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형 보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7초

FRP 판으로 표면매립 전단보강된 철근콘크리트 T형 보의 전단성능 (Shear Capacity of the RC T Beams Strengthened for Shear with NSM FRP Strips)

  • 서수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256-26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을 통하여 FRP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표면매립 전단보강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개의 철근콘크리트 T형 보를 제작하고 이중 두 개의 보에 대해서 표면매립 보강방법으로 FRP를 전단보강한 뒤 실험을 통하여 보강효과를 규명하였다. 실험에서 두 가지의 전단보강방법을 고려하였는데, 첫째 충분한 매립길이를 가진 표면매립 (NSM) 보강, 둘째 다소 짧은 표면매립길이를 가지지만 추가의 표면부착 (EB) 보강을 한 경우이다. 연구결과, FRP strip을 이용한 표면매립길이를 플랜지 하부까지 길게 확보할 경우에는 충분한 전단보강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충분한 매립길이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FRP sheet로 추가 보강하더라도 전단보강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시트로 보강된 T형 철근콘크리트보의 휨 강도 해석 (Flexural Strength Analysis of RC T-Beams Strengthened Using Fiber Sheets)

  • 박대효;이규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34-245
    • /
    • 2003
  • 대부분의 콘크리트 교량 구조물은 과도한 교통량과 구조물의 사용수명의 도래로 손상된다. 콘크리트의 손상은 철근의 부식과 콘크리트와 철근의 분리로 인하여 성능저하 촉진의 원인이 된다.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빠른 복원은 콘크리트 구조 체계에서 콘크리트 성능저하의 심화를 막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최근 섬유시트는 고인장강도, 내구성, 부식저항성, 경량성, 제작편리성, 비용절감, 균열 제어, 두께 대비 고강도, 사용성 등의 많은 장점이 원인이 되어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섬유시트 보강에 따른 공칭휨모멘트 성능을 예측하는 방법에 대한 해석과정의 결여로 구조물의 보강 과정에서 효과적인 인자의 결정이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T형 철근콘크리트보의 보강을 위해 부재의 밑면에 부착된 섬유시트가 휨 강도에 미치게 되는 영향이 연구된다. 또한 밑면섬유시트의 박리 방지를 위해 감싸는 섬유시트의 옆면부분에 의한 부수적인 휨 보강 효과가 이론적으로 조사된다. 제안한 접근방법을 입증하기 위하여 해석 결과가 참고된 다른 실험연구의 결과와 비교된다. 예측된 결과와 실험결과는 잘 일치하였다.

FRP-보강근 콘크리트 부재의 처짐 거동 (Deflection Behavior of Concrete Members Reinforced with FRP Bars)

  • 최봉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936-943
    • /
    • 2011
  • ACI 440.1R-06 설계지침에서는 FRP-보강근 콘크리트 부재의 처짐 계산을 위해 Branson에 의해 제안된 유효단면2차모멘트를 수정 보완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연구자들은 아직까지도 적용범위의 적절성에 대해 의문점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2개의 장방형 단면과 9개의 T형단면의 FRP-보강근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처짐 실험을 통해 얻어지는 실험값과 제안된 이론식에 의해 얻어진 계산값을 비교 분석하여 합리적인 처짐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결과로서 FRP-보강근 콘크리트 보의 처짐값은 장방형단면에서는 계산값이 실험값 보다 과소평가 되었으나, T형단면에서는 계산값이 실험값 보다 다소 과대평가 되어 나타났다.

CRA와 W-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제어기 설계 (Digital Controller Design Using CRA and W-Transform)

  • 임연수;김영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75-76
    • /
    • 2008
  • 이산시간 모델로부터 시간응답 설계 명세를 만족시키도록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R-S-T형의 고정된 제어기 구조에서 폐루프 전달함수가 원하는 기준전달함수와 일치하도록 제어기 이득을 구한다. 시간 응답을 만족시키는 목표전달함수는 w-영역에서 CRA를 이용하여 선택되며 이 함수를 z-영역으로 변환시켜 얻는다. 예제를 통해 제시한 방법의 유용성을 보이고 극배치 방식과 비교한다.

  • PDF

직사각형 웨브 개구부를 가진 합성보의 강도와 초기강성도 (Strength and Initial Stiffness of Composite Beams with a Rectangular Web-Opening)

  • 김원기;박노웅;이승준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55-62
    • /
    • 1999
  • 철골조 및 합성구조의 건축물이 강한 지진하에서 효율적으로 거동하도록 유도하는 연구중의 하나로서 개구부를 가진 합성보의 이력거동을 조사하고 있다 실험적 연구와 비선형 FEM 해석 연구 모두가 그러한 합성보의 연성도를 입증하엿다 합성보 단부 즉 기둥 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성파괴 이전에 직사각형 개구부의 모서리 주변에 있는 4개의 T형 단면에서 소성힌지를 형성하며 합성보 전체의 연성도를 유지하고 있다. 본연구는 직사각형 웨브 개구부를 가진 합성보의 강도와 초기강성도를 산정하는 약산식을 제시하였고 그결과를 실험 및 비선형 FEM 해석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SRC기둥-RC보 강축 접합부 상세의 구조성능 평가 (Cyclic Lond Testing for Strong Axis Joints Connected with SRC Column and RC Beams)

  • 문정호;이강민;임재형;오경환;김성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01-409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SRC 기둥-RC 보 강축 방향 접합부의 구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현장 조사 및 기존 연구 자료를 기초로 접합부 상세를 분류하였고, 6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구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하중-변위 이력 및 최대 내력 도달 이후의 내력 저하 등에 대한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넓은 보 단면 (RCW-P, RCW-W, RCW-F) 및 T형 보 단면 (RCT-W) 실험체들이 H형강 브라켓 부착형 실험체(HBR-L, HBR-S)에 비해 대체로 우수한 구조적 거동을 보여주었으며, 설계 내력을 상회하는 내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적용하여도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T형 보 단면 (RCT-W)을 갖는 실험체가 최대 내력 및 최대 내력 도달 이후 강도 저하 등 전반적으로 다른 접합 형태를 갖는 실험체에 비해 우수한 구조 성능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H형강 브라켓 부착형 실험체들 (HBR-L, HBR-S)은 설계 내력에 미치지 못한 최대 내력을 보여 주었고 최대 내력 도달 이후 급격한 하중 저하를 나타내며 취성적인 거동을 보였다.

단기하중을 받는 FRP-보강근 콘크리트 보의 휨균열폭 특성 (Characteristics of Flexural Cracking Widths in FRP-Reinforced Concrete Beams Subjected to Short-Term Loads)

  • 최봉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053-7060
    • /
    • 2015
  • 콘크리트 부재에서 FRP-보강근의 사용은 철근의 사용에 비해서 일반적으로 낮은 탄성계수와 부착성능으로 인하여 보다 넓은 균열폭을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9개의 장방형보와 3개의 T형보로 구성된 총 12개의 시험체들로부터 4점가력 휨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균열폭 결과들과 기존 ACI 440.1R-06 제안식으로 계산된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여 설계변수들이 균열폭에 미치는 영향과 적용 범위에 대한 문제점들을 파악하였다. 결과로서 주요 설계변수의 하나인 변동계수, $k_b$ 값은 0.6~1.88 범위에서 1.05의 평균값과 약 40%의 높은 변동계수를 나타냈다.

휨 보강된 모듈단면 합성 프로파일보의 휨 내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Strength of Modular Composite profiled Beams)

  • 안형준;류수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23-333
    • /
    • 2007
  • 본 논문은 본 연구자가 기존에 발표한 모듈단면 프로파일보를 개선하여 새로운 모듈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휨보강을 실시하여 적절한 휨보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선된 모듈은 기존의 모듈보다 향상된 내력 및 초기강성을 나타냈다. 휨보강은 T형 단면 강재와 철근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 철근을 이용하여 휨보강을 실시하는 것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휨내력은 재료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이론값과 비교하면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재료의 설계기준강도를 이용하면 90%정도의 내력을 나타내 향후 T형보를 이용한 압축측 보강이 이루어진다면 모듈단면 프로파일보의 적용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상하 이형 다이아프램으로 보강된 2심 냉간성형 각형 CFT 기둥-보 접합부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wo-Seam Cold Formed Square CFT Column to Beam Connections with Asymmetric Diaphragms)

  • 오헌근;김선희;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35-45
    • /
    • 2013
  •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은 우수한 구조성능에도 불구하고 폐단면이라는 특성 상 내다이아프램 형태의 접합부 제작이 어려워 시공성에 다소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리 내다이아프램이 설치된 ㄷ형태의 부재 두 개를 용접하여 각형강관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접합부의 상부 다이아프램은 수평플레이트를, 하부는 수직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제시된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접합부 상 하부를 6개의 단순인장 실험과 실대 크기인 2개의 T형 기둥-보 접합부에 대해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순인장 실험에서의 주요변수는 상부 다이아프램의 형태와 가력방향이며 하부 다이아프램은 수직 플레이트의 두께와 구멍 개수이고, 실대형 접합부의 변수는 가력방향이다. 실험결과 모서리 절삭형태는 큰 영향이 없었으며 강축방향이 약축방향보다 초기강성이 16~24% 높았다. 수직 플레이트의 구멍개수와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내력이 각 약 5% 증가하였다. 실대형 T형 접합부의 가력축에 따른 내력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보의 전소성모멘트에 도달할 때까지 안정적인 거동을 나타냈다.

MTS (Multi-tee slab) 시스템의 테두리보가 전단 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pandrel end beams on shear strength behavior in MTS systems)

  • 김민기;홍성걸;이종민;진언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189-192
    • /
    • 2008
  • 기존의 더블 티 슬래브 시스템은 단위 부재의 접합에 있어서 T형보 단면의 플랜지 부분이 접합되므로, 이 부분은 휨 및 전단에 취약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MTS(Multi-tee slab)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여러 개의 T형 보를 합성한 MTS(Multi-tee slab) 시스템은, 단위 부재에 대하여 테두리 보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테두리 보의 적용은 단위 부재 접합 시, 기존의 더블 티 슬래브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부재 단부에 테두리 보는 횡방향으로 T형보 단면의 리브를 지지하고, 이것은 부재에 대하여 전단강도 및 하중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하중이 작용할 때 테두리 보가 있는 MTS 시스템이, 테두리 보가 없는 부재에 비하여 더 높은 전단 강도를 나타낸다는 사실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론식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MTS시스템의 전단강도에 대하여 해석 하였다. 또한 이것을 통하여 테두리보가 전단 강도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