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stem/Business Interface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17초

UML Components에 의한 컴포넌트 명세화 사례연구

  • 안계중;김태형;이남용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CALS/EC KOREA
    • /
    • pp.671-679
    • /
    • 2001
  • 사례연구를 통하여 UML Component Design Process의 일관성 및 정확성을 검증한다. Business Concept Model과 Use Case Model을 이용하여 Component Specification Process의 산출물인 Interface, Component Specification 및 Component Architecture 작성 UML Notation을 확장해서 Component 명세에 적용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확인한다. <>,<>,<>,<>,<>, <>:로 Component Specification이 충분한지를 확인 OCL을 이용하여 Component Specification 중 Component Specification, Interface Specification, Operation Specification, Constraint, Pre/Post Condition의 정의에 유용한지 확인(중략)

  • PDF

포항제철소 B/C-P/C 통합을 위한 개방형 MMI 개발 (Development of open MMI system for integration of business computers and process computers)

  • 추영열;김경백;황화원;김영일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전력공사 서울연수원; 17-18 Oct. 1997
    • /
    • pp.684-687
    • /
    • 1997
  • In order to access to the Business Computer (B/C), the Process Computer(P/C), and the Database Server in one terminal, the Open Man Machine Interface (MMI) System has been developed. The testbed to develop the interface functions for B/C, P/C, DB server, and CCD camera were constructed, which consisted of Workstations and Personal Computers (PC). Graphic display programs Monitoring the process states of Tandem Cold Mill plant were developed using four Graphic User Interface tools: InTouch, FIX32, Open Interface Environment, and ILOG Views. With regard to the CPU utilization and response delay required to open new display, the performance tests have been carried out on each MMI platform.

  • PDF

교무업무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Interface Enhancement for NEIS School Affairs Business System)

  • 한지숙;조성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9-79
    • /
    • 2009
  • 현행 교무업무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데이터 입력방식이 복잡하고, 유사 항목들 사이나 관련 기능 메뉴들 사이에 연계가 원활하지 않아 업무의 효율이 떨어진다. 여기에서 UI는 해당 시스템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입출력, 입출력 관련 기능, 메뉴구성 등을 포함한 포괄적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 우선, 경기도내 3개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 교무업무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기존 교무업무시스템의 UI 문제점들은 수작업에 의한 입력과 메뉴구성의 불편, 학사 일정과 교육과정의 연계 미비, 출결관리 및 교과평가의 복잡성 등이다.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입력기능과 메뉴구성 등이 개선된 UI를 고안하여 교사들에게 제시한 후 다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입력 편의성과 사용자 중심의 화면 구성 등의 면에서 UI가 개선되는 것을 크게 선호하였다.

  • PDF

사용자의 참여를 확장한 시스템 개발 방법의 설계 (Design for System Development Mothed with Extended user Participation)

  • 이서정;박재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272-1279
    • /
    • 1999
  • This paper suggests system development method with extended user participation. Context diagram, event diagram, information diagram, management diagram and interface STD are staple products. This method introduces interface STD, management diagram and context diagram with administrator as relator. We adapted to research business of professor and ATM(Automatic Teller machine), when it can be adaptable to business-oriented system.

  • PDF

사용자 인터페이스 품질 향상을 위한 다중 객체 기반 설계 모델 (Multiple Object-Based Design Model for Quality Improvement of User Interface)

  • 김정옥;이상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7호
    • /
    • pp.957-964
    • /
    • 2005
  • 웹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인간과 컴퓨터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객체 모델링 기법을 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시적 응집도 향상을 위하여 비즈니스 이벤트객체 모델링, 태스크 객체 모델링, 트랜잭션 객체 모델링, 폼 객체 모델링과 같은 4 가지의 비즈니스 이벤트 객체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4단계 설계를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의 가시적 응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비즈니스 이벤트의 가시적 응집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비숙련된 설계자도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즈니스 태스크의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 회수를 줄일 수 있다.

e-Business에서의 BI지원 데이타마이닝 시스템 (A Data Mining System for Supporting of Business Intelligence in e-Business)

  • 이준욱;백옥현;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5호
    • /
    • pp.489-500
    • /
    • 2002
  • 비즈니스 인텔리젼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핵심 기술로써 데이타마이닝의 적용이 증대되고 있다. e-Business에서의 비즈니스 인텔리젼스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마이닝 연산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마이닝 시스템은 데이타베이스 시스템과 유연하게 통합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다양한 비즈니스 응용에서의 마케팅 프로세스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e-Business영역에서의 BI를 지원하기 위해 데이타마이닝 기법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써 EC-DaMiner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데이타마이닝 시스템은 기존의 데이타베이스 시스템과의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들은 마이닝 질의어인 MQL을 통하여 규칙을 탐사하고 탐사된 규칙을 기존의 마케팅 데이타베이스에 모델화하여 반영함으로써 마케팅 전략의 구현을 용이하게 하였다.

The Development of a Haptic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BIM Elements in Mixed Reality

  • Cho, Jaehong;Kim, Sehun;Kim, Namyoung;Kim, Sungpyo;Park, Chaehyeon;Lim, Jiseon;Kang, Sanghyeo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79-1186
    • /
    • 2022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widely used to efficiently share, utilize and manage information generated in every phase of a construction project. Recently, mixed reality (MR)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to more effectively utilize BIM elements. This study deals with the haptic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BIM elements in MR to improve BIM usability. As the first step in interacting with virtual objects in mixed reality, we challenged moving a virtual object to the desired location using finger-pointing. This paper presents the procedure of developing a haptic interface system where users can interact with a BIM object to move it to the desired location in MR. The interface system consists of an MR-based head-mounted display (HMD) and a mobile application developed using Unity 3D. This study defined two segments to compute the scale factor and rotation angle of the virtual object to be moved. As a result of testing a cuboid, the user can successfully move it to the desired location. The developed MR-based haptic interface can be used for aligning BIM elements overlaid in the real world at the construction site.

  • PDF

가시적 응집도 향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모델 (User Interface Design Model for Improving Visual Cohesion)

  • 박인철;이창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849-5855
    • /
    • 2011
  •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이 빠르게 변함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설계자들은 설계 인터페이스에서 상호 의존성 있는 객체들을 정의하기 위해 개인 각자의 주관적인 방법으로 그룹화한다. 그러나 특정한 규칙이 배제된 체 설계된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업무의 비효율성과 복잡성만 증가시킬 뿐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을 정형화 함으로써 어떠한 GUI 환경에서도 유연한 개발을 할 수 있도록 객체지향 설계 모델을 제안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시적 응집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용들과 연관된 연구를 해왔던 새로운 범주영역이며, 기본적 소프트웨어 공학 개념을 사용하는 것을 정의한 것으로서 인터페이스의 응집 원리에 기반한다. 가시적 응집도는 프로그래밍 단위로 나타나는 비즈니스 이벤트의 응집도 뿐 아니라 각 단위 객체가 정렬되고 그룹화되는 방법에 대한 결과를 내포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는 비즈니스 이벤트들이 상호 연관성으로 그룹화 된다면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가 더욱 용이해질 것이다.

이종 데이터 모델에서의 STEP 표준 데이터 인터페이스(SDAI) 구현 (Implemetation of STEP Standard Data Interface (SDAI) on Multiple Data Models)

  • 권용국;유상봉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22
    • /
    • 1998
  • SDAI (Standard Data Access Interface) is an interface specification of accessing various storage systems such as file systems and database management systems for STEP data. Using SDAI, both application program developers and CAD/CAM system developers can be relieved from dealing with STEP physical file or system dependent DBMS opera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implementations of SDAI on different data models, i.e., relational, extended relational, and object-oriented. In order to implement SDAI, we need to translate the EXPRESS information model into target data models. The schema translation process for three different data models are compared and other implementation issues are discussed.

  • PDF

정보시스템 재해복구의 핵심성공요인(CSF)과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ractical Method of Information System Disaster Recovery : Assuring Business Continuity of Information System Interface Specification Modeling)

  • 정영희;이정훈;김은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3-101
    • /
    • 2011
  • Since most of companies these days are utilizing the Information system actively, Information Syste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should be recovered in terms of Business Continuity. However, a lot of enterprises have been outsourcing their Disaster Recovery Center. Therefore,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information system can not work well and result in the discontinuity of business when any trouble arises because of seperated plan of Business Continuity and Disaster Recovery. The study draws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successful disaster recovery through researches of 42 documents. Then, factors are reviewed through interviews with consultants, experts of Business Continuity Plan and the information system officers of domestic banks. Domestic companies can make use of the study when they develop or renew Disaster Recovery Plan or Information System in terms of Business contin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