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imi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Setting Temperatures and Time on the Gelation Properties (Suwari and Modori Phenomena) of Surimi from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 Lee, Sung Ki;Min, Byung J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2호
    • /
    • pp.1758-1763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el forming and degradation properties (suwari and modori phenomena) of chicken surimi from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MDCM) at various setting temperatures and time. Chicken surimi was manufactured by a continuous process including chopping of MDCM, washing with 5% NaCl solution or pure water, standing, straining and centrifuging etc. Total process of washing for the MDCM from chopping to centrifuging was repeated over 3 cycles. Gel from prepared surimi were formed at $90^{\circ}C$ for 30 min after various setting treatments. The textural properties of gels were measured at the temperature ranges of low (10$^{\circ}C$), medium (25$^{\circ}C$ and $30^{\circ}C$) and high (45 to 70$^{\circ}C$). The compressive force (CF), hardness and fracturability of surimi gel at 10$^{\circ}C$ increased as setting time increased,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at 30 h of setting time. The CF and hardness of chicken surimi gel at 25$^{\circ}C$ and 30$^{\circ}C$ showed the highest values at 10 h of setting time. Most of gel strengths including CF, and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values showed the highest levels in the range 47.5 to 52.5$^{\circ}C$ (p<0.05). The gel strength at 60$^{\circ}C$ increased slightly at 30 min, but then continued to decrease with longer setting times. There was no increase of gel strength at $70^{\circ}C$, but only a continuous decrease over setting time. In conclusion, suwari (gel setting) and modori (gel degradation) phenomena occur during the gel formation of surimi from MDCM. The temperature range in chicken surimi was 47.5 to 52.5$^{\circ}C$ for suwari and 60 to 70$^{\circ}C$ for modori.

김(Pyropia yezoensis) 물 추출 천연 색소의 첨가에 의한 수리미 혼합물의 특성 변화 (Properties of a Fish Surimi Mixture for Using Pigments from Laver Pyropia yezoensis)

  • 박예린;한현수;강유석;박정철;서훈서;최예희;김수형;우가은;이가혜;안동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802-807
    • /
    • 2022
  •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olor values of surimi mixtures with added natural red pigments from laver Pyropia yezoensis. After adding the natural red pigment from seaweed extract to surimi,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surimi decreased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s. The L* color value was lower for the surimi mixture than the negative controls, but the a* and b* color values were higher. After cold storage for 7 days, the unheated surimi mixture showed increased firmness, but decreased adhesiveness. Moreover, the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surimi mixture stored after heating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storage valu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aweed extract pigments may be used as additives for surimi, to increase the color preference, with little effect on the physical properties.

가열 젤 형성능을 가진 오징어 Surimi와 Surimi-based 제품을 위한 첨가물의 최적화 (Formulation of Surimi and Surimi-based Products with Acceptable Gelling Ability from Squid Muscle)

  • 김병균;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7-44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optimum formulation to improve the gelling ability of squid, Dosidicus gigas, surimi. The solubility of minced squid muscle was highest at pH 10.7, and lowest at pH 5.0. The yields of conventional surimi and protein recovery after alkaline pH-shift processing were $68.1{\pm}2.4%$ and $65.3{\pm}2.6%$, respectively, whereas the protein recovery with acidic pH-shift processing was only $21.2{\pm}1.6%$. The addition of 5% starch decreased the breaking force regardless of the kind of starch, while the mixture of corn, potato, and wheat starch (total 15%) increased the breaking force by up to 1.9 fold. The addition of 5% egg white, 5% porcine plasma protein, 0.3% $CaCl_2$, and 0.3% Polymix G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reakingforce (P<0.05). None of the ingredients examined in this study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formation value (P<0.05). The optimum concentrations of egg white and $CaCl_2$ to obtain a breaking force of 55 g and a whiteness of 70 were 2.69% and 0.22%, respectively.

Effects of Carrageenan on the Gelatinization of Salt-Based Surimi Gels

  • Eom, Sung-Hwan;Kim, Jung-Ae;Son, Byoung-Yil;You, Dong Hyun;Han, Jeong Min;Oh, Jung-Hwan;Kim, Bong-Yeun;Kong, Chang-S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143-147
    • /
    • 2013
  • The influence of carrageenan addition on the gelatinization of salt-based surimi gel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compressive properties and Hunter color scale values. Hydrocolloid kappa (${\kappa}$)-carrageenan at 0%, 0.2%, and 1.0% and NaCl (2% w/w), KCl (1.5% w/w), and a mixture of NaCl (2% w/w) and KCl (1.5% w/w), were added to Alaska pollock surimi. Gel compressive properties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breaking force and gel strength. The gelling property of ${\kappa}$-carrageenan-induced surimi g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incorporation of KCl rather than NaCl. The addition of ${\kappa}$-carrageenan increased the breaking force and gel strength of surimi gels. Gels with 1% ${\kappa}$-carrageenan and KCl had the highest breaking force and gel strength. The addition of ${\kappa}$-carrageenan caused an increase in the whiteness values of the surimi gels.

동결 surimi의 품질과 어묵 젤리 강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Frozen Surimi and Jelly Strength of Kamaboko)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3-78
    • /
    • 1992
  • 현재, 동결 surimi의 품질 각정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pH, 수분함량, 백도, 협잡물 및 젤리 강도를 연제품의 원료 단계인 surimi의 품질 판정지표로 사용하기에는 과학성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부적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연제품의 생명인 결착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결 surimi 단백질의 양부의 정도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과학적인 지푤글 모색하기 위하여, 등급별로 분류되어 있는 동결 surimi를 시료로 하여 단백질의 변성 정도를 나타내는 $Ca^{2+}-,\;Mg^{2+}-$ EDTA-APTase 활성, 용해도 및 점도 그리고 신선도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K값과 현재 동결 surimi의 등급별 분류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는 젤리 강도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a^|{2+}-$ATPase 생활과 동결 surimi의 젤리 강도는 깊은 상관 계수를 나타내었으며, 상관 계수(r)는 0.9584였다. 각등급의 생활값은 SA grade $1.184\pm0.12$, FA grade $0.956\pm0.14$, A grade $0.766\pm0.07$, RA grade $0.453\pm0.07$ 및 B grade $0.227\pm0.08({\mu}moles\;Pi/min/mg)$이었다. $Mg^{2+}-$ 및 EDTA-ATPase 활성과 젤리 강도와의 상관 관계는 상관계수(r)가 각각 0.8532, 0.7624로 $Ca^{2+}-$ATPase 생활과 젤리 강도와의 상관 계수에 비하여 낮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용해도는 동결 surimi 각등급간의 젤리 강도와 밀접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상관 계수(r)는 0.9849였다. SA grade에 $93.19\pm5\%$로 가장 높았고 FA grade $84.62\pm4\%,\;A\;grade\;70.63\pm5\%,\;RA\;grade\;41.21\pm4\%$이었고 B grade $32.82\pm4\%$로 각 등급별 품질의 차이를 잘 나타내었다. K-value는 상관 계수(r)가 0.9053으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SA grade $15.67\pm1.4\%,\;FA\;grade\;14.94\pm3\%,\;A\;grade\;28.00\pm55\%,\;RA\;grade\;32.16\pm3\%,\;B\;grade\;48.78\pm5\%$로 등급이 낮을수록 K-value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현재까지의 동결 surimi의 등급별 분류 index로 사용되고 있는 jelly strength, 수분 함량, pH, 백도 및 협잡물에 대신할 원료 surimi 자체의 양부를 결정할 과학적인 지표로서 단백질 변성 정도를 나태는 $Ca^{2+}-$ATPase 활성 및 용해도가 사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게 페이스트 첨가 연제품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urimi Gel with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 Paste)

  • 김혜숙;최승걸;박찬호;한병욱;양수경;강경태;오현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103-1108
    • /
    • 2005
  • 붉은 대게는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으나 생산량이 적고, 감소 추세에 있으며 수율이 낮아 이의 완전 이용이 절실하다 이러한 일면에서 붉은 대게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붉은 대게 페이스트(paste)를 이용한 천연 게살 함유 게 연제품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게 페이스트 첨가비율에 따른 연제품의 일반성분, 색조(명도 및 적색도), 조직감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붉은 대게 페이스트를 이용한 연제품의 제조시 게 페이스트의 최적 첨가비율은 $10\%$정도로 판단되었다. 붉은 대게 페이스트를 $10\%$ 첨가하여 제조한 게 연제품은 무첨가 연제품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의 경우 총 함량 및 주요 아미노산의 종류는 차이가 없었으나, 함황 아미노산의 함량은 높아 게 특유의 향을 인지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또한 붉은 대게 첨가 연제품은 무첨가 연제품에 비하여 무기질의 경우 칼슘이 훨씬 강화됨과 동시에 인과의 비율이 개선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붉은 대게 페이스트로 연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기존의 인공향 및 색소첨가 게맛살과는 판이하게 다르면서 칼슘 강화 건강 기능성 천연 게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감압 알칼리 수세하여 제조한 고등어 Surimi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ckerel Surimi Prepared by Alkaline Washing under Reduced Pressure)

  • 박형선;박상우;양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20-1127
    • /
    • 1998
  • 고등어 surimi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감압수세장치를 설계 제작하고 이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 상압과, 560 및 660 mmHg의 감압 하에서 각각 1, 3, 5 및 7회 알칼리 수세하고 압력 및 수세횟수에 따른 고등어 surimi의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설계 제작한 감압수세장치는 연속수세가 가능하였으며 양질의 surimi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전체의 수세조건을 통하여 surimi의 수분함량은 $72.0{\sim}72.9%$, 조지방 $4.8{\sim}5.7%$ (수세하지 않은 것, 7.0%), pH $6.9{\sim}7.0$ (수세하지 않은 것, 6.0), VBN $6.9{\sim}7.0\;mg/100\;g$ 및 가압드립 $6.7{\sim}8.3%$이었으며, 단백질 추출성은 560 mmHg, 5회 수세 시 염용성, 수용성 및 기질 단백질추출성이 각각 3,694, 6,036 및 1,424 mg/100 g으로써 각각 가장 높았다. $Mg^{2+}-$$Ca^{2+}-ATPase$ 활성은 560 mmHg, 5회 수세 시 각각 0.25 및 $0.17\;{\mu}mol\;Pi/min/mg$ actomyosin으로써 가장 높았다. Setting gel의 TGase 활성은 560 mmHg, 5회 수세 시 3.932 nmol/mg이었으며 gel 강도는 setting gel 및 cooked gel에서 각각 420 g cm (상압, 320 g cm) 및 485 g cm (상압, 412 g cm)로써 각각 가장 높았다. 전반적으로 보아 고등어 surimi 제조를 위한 가장 적합한 수세조건은 760 mmHg, 660 mmHg 및 560 mmHg 압력 중 560 mmHg의 감압 하에서 5회 반복 수세하는 것이었다.

  • PDF

동결성형이 명태(Theragra chalcogramma) 연육스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e Mold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Surimi Snacks)

  • 채지연;정충은;김성희;문소현;김선봉;김영목;윤민석;김진수;이정석;하성권;권수정;양지나;조승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45-451
    • /
    • 2019
  • In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fish snacks using frozen surimi, molding the surimi mixture requires an expensive automated machin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freeze molding without machinery molding in the production of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surimi snacks. At 90 minutes after deep freezing at $-80^{\circ}C$, the cutting ease and shape retention of the surimi mixture were superior. The freezing-molded surimi snack had a higher TVB-N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level (3.59 mg/100 g) than that (1.50 mg/100 g) of the normally molded surimi snack. Freezing did not affect the microstructure of the surimi snack or its hardness, which is an important physical property of snack products. The freezing-molded and normally molded snack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erms of color or appearance, or in any other aspect of the sensory evaluation.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freeze molding does not induce changes in the quality of surimi snacks. Therefore, molding by freezing treatment could be used to produce surimi snacks at small- and mid-sized seafood companies.

RSM을 이용한 비규격 제주산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연제품의 가공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Processing of Surimi Gel from Unmarketable Cultured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using RSM)

  • 신준호;박권현;이지선;김형준;이동호;허민수;전유진;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35-442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processing of high quality surimi gel from unmarketable cultured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According to endogenous enzyme activity and processing optimization, high quality surimi gel from unmarketable cultured bastard halibut was prepared by mixing 3.0% (w/w) salt, 2.4% (w/w) starch, 5.0% (w/w) egg white and 4.8% (w/w) ice water in a Stephan mixer, set at $5^{\circ}C$ for 24 h, followed by boiling for 30 min, and finally cooling for 30 min. The strength of the surimi gel from unmarketable cultured bastard halibut prepared by the above processing method was $1,257\;g{\times}cm$, which was 33% higher than that of a commercial surimi gel from Alaska pollock, grade SA.

겔 강화제를 첨가한 대왕오징어 어묵 개발 및 이의 품질에 대한 Setting의 영향 (Development of Giant Squid (Ommastrephes bartrami) Surimi-based Products with Gel Texture Enhancers and the Effects of Setting on Gel Quality)

  • 최승화;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975-981
    • /
    • 2012
  • 본 연구는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는 명태 등의 백색육 어류를 대체하기 위하여 백색도가 높고 잠재 자원량이 많지만 특유의 비린내가 있고 겔화가 어려운 대왕오징어에 겔 강화제를 첨가하여 품질이 향상되고 비린내를 줄인 대왕오징어 어묵의 개발과 setting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ixture model로 설계한 14개의 실험구에서 konjac flour와 MTGase의 양이 많을수록 gel texture는 크게 향상되었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setting을 적용한 제품의 gel texture가 더 높아 대왕오징어 어묵의 제조에 setting 공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왕오징어육, 수분, konjac flour 및 MTGase의 비율이 각각 45, 40.6, 10 및 0.2%일 때 gel texture가 가장 높아 최적 배합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대왕오징어 어묵은 감자전분을 첨가한 대왕오징어 어묵에 비하여 맛과 향에서 유의적으로 높아(p<0.05) 대왕오징어 특유의 비린맛과 향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되며, 시판 어묵과 맛과 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p<0.05) 산업적으로 백색육 어류를 대체하여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