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eroinferior Capsulolabral Complex Repair Using Antegrade Suture Passer - Technical Note -

Antegrade Suture Passer를 이용한 전하방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의 복원술 - 수술 술기 -

  • Seo, Hyuk-J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Cho, Chul-Hy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Lee, Si-Wo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서혁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조철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시욱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Received : 2012.07.03
  • Accepted : 2012.08.10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We introduce arthroscopic Bankart repair technique using antegrade suture passer that can effectively restore detached anteroinferior capsulolabral complex for shoulder anterior instability. After diagnostic arthroscopy is performed using posterior, anteroinferior and anterosuperior portals, we confirm Bankart lesion and perform debridement and decortications of anteroinferior glenoid edge and neck. Suture anchor is inserted through anteroinferior portal at 2 mm medial side of glenoid edge (4:30 direction). Scorpion$^{TM}$ loaded suture is directly advanced to detached and retracted anteroinferior capsulolabral complex and the suture is passed at 10~15 mm medial side of detached anteroinferior capsulolabral complex (5:30 direction). The suture is retrieved by Scorpion's hook and then is tied using samsung medical center (SMC) sliding knot technique. Then suture anchors are serially inserted (2:30, 3:30) and capsulolabral complex repair is performed using suture hook and suttle-relay technique. This technique that can obtain anatomical restoration of anteroinferior glenohumeral ligament with proper tension is useful technique to reduce postoperative recurrence and makes it possible for less experienced surgeons.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전하방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 손상에 대해 antegrade suture passer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관절경적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후방 삽입구를 통해 관절내 병변의 유무를 확인하고, 전상방 및 전하방 삽입구를 만든 뒤 방카트르 병변(Bankart lesion)의 확인 및 봉합 전 처치를 시행한다. 전하방 삽입구를 통하여 첫 번째 봉합 나사를 4시 반 방향에 고정한 다음 한가닥의 봉합사를 Scorpion$^{TM}$을 이용하여 5시 반 방향(우측 견관절 기준)에 있는 관절와와 분리 및 퇴축된 전하방 관절와-상완인대와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를 약 10-15 mm 내측에서 통과시킨다. Scorpion$^{TM}$의 고리를 이용하여 통과시킨 봉합사를 삽입구로 빼낸 다음 SMC 매듭을 이용하여 봉합한다. 이후 3시 반, 2시 반 방향의 관절와에 각각 봉합 나사를 삽입하고 기존의 방법인 봉합 갈고리와 shuttle-relay technique을 이용하여 관절와순 봉합을 완성한다. 본 술기는 기존의 봉합 갈고리를 이용한 봉합술로는 어려웠던 5시 내지 5시 반 방향의 전하방 관절와-상완인대에 대한 해부학적 복원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초보자나 경험이 적은 술자에게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