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tactic

검색결과 717건 처리시간 0.031초

내포문의 단문 분할을 이용한 한국어 구문 분석 (Korean Syntactic Analysis by Using Clausal Segmentation of Embedded Clause)

  • 이현영;이용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5권1호
    • /
    • pp.50-58
    • /
    • 2008
  • 한국어 문장은 대부분 주절과 내포문을 가지는 복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문에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용언으로 인해 구문 분석 과정에서 다양한 구문 애매성이 발생한다. 이들 중 대부분은 내포문의 수식 범위로부터 발생되는 구 부착의 문제 때문이다. 이런 구문 애매성은 내포문의 범위를 정해서 하나의 구문 범주의 기능을 가지도록 하면 해결할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포문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문형과 한국어의 구문 특성을 이용한다. 먼저, 내포문에 있는 용언의 문형 정보가 가질 수 있는 필수격을 최대로 부착하여 내포문의 범위를 정하고 이를 이용해서 복문을 내포문과 주절로 분할한다. 그리고 한국어의 구문 특성을 이용해서 분할된 내포문의 기능을 하나의 구문 범주인 체언구나 부사구로 변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합문의 구성 형태가 단문 구조로 변환되기 때문에 내포문의 범위에 의한 구 부착의 문제가 쉽게 해결된다. 이것을 본 논문에서는 내포문의 단문 분할이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1000 문장을 실험한 결과 문형과 단문 분할을 이용하지 않은 방법보다 구문 애매성이 88.32% 감소되었다.

Probing Sentence Embeddings in L2 Learners' LSTM Neural Language Models Using Adaptation Learning

  • Kim, Eu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3-23
    • /
    • 2022
  • Prasad et al.는 사전학습(pre-trained)한 신경망 L1 글로다바(Gulordava) 언어모델을 여러 유형의 영어 관계절과 등위절 문장들로 적응 학습(adaptation learning)시켜 문장 간 유사성(sentence similarity)을 평가할 수 있는 통사 프라이밍(syntactic priming)-기반 프로빙 방법((probing method)을 제안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배우는 영어 자료를 바탕으로 훈련된 L2 LSTM 신경망 언어 모델의 영어 관계절 혹은 등위절 구조의 문장들에 대한 임베딩 표현 방식을 평가하기 위하여 프로빙 방법을 적용한다. 프로빙 실험은 사전 학습한 LSTM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추가로 적응 학습을 시킨 LSTM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문장 임베딩 벡터 표현의 통사적 속성을 추적한다. 이 프로빙 실험을 위한 데이터셋은 문장의 통사 구조를 생성하는 템플릿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구축했다. 특히, 프로빙 과제별 문장의 통사적 속성을 분류하기 위해 통사 프라이밍을 이용한 언어 모델의 적응 효과(adaptation effect)를 측정했다. 영어 문장에 대한 언어 모델의 적응 효과와 통사적 속성 관계를 복합적으로 통계분석하기 위해 선형 혼합효과 모형(linear mixed-effects model) 분석을 수행했다. 제안한 L2 LSTM 언어 모델이 베이스라인 L1 글로다바 언어 모델과 비교했을 때, 프로빙 과제별 동일한 양상을 공유함을 확인했다. 또한 L2 LSTM 언어 모델은 다양한 관계절 혹은 등위절이 있는 문장들을 임베딩 표현할 때 관계절 혹은 등위절 세부 유형별로 통사적 속성에 따라 계층 구조로 구분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구문 분석과 One-Stage DMS/DP를 이용한 연속음 인식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Syntactic Analysis and One-Stage DMS/DP)

  • 안태옥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3호
    • /
    • pp.201-207
    • /
    • 2004
  • 본 논문은 연속음 인식에 관한 연구로써, 구문 분석을 이용한 One-Stage DMS/DP에 의한 음성 인식 방법을 사용한다. 인식 실험을 위해 우선 구간 구분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DMS(dynamic Multi-Section) 모델을 만들며, 구문 분석을 이용한 One-Stage DMS/DP 방법으로 연속음 데이터를 인식하게 하였다. 제안된 방법에 의한 인식 실험을 수행하는 것 외에도 비교를 위해 전통적인 One-Stage DP 방법을 같은 조건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수행하였다. 인식 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구문분석을 이용한 One-Stage DMS/DP 방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rocessing Nominal Suffixes in Korean: Evidence from Priming Experiments

  • Ahn, Hee-Don;An, Duk-Ho;Choi, Jung-Yun;Hwang, Jong-Bai;Jeon, Moon-Gee;Kim, Ji-Hyon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5권1호
    • /
    • pp.1-12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morphologically complex nouns in Korean through a series of priming studies. Two experiments examined whether morphological affixes on Korean nouns were decomposed or processed as a whole. Two types of morphological affixes were examined: morpho-syntactic case markers and the plural marker '-tul'. Results showed that priming occurred for the plural marker with SOAs of 80 ms and 160 ms, but no priming occurred for the morpho-syntactic case mar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phological processing for these two types of affixes differ. We argue that Korean nouns with the plural suffix are decomposed into the stem and affix, supporting the Decomposition Model (Pinker & Ullman, 2002). We suggest that while plural markers are truly morphological affixes, case markers in Korean are morpho-syntactic, and thus presuppose the existence of other syntactic elements, such as the matrix verb, hence the lack of priming effects.

  • PDF

문장성분의 다양한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구문분석 모델 (Korean Parsing Model using Various Features of a Syntactic Object)

  • 박소영;김수홍;임해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6호
    • /
    • pp.743-74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구문 중의성 해결을 위해 문장성분의 구문자질, 기능자질, 내용자질, 크기자질을 활용하는 확률적 한국어 구문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구문분석 모델은 한국어의 부분자유어순과 생략현상을 잘 처리할 수 있도록 문법규칙을 이진형식으로 제한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구문분석 모델의 성능을 각 자질조합별로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자질의 조합이 서로 유사한 특징을 갖는 자질의 조합보다 구문중의성 해결에 더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단일자질인 기능자질이 내용자질과 크기자질의 조합보다 성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대명사의 통사단서가 참조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대명사의 수 단서와 성별 단서 (The Role of Syntactic Cues in Pronoun Referential Resolution: The Effects of Number Cue and Gender Cue)

  • 이재호
    • 인지과학
    • /
    • 제15권3호
    • /
    • pp.25-33
    • /
    • 2004
  • 이 연구는 대명사의 통사단서인 수단서와 성별단서가 참조해결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과제에서 수렴적으로 관찰하였다. 실험 1은 자율조절 문장읽기과제와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복수 대명사는 단수 대명사에 비해서 읽기시간이 빨랐으며, 단수 대명사는 성별단서가 명료한 조건이 애매한 조건보다 읽기시간이 빨랐다. 실험 2는 실험글을 RSVP(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로 제시한 다음 선행어의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단수 대명사와 복수 대명사의 어휘판단시간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단수 대명사는 성별단서가 명료한 조건이 애매한 조건보다 어휘판단시간이 발랐다. 대명사의 통사 단서는 참조해결의 과정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제약임이 수렴적으로 확인되었다.

  • PDF

구문의미트리 비교기를 이용한 유사문서 판별기 (Discriminator of Similar Documents Using the Syntactic-Semantic Tree Comparator)

  • 강원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6-646
    • /
    • 2015
  • 정보사회에 문서 복제나 표절의 검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 필요성에 따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자연어 처리의 문제가 유사 문서 판별의 질 향상에 제약이 되었다. 최근 구문의미분석의 기술을 접목하여 유사문서 판별의 성능을 향상을 시도하였으나 구문의미분석의 결과인 구문의미트리를 비교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은 구문의미트리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구문의미트리 비교기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사문서를 판별하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한다. 본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휴먼 판별과 제안한 시스템의 판별과의 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구문의미트리 비교기를 이용한 유사문서 판별기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었다. 앞으로 문서 유형을 정의하고 각 유형에 맞는 판별 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영어 조건절의 경계억양과 담화해석에서 영어 억양의 역할 (Edge Tones of English Conditional Clauses and an Intonational Contribution to Discourse Interpretation)

  • 이주경;공은정;김기호
    • 음성과학
    • /
    • 제8권2호
    • /
    • pp.149-163
    • /
    • 2001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anner in which various. syntactic structures with a single meaning implement a consistent intonational pattern by examining English conditional clauses. In the phonetic experiment, we explore the edge tones in three different syntactic clauses which are semantically interpreted as a single conditional meaning (an if-clause, a clause with no if. and a clause with no if but followed by and) and compare them with the edge tone realized in a clause which is not interpreted as a conditional meaning. We also investigate the tonal differences resulting from the semantic difference between conditional and non-conditional meanings. That is, the conditional clauses expressed in three different syntactic structures show a consistent intonational pattern in their clausefinal boundaries; a rising contour (H- or H%) is realized at the edge of the intermediate phrases (ip) or intonational phrases (IP) in 89% of the if-clauses, 72% of the clauses with no if, and 79% of the clauses with no if but followed by and. On the other hand, 82% of the non-conditional clauses have a falling contour (L- or L-L%) in their final edge. Statistically, Chi-Square tests show that these percentages are all significantly higher, which suggests that a conditional meaning implements a consistent intonational pattern though it is expressed through different syntactic structures. Therefore, the result supports Bolinger's (1989) claim that intonation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discourse interpretation.

  • PDF

구문관계에 기반한 단서의 결정 리스트를 이용한 지도학습 어의 애매성 해결 방법 (A Method of Supervi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Decision Lists Based on Syntactic Clues)

  • 김권양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25-130
    • /
    • 2003
  • 본 논문은 구문관계에 기반한 단서의 결정 리스트를 이용한 지도학습 어의 애매성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주어진 단어의 어의 애매성을 해결하기 위해 애매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와 문맥 내 주변 단어들 사이의. 구문적 관계에 비중을 두며, 모든 단서들을 통합하는 대신에 주어진 문맥 내에서 애매성 해결에 최상이 되는 단일 증거를 규명하고 이용함으로써 올바른 의미를 결정한다. 10개의 한국어 동사에 대한 실험 결과 주변 문맥 단어 외에 구문적인 단서를 추가한 방법이 정확도 성능에 있어서 기준 정확도보다 33% 향상됨을 보였으며, 결정 리스트를 사용한 방법이 모든 애매성 해결에 대한 단서들을 통합하는 방법보다 3%의 정확도 성능 개선을 보였다.

Syntactic법에 의한 한글의 패턴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Recognition of Korean Characters by Syntactic Method)

  • 김태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5-21
    • /
    • 1977
  • 본 논문은 Syntactic법에 의한 한글의 인식 algorithm에 대하여 논한 것으로 인식절차는 크게 나누어 전처리, graph화, 분할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전처리과정에서는 Hilditch의 thinn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입력문자의 골격패턴을 얻었다. graph화 단계에서는 세선화패턴으로 부터 4종류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입력패턴을 기본패턴의 구성관계로 나타냈다. 분할단에서는 tree문법에 의한 패턴해석을 수행, 입력패턴을 구성하는 각 자모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였다. 본 algorithm의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자계산기를 이용, 511자의 인쇄체 한글에 대하여 인식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약 90%의 정인식율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