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ture anchor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5초

Transosseous Tie Fixation Using Krackow Sutures and Bone Tunnels in a Comminuted Fracture of the Upper Pole of the Patella: A Case Report

  • Baik, Jong Seok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4권4호
    • /
    • pp.305-308
    • /
    • 2021
  • Comminuted fractures of the patella mostly occur at the inferior pole and require appropriate reduction and fixation to restore the extensor mechanism.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tension-band wiring are not enough to gain proper fixation strength. Numerous methods have been reported, including circumferential cerclage wiring, osteosynthesis, and suture anchors depending on the fracture pattern. Herein, the author reports a relatively rare case of a comminuted fracture of the upper pole of the patella, for which we used augmented Krackow sutures in the quadriceps and fixation with tying of the suture limbs through patellar bone tunnels.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terms of reduction and extensor mechanism recovery.

Use of a Barbed Suture Tie-Over Technique for Skin Graft Dressings: A Case Series

  • Joyce, Kenneth M.;Joyce, Cormac W.;Mahon, Nicola;Kelly, Jack 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41-345
    • /
    • 2015
  • Background A tie-over dressing is the accepted method to secure skin grafts in order to prevent haematoma or seroma formation. We describe the novel application of a barbed suture tie-over for skin graft dressing. The barbs act as anchors in the skin so constant tensioning of the suture is not required.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August 2014 we used the technique in 30 patients with skin defects requiring split-thickness or full-thickness grafts. Patient demographics, clinicopathological details and graft outcome were collected prospectively. Results The majority of cases were carried out for split-thickness skin grafts (n=19) used on the lower limb (n=20). The results of this novel technique were excellent with complete (100%) graft take in all patients. Conclus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a barbed device for securing skin grafts with excellent results. We find the technique quick to perform and the barbed device easy to handle, which can be applied without the need for an assistant.

Antegrade Suture Passer를 이용한 전하방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의 복원술 - 수술 술기 - (Anteroinferior Capsulolabral Complex Repair Using Antegrade Suture Passer - Technical Note -)

  • 서혁준;조철현;이시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5-99
    • /
    • 2013
  •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전하방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 손상에 대해 antegrade suture passer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관절경적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후방 삽입구를 통해 관절내 병변의 유무를 확인하고, 전상방 및 전하방 삽입구를 만든 뒤 방카트르 병변(Bankart lesion)의 확인 및 봉합 전 처치를 시행한다. 전하방 삽입구를 통하여 첫 번째 봉합 나사를 4시 반 방향에 고정한 다음 한가닥의 봉합사를 Scorpion$^{TM}$을 이용하여 5시 반 방향(우측 견관절 기준)에 있는 관절와와 분리 및 퇴축된 전하방 관절와-상완인대와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를 약 10-15 mm 내측에서 통과시킨다. Scorpion$^{TM}$의 고리를 이용하여 통과시킨 봉합사를 삽입구로 빼낸 다음 SMC 매듭을 이용하여 봉합한다. 이후 3시 반, 2시 반 방향의 관절와에 각각 봉합 나사를 삽입하고 기존의 방법인 봉합 갈고리와 shuttle-relay technique을 이용하여 관절와순 봉합을 완성한다. 본 술기는 기존의 봉합 갈고리를 이용한 봉합술로는 어려웠던 5시 내지 5시 반 방향의 전하방 관절와-상완인대에 대한 해부학적 복원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초보자나 경험이 적은 술자에게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Coracoclavicular Ligament Suture Augmentation with Anatomical Locking Plate Fixation for Distal Clavicle Fracture

  • Lim, Tae Kang;Shon, Min Soo;Ryu, Hyung Gon;Seo, Jae Sung;Park, Jae Hyun;Ko, Young;Koh, Kyoung-Hw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4호
    • /
    • pp.175-180
    • /
    • 2014
  • Background: For Neer type IIB fracture of distal clavicle with coracoclavicular ligament injury, various surgical treatments have been used in literatures. However, there was no consensus on the optimal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 and suture augmentation of disrupted coracoclavicular ligament.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23 patients with Neer type IIB distal clavicle fracture in Seoul Medical Center, Eulji Hospital, and National Medical Center. Firstly, suture anchors are inserted in the base of coracoid process and preliminary reduction was achieved by tie-off of three suture limbs around the clavicle. Then, the final fixation was completed with anatomical locking plate. Bony union and the distance between coracoclavicular ligaments were evaluated. Clinical results and complications including stiffness and secondary procedures were evaluated. Results: Bony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except one (22 of 23). At mean 14.9 month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coracoclavicular distance was observed compared to uninjured shoulder ($8.2{\pm}7.9mm$ versus $7.3{\pm}3.4mm$, p=0.14). Pain visual analogue scal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Constant score, and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were 0.5, 83.4, 78.5, and 6.2, respectively. Revision surgery was performed in one case of nonunion. Four patients who complained of skin irritation underwent implant removal. Conclusions: In cases of an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coracoclavicular ligament disruption,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were obtained by locking plate fixation and coracoclavicular ligament suture augmentation concurrently.

견갑하근 단독 손상 시 시행한 관절경하 봉합 나사를 이용한 봉합술 (Arthroscopic Treatment with Suture Anchor for the Isolated Subscapularis Tear)

  • 문영래;안기용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37-141
    • /
    • 2009
  • 목적: 회전근 개의 하나인 견갑하근 단독 손상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파열부 봉합술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견갑하근의 단독손상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처치를 시행한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다른 회전근 개의 손상이 없는 견갑하근 단독 손상이었고, 견갑하근 손상의 범위는 상부 1/3인 경우가 19예, 상부 2/3인 경우가 7예, 완전 파열인 경우가 3예 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2.2개월 (6~26개월) 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최종 추시의 constant shoulder score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후 constant shoulder score 는 술 전 평균 $49.9\pm7.3$ 에서 술 후 평균 $73.8\pm3.0$으로 constant shoulder score 중 pain points 는 술 전 평균 $4.3\pm3.2$ 에서 술 후 평균 $11.2\pm3.0$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견갑하근의 단독손상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견갑하근 봉합술은 좋은 치료방법 중 하나로 고려할 수 있다.

Bankart 수술 후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못 합병증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Metallic Suture Anchor Failures after Bankart Repair)

  • 신상진;정재훈;김성재;유재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0-76
    • /
    • 2006
  • 목적: 금속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 수술 후, 여러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 못 돌출 합병증을 보고하고 발생 원인, 임상 양상 및 관절경적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Bankart 수술을 시행 받은 후 운동시 들리는 관절내 마찰음 및 통증 또는 불안정성을 호소하며 내원하여 관절경 재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수술 이후 재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5.2개월이었다. 환자들은 관절경 재수술시 봉합 나사못의 돌출이 확인되었으며 관절경 술식을 이용하여 돌출 봉합 나사못을 제거하였다. 결과: 주 증상은 4명에서 통증을 동반한 관절내 마찰음이었으며 이 마찰음은 외전 및 외회전시 분명하게 들렸다. 1명은 통증과 함께 견관절 불안정성을 호소하였다. 견관절 운동 범위는 외회전만 약간 감소되었을 뿐 거의 정상 소견을 나타내었다. 돌출되었던 봉합 나사못의 위치는 5시 방향 1명, 4시 방향 2명, 2시 및 3시 방향 각각 1명씩이었다. 그 중 2명은 전방 관절와연에서 5 mm 정도 내측 관절면 위에 위치하였다. 나머지 3명은 올바른 위치에 삽입되어 있었으나 나사못 주변의 연골 마모 및 골소실이 관찰되었다. 재수술시 5명 모두 상완골두에 연골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1명은 관절와에도 연골 결손이 동반되었다. 재수술 후 2년째 추시 결과 재탈구나 불안정성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으며 통증에 대한 VAS 점수는 수술 전 3.4에서 수술 후 1.2로 감소되었다. Constant 점수는 수술 전 65점에서 수술 후 89점으로 증가하였으며 ASES 점수도 수술 전 67점에서 수술후 88점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봉합 나사못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은 불안정성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재활 운동 시점부터 증상이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수술 후 통증과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돌출된 봉합 나사못은 상완골두 연골의 파괴를 유발하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므로 봉합 나사못 돌출이 의심되면 관절경을 통하여 관절내의 변화를 관찰하며 돌출된 봉합 나사못을 다시 삽입하거나 제거하여야 한다. 봉합 나사못 제거에 본 수술 방법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봉합 나사못 제거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서 관절경적 방카트르 봉합술 시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임상적 치료결과 비교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Absorbable Knot-tying and 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s)

  • 김성준;;오경수;방승철;박진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0-55
    • /
    • 2013
  • 목적: 방카르트 병변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에서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 과 흡수성 비매듭 봉합 나사못의 임상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연구는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방카르트 봉합술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 이용한 환자군(KT군)은 59명,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KL군)을 이용한 환자 군은 52명이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각각 25.9개월과 37.0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통증의 주관적 시각 척도(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VAS for pain), 관절 운동 범위, Rowe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그리고 재탈구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주관적 시각척도에 의한 통증의 정도는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은 평균 0.5점,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은 0.8점이었고(p=0.250), 수술 후 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매듭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에서는 1예가 발생하였다. Rowe score는 각각 평균 94.3점 및 96.3점(p=0.412), ASES score는 각각 97.29점과 94.03점이었다(p=0.052). 술 후 재 탈구는 KT군에서 4예, KL군에서는 1예가 있었으며 양 군에서 재 탈구 빈도는 통계적 의의가 발견되지 않았다(p>0.05). 결론: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임상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두 방법 사이에 재 탈구 율을 포함한 결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외측 족관절 불안정성 환자에서 봉합 나사와 PushLock Anchor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 (Modified Brostrom Procedure with Suture Anchor & PushLock Anchor in Lateral Ankle Instability)

  • 신성일;김갑래;조주성;이효범;권재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41-24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perform a comparison of the outcomes of the modified Brostrom procedure using only a suture anchor compared with using a suture anchor with a pushlock anchor. Materials and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that underwent a modified Brostrom procedure using a bioabsorbable suture anchor & a pushlock anchor,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A total of 8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function of the patient's ankles were scored using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visual analogue scale (VAS) both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overall means between the group A and group B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patient's satisfaction was better in the group B, and there were more complications in the group A. Conclusion: The technique presented here uses the modified Brostrom procedure with pushlock anchors to prevent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subcutaneous knot irritation.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발생한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후 발생한 골용해 (Osteolysis-Related Bioabsorbable Suture Anchor Fixation in a Medial Collateral Ligament Avulsion Fracture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 허정욱;박만준;홍성확;박준형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45-549
    • /
    • 2020
  •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드물게 발생하는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의 치료는 보조기나 캐스트 등의 보존적 치료, 금속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등의 다양한 치료법이 소개되고 있다.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은 생체 적합성, 방사선 투과성, 제거를 위한 2차 수술이 불필요하다는 장점 등으로 여러 부위에서 금속 고정물을 대체해 사용되고 있으나 골용해 등의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발생한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후 심각한 골용해 소견을 경험하여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판단하에 이에 대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제 2형 SLAP병변에서 생체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 봉함; 수술 술기와 임상 결과 (Arthroscopic Repair of Type II SLAP Lesion with Bio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 Surgical Technique and Clinical Results)

  • 이재칠;김성재;황창호;서동교;고상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59-64
    • /
    • 2007
  • 목적: 이 연구는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한 생체흡수성 knotless suture anchor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독으로 발생한 제2형 SLAP 병변을 가진 14예의 환자가 관절경 하 생체흡수성 knotless anchor를 이용하여 수술적 봉합을 시행받았다. UCLA 및 통증에 대한 VAS, ASD가 평가에 이용되었으며, 술 후 추시 최소 2년째 견관절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27.1 개월의 추시기간 동안 평균 UCLA 점수는 술 전 14.4에서 최종 추시에는 31.2로 향상되었다. 통증에 대한 평균 VAS 점수는 4.9에서 최종 추시에는 1.0이었다. 불안정성에 대한 평균 VAS 점수는 2.6에서 최종 추시에서는 0.5였다. 평균 ADL은 10.4에서 최종 추시에 25.0이었다. 12예의 환자가 우수, 우량의 만족도를 보였으나 14예 중 단 10예만이 수상 전 운동 범위로 돌아갔다(P<0.05). 결론: 생체흡수성 knotless suture anchor를 사용하는 관절경적 봉합술은 단독 제2형 SLAP 병변의 치료에 대해 효과적인 수술 술기이다. 전체 만족도는 단지 85.7%였으며, 게다가 1예에서는 심한 강직을, 1예에서는 활액막염으로 인한 장기간의 견관절 통증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