소했으나 나머지군에서는 감소가 없었다. 이 상의 결과를 토대로 tropinone 유도체들은 경련유발의 자극 조건에 따라 항경련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PTZ유 발경련에서 2,4-dimethoxyphenylmethenylnortropinone의 항경련 효과가 가장 크고, MES 유발경련에서는 2,4-dipyrrolylmethenylnortropinone의 항경련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