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wimming Behavior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4초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수면 장애에 대한 국외 작업치료 중재의 체계적 고찰 : 2011년부터 2021년까지 (A Systematic Review of Overseas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udy for Sleep Disorde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2011~2021)

  • 최지은;안선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95-105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method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aving sleep disorders and evaluate the improvements with intervention effects, based on experimental studies of children with sleep disorders. Methods : Studies published overseas from January 2011 to June 2021 were searched from a total of two databases. Science Direct and OTseeker. The fiv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age, number, intervention period, intervention type, intervention effect, evaluation tool, research design type, and evidence level.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182, 95 subjects in ther experimental group, and 87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s included weighted blankets, swimming, and sleep education for parents. Ther interventions were found to increase total sleep time, improve mood when waking up, reduce sleep anxiety, reduce sleep time, reduce the number of waking up of during sleep, and reduce sleep resistance behavior. Conclusion : Many people have sleep disorders,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number is gradually increasing. Consequently, research o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e actively conducted in foreign countries, and these interventions have a positive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such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udies are necessar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 sleep disorders in Korea.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ue to sleep disorders and their methods are required.

황기(黃芪)가 흰쥐에서 SPS로 유도된 PTSD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stragali Radix on SPS-induced PTSD in Rats)

  • 민예은;이태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09-121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stragali Radix o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induced by the Single Proposed Stress(SPS). Methods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five groups; SAL groups with only saline treatment, SPS group, SPS + ARX25 group, SPS + ARX50 group, and SPS + ARX100 group. After applying SPS, saline and ARX were administered for 14 days to identify the change of body weight, sucrose intake amount, and behavioral changes through Open Field Test(OFT) and Forced Swimming Test(FST). After the behavioral experiment, plasma corticosterone levels, serotonin, norepinephrine and dopamin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assay in medical prefrontal cortex, hippocampus, and amygdala.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in the hippocampus was measur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 Weight change h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PS group compared to the SAL group(p<0.05). On day 14, the sucrose intake of rat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PS + ARX100 group compared to the SPS group(p<0.05). In OFT, the number of staying in the central spac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PS + ARX100 group(p<0.01). In FST, immobility h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PS + ARX50 group and SPS + ARX100 group(p<0.05). The concentration of serotonine, dopamine and BDNF express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SPS + ARX100 group compared to SPS group(p<0.05) Conclusions : In the SPS-induced PTSD experiment, ARX increased sucrose intake and the numbers of crossing in the central zone space in OFT, decreased immobility time in FST, and increased concentration of serotonin, dopamine, and BDNF.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 ARX could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PTSD.

국내산 양식 흰다리새우 유래의 비브리오균에 대한 소독제의 방제 효과 검증 (Assessment of the Effect of a Disinfectant to Control Vibrio Strain from White Leg Shrimps Cultured in Korea)

  • 전진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3호
    • /
    • pp.30-34
    • /
    • 2023
  • 2023년 7월, 국내의 흰다리 새우 양식장에서 양식 중이던 흰다리 새우가 이상유영을 보이며 식욕부진에 시달리며 지속적으로 폐사하였다. 초기에는 일일 평균 폐사율이 0.1%였으나, 3주 후에는 5%까지 증가하였다. 질병 진단 과정 중, 폐사 새우의 간췌장에서 세균(KNUAFVa-SHP08147)이 분리되었다. 본 세균의 16S rRNA 유전자의 시퀀스 분석결과, 분리주 KNUAFVa-SHP08147은 Vibrio alginolyticus로 동정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주를 대상으로 비브리오 방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소독제의 효능을 검증해보았다. 소독제 VirkonTMS의 효능 검증을 위하여, VirkonTMS를 처리한 후 KNUAFVa-SHP08147의 성장 곡선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VirkonTMS가 KNUAFVa-SHP08147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무의미한 것으로 드러나, 소독제 VirkonTMS의 Vibrio 방제 효과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계단식 어도에서의 어류 친화적 흐름 특성 연구 (Study on Fish-friendly Flow Characteristic in Stepped Fishway)

  • 정찬진;김동현;김형석;이승오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65-73
    • /
    • 2023
  • 하천에서는 어류의 상·하류 간의 이동을 위해 어도는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시설이다. 그러나 어도 내부의 흐름에 따라 이동효율의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LOW-3D를 통해 월류수심에 따른 계단식 어도 내의 어류 친화적 흐름을 검토하였고,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개수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류의 유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항목으로는 유속, 난류운동에너지, 에너지소산율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항목으로 대상 어류를 피라미로 가정하여 어류 친화적 흐름의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월류 수심은 피라미에게 유효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어도의 낙차에 따라 적합한 월류수심이 요구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계단식 어도 설계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국내산 저염분 양식 흰다리새우 유래의 슈와넬라의 병원성 세균으로의 특성 (Shewanellasp., A Potential Pathogen of White Leg Shrimp Cultured in Low Salinity Water in Korea)

  • 전진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3호
    • /
    • pp.14-18
    • /
    • 2023
  • 2022년 7월, 국내의 저염분 해수 흰다리새우 양식장에서 양식 중이던 흰다리새우가 이상유영과 식욕부진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폐사하였다. 일일 평균 폐사율이 0.1%로 완만한 폐사를 보였으나, 2달 넘게 폐사가 지속되었고 성장 지체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가 가중되었다. 질병 진단 과정 중, 폐사 새우의 간췌장에서 세균(KNUAF-SHP3)이 분리되었다. 본 세균의 16S rRNA 유전자의 시퀀스 분석 결과, 분리주 KNUAF-SHP3은 Shewanella에 속하는 균으로 동정이 되었고, S. algae MARS 14, S. chilikensis JC5T와 근연 관계를 보이며 같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실험 동물을 활용한 인위 감염 실험에서는 상대적으로 고농도(2.1×108CFU/ml와 2.1×109CFU/ml)를 적용한 군에서는 모든 새우들이 감염 증상을 보이며 감염 후 7일 내에 100% 폐사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Shewanella 세균이 저염분 해수 양식 흰다리새우에서의 잠재적인 기회 감염균이 될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만성 스트레스 모델에서 사물탕가향부자의 항우울 효과 (The Anti-depressive Effect of Samul-tanggahyangbuja on Chronic Mild Stress in Ovariectomized Rats)

  • 정지혜;최창민;서윤정;조한백;김송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47
    • /
    • 2013
  • 목 적: 본 연구는 만성 스트레스로 인한 갱년기 우울증 모델에서 사물탕가향부자(SGH)의 항우울 효과를 검증하여 실험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4주간 만성 스트레스를 가하고 SGH(100 and 400 mg/kg/day)를 투여한 후 행동검사인 sucrose intake test(SIT), elevated plus maze(EPM), forced swimming test(FST) 및 Morris water maze test(MWMT) 등을 통한 우울행동 변화와 혈청 corticosterone(CORT), IL-$1{\beta}$ 및 IL-4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또한 뇌 내 hippocampus와 hypothalamus에서 5-HT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SIT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자당 섭취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2. EPM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open arms에 머무는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open arms와 closed arms를 교차하는 횟수도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FST에서 SGH 100 mg/kg/day, 400 mg/kg/day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immobility시간이 유의하게 줄어들었다(SGH 100 p<0.05, SGH 400 p<0.01). 4. MWMT에서 SGH 100 mg/kg/day, 400 mg/kg/day 투여군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 4일째에서 acquisition trials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단축되었고(p<0.05),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retention trials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CORT와 IL-4 측정에서 대조군과 SGH 투여군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IL-$1{\beta}$ 측정에서 대조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SGH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6. Hippocampus에서의 5-HT 측정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Hypothalamus에서의 5-HT수준은 SGH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SGH 100 p<0.05, SGH 400 p<0.01). 결 론: 이상의 결과로 SGH는 만성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에서 항우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HPA axis, immune system 보다 5-HT system에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송사리와 방어의 시각운동반응 (The Optomotor Response of Killifish and Yellowtail)

  • 장충식;이병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9권1호
    • /
    • pp.17-24
    • /
    • 1983
  • 흑, 적, 녹색의 그물무늬의 시각막을 15.0, 37.4, 62.9cm/sec의 속도로 회전시켰을 때의 송사리 Orizias latipes의 방어 Seriola quinqueradiata의 시각운동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각운동반응율은 송사리가 95%, 방어가 94%였다. 2. 송사리가 잘 반응하는 시각막의 색상은 흑, 적, 녹색의 순이며, 흑색에 대한 적, 녹색의 차이는 뚜렷했으나 적색과 녹색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3. 방어가 잘 반응하는 시각막의 색상은 흑, 적, 녹색의 순이며, 색상에 따른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4. 시어가 잘 반응하는 시각막의 속도는 62.9, 37.4, 15.0cm/sec의 순이며, 속도에 따른 차이는 뚜렷했다

  • PDF

영일만 쇄파대에 나타나는 부유성 요각류의 주야 수평이동 (Diel Horizontal Migra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the Surf Zone of Yongil Bay, Korea)

  • 서해립;유옥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27-536
    • /
    • 1996
  • 동물플랑크톤이 쇄파대에서 어떻게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가를 연구하면서, 부유성 요각류 일곱 종의 주야 수평이동 양상을 조사하여 비교했다. 동해 영일만 쇄파대에서 수심 1m 되는 곳의 표층과 저층과 해변가 세 곳을 썰매형 네트로 채집했다(총시료수=108개). 쇄파대 요각류 집단은 일곱 종 (Acartia hudsonica, Fseudodiaptomus marinu, Paracalanus indicus, Calanus sinicus, Oithena similis, Sinocalanus tenellus, Labidocera bipinnata)이 우점했다. 쇄파대 요각류의 주${\cdot}$야간 생물량 차는 약 세 배였다. 표층에서 채집한 전체 요각류와 우점하는 일곱 종의 생물량은 주간보다 야간에 모두 유의하게 많았다. 하지만, 저층에서 주${\cdot}$야간 생물량의 차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쇄파대 요각류의 약 $90\%$가 주야 수평이동하는 것을 밝혔다. 조금때 바람이 육지에서 바다쪽으로 불었지만, 표층에서 야간에 요각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각류가 해류에 따라 수동적으로 운반되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수평 방향을 유지하여 헤엄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인 듯하다. 요각류는 상대 조도의 변화에 따라 광반응 행동을 하고, 그래서 야간에 쇄파대에 모였다가 주간에 흩어지게 하는 주야 수평이동이 나타난 것 같다. 주야 수평이동은 요각류가 시각 포식자와 마주칠 기회를 줄일 것이다. A. hudsonica가 개체발생 단계별로 이동시각을 달리한 것은 발생단계에 따라 광반응 행동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인 듯하다. 결과적으로 이것이 먹이를 둘러싼 종내 경쟁을 줄일 것 같다. 요각류 이동 자료에서 A. hudsonica, P. indicus, O. similis, S. tenellus 네종은 한 시간 이상 유영속도를 $20m\;h^{-1}$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쇄파대에서 요각류가 차지하는 중요도를 바로 알려면, 주야 생물량이 매우 다르므로 주간과 야간 채집을 함께 해야 한다.

  • PDF

명태 초기 생활사에 고수온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rmer Water Temperature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Larvae)

  • 유해균;변순규;야마모토준;사쿠라이야스노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9-346
    • /
    • 2015
  • 고수온이 명태 부화자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수온별 사망률과 부화 4일 후까지의 유영행동을 알아보았다. 실험 수조는 ${\O}10cm{\times}h85cm$ 실린더형 실험수조로 상층과 하층의 수온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작은 규모의 수온약층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자어는 친어를 실내사육을 통해 자연산란한 수정란을 부화시켜서 사용하였다. 사망률 실험에는 $3.1^{\circ}C$에서 $9.7^{\circ}C$까지 4개의 수온 범위에서 실시하였다. 50 % 사망까지의 일수는 $3.1^{\circ}C$에서 18.7일, $9.7^{\circ}C$에서 10.3일로 수온이 높아질수록 짧아졌고, $5.1^{\circ}C$에서는 17.9일로 $3.1^{\circ}C$와 유사하였다. 고수온에 대한 부화 자어의 유영 행동은 성장함에 따라 상층 수온이 올라가면 수온약층 부근으로 분포 위치를 바꾸었다. 부화 2일 후 부터 상층의 고수온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부화 3일 후 부터 뚜렷하게 상층의 고수온을 회피하였다. 이 결과는 산란장의 표층 수온이 상승하면 부화 자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시사한다.

겨울철 양식 능성어의 바이러스성뇌망막증(VER) 감염사례 (A Case Study of Mortality Caused by Viral Encephalopathy and Retinopathy (VER) in Cultured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during Winter)

  • 원경미;이정태;조미영;김명석;김나영;정승희;이남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7-164
    • /
    • 2017
  • 2015년 겨울, 우리나라 남해안 소재 육상 양식장에서 사육 중이던 능성어의 약 30%가 폐사하였다. 수온 $9{\sim}12^{\circ}C$의 겨울철에 발생한 능성어 폐사는 신경괴사성바이러스 (NNV)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뇌망망증 (VER)으로 밝혀졌다. 시험어는 비정상적인 유영, 배를 위로한 채 수면을 떠 다니는 현상, 체색흑화, 안구백탁 및 부레의 과도한 팽창 소견을 보였다. 원인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고수온기 능성어에 감염되는 RGNNV genotype이 아닌, 냉수성 어류에서 분리되는 BFNNV genotype으로 밝혀졌으며, NNV 가장 근연관계가 높은 Pacific cod betanodavirus (PCNNV)와 99.7~100% 상동성을 보였다. 병리조직학적 관찰 결과, 바이러스성뇌망망증 (VER)의 특징적인 병변인 뇌조직의 공포화 및 괴사를 수반하였다. 이 연구는 수온 $12^{\circ}C$ 이하의 겨울철에 능성어에 감염된 BFNNV genotype에 대한 첫 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