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36초

신환경영향평가기술(新環境影響評價技術)의 개발방향(開發方向) (New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echnology)

  • 한상욱;이종호;남영숙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4호
    • /
    • pp.277-29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and to suggest new EIA technology. The problems of EIA in Ko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IA does not reflect the impact of policy, plan and program on environment. Second, the project EIA does not consider the cumulative impacts such as additive impacts, synergistic impacts, threshold/saturation impacts, induced and indirect impacts, time-crowded impacts, and space-crowded impacts. Third, the EIA techniques in Korea are not standardized. Finally, the present EIA suggests only alternatives to reduce adverse impacts. To solv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development of new EIA technology is essential. First, the new EIA technology should be developed toward pollution prevention technology and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technology. Second, new fields of EIA for pollution prevention contain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cumulative impacts assessment, socio-economic impact assessment, cyber EIA and EIA technology necessary after the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ird, EIA technology for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contains the development of integated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packaged EIA technology. The EIA technology for integrated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contains (1) development of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technology combining air/water quality model, GIS and remote sensing, (2)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of EIA, traffic impact assessment, population impact assessment and disaster impact assessment. (3) development of integrated technology combining risk assessment and EIA (4) development of integrated technology of life cycle assessment and EIA, (5) development of integrated technology of spatial planning and EIA, (6) EIA technology for biodiversity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7) mathematical model and GIS based location decision techniques, and (8)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udit. Furthermore, there are some fields which need packaged EIA technology. In case of dam development, urban or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tourist development, landfill or combustion facilities construction, electric power plant development, development of port, road/rail/air port, is necessary the standardized and packaged EIA technology which consider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same kind of development project.

  • PDF

대기오염관리의 새로운 접근방법 (New Approach to Air Quality Management)

  • 윤명조
    • 환경위생공학
    • /
    • 제8권2호
    • /
    • pp.25-48
    • /
    • 1993
  • International concern over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ever increasing, and diversified countermeasures must be devised in Korea also. Global trend, damages,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with respect to issues mentioned in the Rio Declaration, such as prevention of ozone layer destruction, reduction of migratory atmospheric pollution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and prevention of global greenhouse effect, were discussed in this report. Conclusion of the report is summarized as follows : A. Measurement, Planning and Monitoring (1)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global network for measurement and monitoring from the global aspects such factors as related to acid rain(Pioneer substances, pH, sulfate, nitrate), effect of global temperature(Air temperature, $CO_2$, $CH_4$, CFC, $N_2O$) and destruction of ozone layer($CFC_S$). (2) Establishment of network system via satellite monitoring movement of regional air mass, damage on the ozone layer and ground temperature distribution. B. Elucidation of Present State (1)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devices for carbon circulation capable of accurately forecasting input and output of carbon. (2) Developmental research on chemical reactions of greenhouse gas in the air. (3)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global circulation model(GCM) C. Impact Assessment Impact assessment on ecosystem, human body, agriculture, floodgate, land use, coastal ecology, industries, etc. D. Preventive Measur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1) Development and consumption of new energy (2)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for removal of pioneer substances (3) Development of substitute matter for $CFC_S$ (4) Improvement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eans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ozone layer and the greenhouse effect of the globe (5) Improvement of housing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ozone layer and the greenhouse effect of the globe (6)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for probing underground water (7) Preservation of forest (8) Biomass 5. Policy Development (1) Development of strategy model (2) Development of long term forecast model (3) Development of penalty charge effect and expense evaluation methods (4) Feasibility study on regulations By establishing the above mentioned measures for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establish the right to live for humankind and to preserve the one and only earth.

  • PDF

최적경험 제공을 위한 관광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구 (Study of Planning of Contents for Optimal Experience on Tourism)

  • 곽경희;김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735-745
    • /
    • 2013
  • 관광산업은 여가시간의 증가와 함께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큰 성장을 보이고 있다.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콘텐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관광콘텐츠는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단순한 여행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최고의 경험을 제공하는 단계로 발전을 했다. 하지만 이러한 관광콘텐츠는 지역성의 차이 이외에는 그 구성이나 속성에 크게 차별성이 없는 명목상의 관광콘텐츠도 적지 않다. 관광콘텐츠가 개인에게 감동을 주고 이것이 소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개인에 대한 이해, 개인의 경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서비스 경제사회를 넘어 체험경제사회로 접어든 현재에 '경험'은 관광콘텐츠를 상품으로 기획, 개발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 다루는 체험경제이론의 체험4요소와 몰입론의 Challenge-skill 모델은 양질의 관광콘텐츠를 기획/개발하는 단계에서 관광객의 경험을 구체화시켜주는 틀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이 글은 결과적으로 콘텐츠를 일종의 체험으로 보았을 때, 체험4요소를 통해 최대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4가지 요소를 제안하였고, 몰입론을 통해 콘텐츠의 수준과 관광객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균형 잡힌 콘텐츠에 대해 제안하였다.

국내 서비스산업의 현황에 대한 지역별 비교분석 (Regional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 박종태;김동철
    • 서비스연구
    • /
    • 제4권2호
    • /
    • pp.37-47
    • /
    • 2014
  • 서비스산업은 국가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핵심 분야이다. 그러나 아직 우리 경제에서 서비스산업의 발전은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서비스업에 대한 최근의 통계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논문은 지역별로 국내 서비스산업의 현황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통계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16개 시 도 지역에 대한 전국 사업체조사 자료를 토대로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제주권 등 6개 광역권으로 분류하여 이들 지역에 있어서 전체 산업에 대한 서비스산업에서의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의 상대비율을 비교분석하고, 또한 각 권역에 있어서 시도별로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의 상대비율을 비교분석한다. 지역별 비교를 위해서 사용한 자료는 2006년부터 2012년 동안 최근 7년간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이며, 이 자료를 통해 6개 권역에 대한 서비스산업에서의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의 상대비율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각 권역에 속한 시도 지역에 대해서도 그 상대비율들을 계산하여 지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 PDF

경부고속도로: 이동성과 구획화의 정치경제지리 (Gyeongbu Highway: Political Economic Geography of Mobility and Demarcation)

  • 최병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2-334
    • /
    • 2010
  • 이 논문은 1960년대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추진된 경부고속도로의 건설에 내재된 이동성과 구획화의 정치에 초점을 두고, 이를 정치경제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경부고속도로는 첫째 교통로를 통한 이동성의 창출로 권위주의적 정치권력을 강화하고 사회공간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중요한 힘이었으며, 둘째 '비장소'로서 새로운 '기계공간'의 확충을 통해 국토공간의 물리적 경관과 국민들의 일상생활의 리듬을 바꾸어 놓는 위력을 가졌고, 셋째 시공간적 압축을 통해 자본의 회전시간을 단축하여 자본주의 경제가 발전할 수 있는 물적 토대를 제공했다. 그러나 경부고속도로는 이에 포섭된 지역(수도권과 동남임해지역)과 배제된 지역(즉 호남지역과 강원지역)간 불균등발전을 틀지웠을 뿐만 아니라, 결국 이에 포섭된 지역들 내에서도 불균등발전을 심화시켜 수도권과 그 외 지역들 간을 구획화하는 정치경제적 균열화를 초래했다. 경부고속도로는 또한 이동성의 심화에 따른 장소 소외와 건설 운영과정에서 생태적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고속도로의 비극'을 해소하고 고속도로가 진정한 균형과 통합의 길로 거듭나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정치'가 요구된다.

  • PDF

범지구적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입안자 네트워크의 역할 (The Role of Decision-Makers' Platform for Securing Water by Moving Forward to Global Challenges)

  • 박지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21
    • /
    • 2011
  • Many Asian countries are suffered from various problems on water, which include the need for increased access to improves water supplies and sanitation through investments in infrastructure and capacity building, the balances water management system between development and ecosystem, and the need to reduce the human populations'vulnerability to water-related disasters, in particular, from climate variability and evolution. Decison makers a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policy making and solving global water problems is central issue in eradicating poverty and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MDG). They across the world form an integral part of the architecture of national or regional governance. Their role covers a range of decision-making processes including passing legislation, scrutinizing government policy, and representing citizen through the election. We must ensure that these quiet but important issues get the political space, financial priority and public attention they deserve. Regional bodies such as the EU have also enacted legislation which introduces rules on water quality and other enforceable mattera across state boundaries. With this growing body of laws and policies on water issues, the role of decision makers is growing. Recognizing this role, decison makers' platform is essential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discuss crucial water issues in each country or region and for the purpose "2010 Parliaments for Water in Asia" has planned and organized to investigate our common issues and goals. During the meeting, we have an opportunity to observe water policy of Bangladesh, Bhutan, China, Mongolia, New Zealand and the Philippines and share the views on what needs to be done to move forward by decision makers for the future of water.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decision makers' platform in each region would be ultimately essential point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roles, knowledge to clarify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each stake holders and finally be a major actor for resolving not only water challenges also issues of human settlements.

  • PDF

산업단지 미니클러스터 네트워크 활성화 방법론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Vitalization of the Mini-cluster Network in Industrial Parks)

  • 문문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675-1683
    • /
    • 2011
  • 한국의 클러스터사업은 광역발정정책의 추진과 전국적인 산업단지 연계를 위해 구조적 변화를 추진해 왔다. 정부는 산업단지내로 연구소, 지원기관, 대학을 끌어들이고 밀접한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성장잠재력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미니클러스터는 산학연과 지원기관이 참여하는 통합 협의체로써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각종 지원을 제공하고 산학연 협력을 통한 사업기회를 발전시키는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활동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미니클러스터의 자생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무엇보다 먼저 참여회원들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익한 컨텐츠를 제공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미니클러스터 이니셔티브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협력적 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접경지역의 군 유휴지 활용과 도시재생: 강원도 철원군을 사례로 (Utilization of Military Idle Land in the Border Region and Urban Regeneration: A Case Study of Cheorwon-gun, Gangwon-do)

  • 이나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68-582
    • /
    • 2022
  • 본 연구는 정부의 국방개혁 2.0에 따른 군부대 이전 및 해체로 인한 지역의 문제를 파악하고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접경지역의 군 유휴지 활용에 대한 논의와 도시재생 등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지역발전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군 유휴지의 활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첫째, 민·관·군의 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해 군부대와 지역사회의 상생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접경지역과 군 유휴지 관련 법·제도의 검토 및 개선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접경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접경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지속가능한 유휴지의 효율적 활용과 관리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대도시 신시가지의 지속가능한 개발 대안 모색 -대구시 지산.범물지구를 사례로- (The Alternative Polic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New Town in Metropolitan Area, Korea -The case of Jisan.Bummul, Taegu-)

  • 진원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5-155
    • /
    • 1998
  • 본 연구는 대도시의 지속가능(持續可能)한 개발(開發)을 위한 정책 방안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대구시 지산 범물지구를 사례로 신시가지 개발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실증적(實證的)으로 분석 평가하여, 대도시 신시가지의 지속가능한 개발 대안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目的)이 있다. 대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 방안의 하나로 대도시외 신시가지를 분산적 집중도시의 형태로 개발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시가지 개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9개의 지속가능성(持續可能性) 지표(指標)를 중심으로 지산(池山) 범물신시가지(凡勿新市街地) 개발의 지속가능성을 분석, 평가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 신시가지는 기능적 분산과 아울러 중심도시와 일정거리를 둔 공간적 분산 방안이 동시에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또한 주거기능과 함께 산업기능의 동시분산 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지속가능성 지표들은 각 지표간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적절히 조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자연환경 파괴의 최소화를 위해 고밀도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통학시설자족성을 위해서는 교육여건의 제고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시설의 서비스나 질을 개선하는데 정책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인접한 사업지구는 통합개발계획을 수립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자족시설의 조기 유치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단기간내에 대단위 주택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신시가지 개발은 지양되어야 하며, 대중교통계획을 기초로 한 신시가지의 입지선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지속가능교통을 위한 사이버 압축도시 개발 방안 연구 (Developing Cyber-Compact City Strategies for Sustainable Transportation)

  • 추상호;성현곤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12-12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통행패턴을 제고하기 위해 압축도시개발기법에 정보통신요소를 접목한 새로운 개념의 사이버 압축도시(Cyber-Compact City)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정보통신기술과 도시개발 전략을 통합하는 사이버 압축도시의 개념을 기존 문헌 등을 통해 도출하고, 이를 교통의 지속가능성 제고 측면에서 정립하였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압축도시개발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 해외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에서 추진될 수 있는 전략적 접근방법을세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번째는 대중교통 네트워크와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융합전략으로 국토 및 도시공간구조의 연결체계를 대중교통과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중심으로 재편하는 것이며 철도의 여유공간에 정보통신 인프라를 건설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대중교통 결절점과 정보통신 결절점의 융합전략으로 주요 철도역을 중심으로 지역거점 및 도시거점의 정보통신센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중교통 영향권과 정보통신 영향권을 통합하여 연계체계 및 정보통신기능이 강화된 대중교통지향형 입체복합개발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