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etened beverage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6초

RE-AIM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프로그램 평가: 체계적 고찰과 어린이 대상 건강증진 프로그램 평가 (Program Evaluation using the RE-AIM Framework: A Systematic Review and Application to a Pilot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 이지은;심재은;김기랑;강재헌;황지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6-308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lementary-school-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 using the RE-AIM framework and to examine their feasibility. Methods: Previous evaluation studies on health interventions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using the RE-AIM framework were reviewed systematically to identify appropriate evaluation criteria. A diet an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was implemented in a pilot study using the "Happy Me" application.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RE-AIM framework to evaluate it was examined. Results: The review yielded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reach," the ratio of participants out of the total target population; "efficacy/effectiveness," the difference in outcom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or between a pre- and post-test; "adoption," the rate of use of the program and participation in the next stage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the progress on the program components; "maintenance," the participants' and teach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program. The pilot study reached 76.6% of the targeted population. The intake of sugar-sweetened beverages decreased (P < 0.0001), and the duration of walking increased (P < 0.0001). Other indicators could not be evaluated; therefore, potential indicators were suggested. Conclusions: This study produced feasible evaluation criteria for elementary-school-based health promotion using the RE-AIM framework. Nevertheless, the feasibility needs to be validated with a broader range of studies and long-term interventions.

Screen time, mealtime media use, and dietary behaviors in Korean preschoolers : a cross-sectional study

  • Young-Hee Han;Saerom Shin;Eun Yeol Woo;Hye-Kyung Park;Taisun Hyun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6-219
    • /
    • 2023
  • Objectives: Screen time refers to the time spent using screen media, such as televisions, smartphones, computers, or tablets. Excessive exposure to screen media has been reported to negatively impact young children's health and development, including overweight, short sleep duration, and language delay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screen time and mealtime media use with dietary behaviors among preschool childre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of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using the online questionnaires of the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and the Dietary Screening Test (DST). Data from 261 children's parent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261 children, 96.9% used screen media, 55.6% used screen media for two hours or more daily, and 30.7% were exposed to screen media during meals. The NQ-P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ildren with longer screen time and mealtime media use. Children who used screen media for two hours or more and those exposed to screen media during meals consumed kimchi less frequently and confectionery and sugar-sweetened beverages more frequently than children who used less than two hours and were not exposed to screen media during meals. In addition, they were more likely to be picky about food, refuse to eat, and less likely to feed themselves than children with shorter screen time and no mealtime media use. Conclusions: This study reported an association between unhealthy dietary behaviors, feeding difficulties, and screen time and mealtime media use among preschool children. Further research should explore effective strategies for reducing children's screen time.

Development of tailored nutrition information messages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for smartphone application of an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 Lee, Ji Eun;Lee, Da Eun;Kim, Kirang;Shim, Jae Eun;Sung, Eunju;Kang, Jae-Heon;Hwang, Ji-Y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3호
    • /
    • pp.247-256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Easy access to intervention and support for certain behaviors is important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The available technology such as smartphone applications can be used for intervention regarding healthy food choices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is comprised of stages and processes of change and can be adopted to tailored education for behavioral chang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TM-based nutrition contents for mobile applications intended to change eating behaviors related to weight gain in young children. SUBJECTS/METHODS: A synthesized algorithm for tailored nutrition message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intake status of six food groups (vegetables, fruits, sugar-sweetened beverages, fast food and instant food, snacks, and late-night snacks), decision to make dietary behavioral changes, and self-confidence in dietary behavioral changes. The messages in this study were developed from December 2014 to April 2015. After the validity evaluation of the contents through expert consultation, tailored nutrition information messages and educational cont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TM. RESULTS: Based on the TTM, stages of subjects are determined by their current intake status, decision to make dietary behavioral changes, and self-confidence in dietary behavioral changes. Three versions of tailored nutrition messages at each TTM stage were developed so as to not send the same messages for three weeks at most, and visual materials such as figures and tables were developed to provide additional nutritional information. Finally, 3,276 tailored nutrition messages and 60 nutrition contents for applications were developed. CONCLUSIONS: Smartphone applications may be an innovative medium to deliver interventions for eating behavior changes directly to individuals with favorable cost-effectiveness. In addition, using the TTM for tailored nutrition education for healthy eating is an effective approach.

전자혀를 이용한 객관적 상대 단맛 측정 (Objective and Relative Sweetness Measurement by Electronic-Tongue)

  • 박소연;나선영;오창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21-926
    • /
    • 2022
  • Astree사의 E-Tongue을 이용한 상대적 단맛 평가를 위하여 검토한 7개의 센서 중 PKS 및 NMS 센서가 1차로 선정되었다. PKS 및 NMS 센서를 이용해 설탕을 비롯한, 과당, 포도당 및 자일리톨, 5%, 10% 및 15% 용액을 분석한 결과, 자일리톨 및 과당의 농도 증가에 따른 PKS 센서 감응도의 변화가 미미하여, 최종적으로 NMS 센서를 단맛 측정 센서로 선정하였다. 이들 감미료의 농도 중 5% 용액을 모든 센서를 활용한 PCA(주성분 분석) 통계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에서는 DI (식별지수)값이 -0.1로 감미료 상호 간 구분이 힘들었으나, NMS 센서만을 이용한 상대적 센서 감응도는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과당 및 자일리톨의 상대적 센서 감응도는 각각 1.08 및 1.00으로 사람의 미각으로 측정한 문헌상 관능검사의 상대적 감미도 범위에 포함되었으나, 포도당의 경우는 0.99로 문헌상 상대감미도 0.5~0.75보다 높게 나타났다. 5%~15% 농도 범위에서 설탕 대비 3종 감미료에 대한 NMS 단일센서를 이용한 E-Tongue의 우수한 정밀성 (%RSD, 1.53~3.64%)을 고려할 때 향후 가당 음료 등에 대한 신제품 개발 및 품질관리 등에 관능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사회인지론에 근거한 성인의 당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ugar intake in adults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 김길례;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120-135
    • /
    • 2024
  • 본 연구는 사회인지론을 기반으로 성인의 당류 섭취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성인의 당류 섭취 저감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대구시민 만 19-49세 성인 1,022명 (남자 502명, 여자 52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에 온라인 업체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당류 급원식품 1일 총 섭취빈도는 4회였으며, 음료류 (1.87회)가 가장 높았고, 품목별로는 단 커피음료 (0.81회)가 가장 높았다. 당류 급원식품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남녀 모두 당류 섭취 줄이는 것에 대한 부정적 결과기대가 높았고, 가정환경과 사회환경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자기효능감과 당류 섭취를 줄이는 행동수행력의 실천이 낮았다. 회귀분석 결과, 당류 급원식품 섭취빈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지론 요인으로는 남녀 모두 환경적 요인인 가정환경으로 나타났으며, 당류 섭취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남성의 경우 인지적 요인인 당류 섭취 줄이는 것에 대한 긍정적 결과기대, 여성의 경우 행동적 요인인 행동수행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 대상 당류 섭취 줄이기를 위해서는 당류 섭취 저감화에 대한 긍정적 결과기대를 높이고, 평소 달게 먹는 식생활을 개선할 수 있는 식생활 교육 및 가정환경 변화를 포함한 영양중재도 함께 이루어져야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관리정책 시행에 따른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성분 변화 (Changes in Nutrient Contents of Children's Favorite Foods after Policy Implementation on Energy-Dense and Nutrient-Poor Foods in Korea)

  • 김형준;이영미;윤지현;김소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01-512
    • /
    • 2017
  •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에 근거한 고열량 저영양 식품의 관리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2010년 3월 말과 2012년 7월 말 기준 생산 판매가 지속된 어린이 기호식품, 단종 어린이 기호식품과 신규 어린이 기호식품을 대상으로 단위용량당 평균 열량 및 영양성분(포화지방, 단백질, 당류, 나트륨)의 개선 여부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 3월 말과 2012년 7월 말 기준 생산 판매가 지속된 어린이 기호식품은 총 6,174개, 이 중 고열량 저영양 식품은 1,249개(20.2%)였다. 또한, 단종 어린이 기호식품은 총 510개, 이 중 고열량 저영양 식품은 206개(40.4%)였으며, 신규 어린이 기호식품은 총 1,173개, 이 중 고열량 저영양 식품은 총 371개(31.6%)로 조사되었다. 둘째, 생산 판매가 지속된 어린이 기호식품 중 평균 열량 또는 영양성분에서 긍정적인 변화만이 1개 항목 이상 나타난 식품유형은 빵류, 아이스크림류, 과채음료, 즉석섭취식품(이상 1개 항목), 혼합음료(2개 항목), 빙과류(3개 항목)였다. 반면 부정적인 변화만이 1개 항목 이상에서 나타난 식품유형은 과자, 초콜릿류, 유산균음료(이상 1개 항목), 캔디류(2개 항목)였다. 한편 어육소시지, 탄산음료, 유탕면류 및 국수, 피자에서는 긍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변화가 동시에 나타났다. 다만 단위용량당 평균 열량 또는 영양성분의 변화는 대부분 1 kcal 또는 1 g 미만이었다. 셋째, 열량 및 영양성분 함량의 긍정적인 변화는 어린이 기호식품 중에서도 고열량 저영양 식품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생산 판매가 지속된 고열량 저영양 식품 중 평균 열량 또는 영양성분에서 긍정적인 변화만이 1개 항목 이상 나타난 식품유형은 과채음료, 유산균음료, 혼합음료(이상 1개 항목), 빙과류(3개 항목), 아이스크림류(3개 항목), 즉석섭취식품(3개 항목)이었다. 반면 부정적인 변화만이 1개 항목 이상 나타난 식품유형은 캔디류, 초콜릿류, 탄산음료(이상 1개 항목)였다. 한편 빵류, 유탕면류 및 국수, 피자의 평균 열량 또는 영양성분에서는 긍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변화가 동시에 관찰되었다. 단위 용량당 평균 열량 또는 영양성분의 변화는 대부분 1 kcal 또는 1 g 미만이었으나, 일부 식품유형(빙과류, 빵류, 즉석 섭취식품, 피자)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변화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신규 어린이 기호식품이 단종 어린이 기호식품보다 평균 열량 또는 영양성분에서 긍정적인 변화만이 1개 항목 이상 나타난 식품유형은 빵류(3개 항목)와 탄산음료(2개 항목)였으며, 부정적인 변화만이 1개 항목 이상 나타난 식품유형은 초콜릿류(4개 항목), 아이스크림류(4개 항목), 즉석섭취식품(3개 항목)이었다. 과자, 캔디류, 과채음료, 혼합음료, 유탕면류 및 국수, 피자에서는 긍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변화가 동시에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 고열량 저영양 식품 관리 정책이 본격적으로 실시된 이후에도 어린이 기호식품의 단위용량당 평균 열량 및 영양성분상에 일부 부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식품회사들이 자율적으로 제품의 긍정적인 개선을 적극 실천하기보다는, 현행 고열량 저영양 식품 분류 기준에 저촉되지 않는 선에서라면 일부 부정적인 방향으로의 제품 변화 역시 시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고열량 저영양 식품 관리 정책이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개선을 통하여 어린이를 위한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에 미친 영향은 아직까지 일부 식품 유형에만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