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gical Management

검색결과 1,847건 처리시간 0.037초

기관지 유암종의 수술 치료와 장기 성적 (Surgical Management and Long-Term Outcome of Bronchial Carcinoids)

  • 정경영;강정한;김길동;최성실;신동환;김세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381-386
    • /
    • 2002
  • 배경 및 목적: 기관지 유암종은 전체 폐암의 약 2%를 차지하며 전형적 유암종과 이형성 유암종으로 나누어진다. 이형성 유암종은, 신경 내분비성 폐암의 범주에서 양끝을 차지하는, 낮은 악성도의 전형적 유암종과 높은 악성도의 소세포 폐암의 중간형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형성 유암종의 수술 범위, 수술 후 전신적인 치료의 필요성에 관해서 상반되는 주장이 있다. 이에 본원에서 수술 받은 기관지 유암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15명의 기관지 유암종 환자가 수술 치료를 받았다. 그중 전형적 유암종이 10명, 이형성 유암종이 5명이었다. 병리학적 진단은 WHO/IASLC(1999)의 기준에 따랐다. 결과: 수술은 전폐 절제술 3예, 폐엽절제술 11예, 구획 절제술 1예였다. 전형적 유암종의 경우 1명(10%)에서 국소 림프절 전이를 보였고, 이형성 유암종의 경우 3명(70%)에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를 나타내었다. 수술 후 원격 전이는 전형적 유암종에서는 1명(10%)이었으나, 이형성 유암종에서는 4명(80%)에서 나타났다(p=0.017). 수술 후 5년 생존율은 전형적 유암종에서는 100%인 반면, 이형성 유암종에서는 2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전형적 유암종의 생존율이 높았다(p=0.0039). 결론: 이형성 유안종의 경우 진단 당시부터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많고 수술 후 생존율도 낮으므로, 비소세포성 폐암에 준하여 폐엽절제술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 후 항암화학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이차성 자연기흉의 치료 (Videothoracoscopic Surgery for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양현웅;정해동;최종범;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7호
    • /
    • pp.692-696
    • /
    • 1998
  • 원인 질환이 동반된 속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개흉술은 수술 전후로 높은 위험율을 동반하나, 비디오 흉강경은 최소의 침습적 수술방법으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자들은 비디오 흉강경술을 이용한 속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36 예(남 33 예, 여 3 예)의 환자에서 임상적 결과로서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의 평균 나이는 56.3세(범위, 31∼80세)였으며, 21 예에서 폐기종, 20 예에서 폐결핵을 동반하였다. 술전 폐기능 검사상 FEV1은 예상치의 59.3%, FVC는 예상치의 64.0%를 보였다. 19 예의 환자에서 술전 3일 이상의 지속적 공기유출을 보였고, 15 예의 환자에서는 한 번 이상의 재발 기왕력을 보였다. 36 예의 전 환자에서 기계적 흉막유착술을 시행하였으며 33예의 환자에서는 폐기포절제술(bullectomy) 및 폐기포배제술(bullous exclusion technique)을 시행하였다. 평균 수술시간은 97분이었다. 7 예에서 심한 유착을 보였으며, 10 예의 환자에서 폐상엽에 경미한 흉막유착을 보였다. 술후 지속적인 공기유출로 개흉술이 필요한 경우는 없었으나 1 예에서 술후 지속된 공기유출과 호흡부전으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술후 평균 입원기간은 7일(범위, 2∼17일)이었다. 술후 평균 15.8개월(범위, 5∼45개월)의 추적기간동안 기흉의 재발은 없었다. 저자들이 시행한 112 예의 원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비디오 흉강경술에 비하여 수술시간 및 치료 실패율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술후 흉강삽관기간 및 입원기간은 더 길었다. 개흉술을 시행하기에 위험한 비교적 고령의 속발성 자연기흉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술은 효과적이고 비교적 안전한 수술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

자폐증 환자에서 함치성 낭종과 연관된 매복치의 처치 (MANAGEMENT OF THE IMPACTED TOOTH ASSOCIATED WITH DENTIGEROUS CYST IN AUTISTIC YOUNG PATIENTS)

  • 김기림;송제선;최병재;김승혜;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28
    • /
    • 2011
  • 자폐증을 진단 받은 16세 남환이 하악 좌측 부위의 낭종 및 매복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해당낭종은 함치성 낭종으 로 최종 진단 되었으며 일일 입원 및 전신 마취 하에 낭종의 적출 및 매복치의 발거와 자가 이식을 시행 후 치근단 형성 술 진행하였다. 2년 6개월 경과 관찰한 현재 주소 증상은 사라지고 재발 성향은 없으나, 치근단 염증 소견 및 발거 부 위 공간 소실 등의 합병증이 관찰된다. 저자는 본 증례를 통 해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함치성 낭종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골 결손이 적고 매복치의 자발적 맹출을 유도할 수 있는 조대술이 추천된다. 2. 매복치의 자발적 맹출 가능성은 매복 깊이, 치축 각도, 환자의 나이, 치근 성숙도 등을 주의 깊게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3. 본 증례의 경우 매복치의 자발적 맹출 가능성이 낮으며 자폐증으로 인한 구강위생 불량, 저조한 협조도 등 을 고려하여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4. 치료 계획 설정 시 일반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자의 의과 적, 전신적 병력에 따른 특별한 요구도 고려해야 한다.

이소매복된 하악 제2소구치의 자가치아이식을 이용한 치험례 (AUTOTRANSPLANTATION OF A MALPOSITIONED MANDIBULAR SECOND PREMOLAR : A CASE REPORT)

  • 정윤주;궁화수;최성철;김광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91-596
    • /
    • 2009
  • 악골내 이소매복된 치아로 인해 유치의 만기잔존, 교합이상과 같은 교정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해결책으로 주기적 관찰, 최소한의 개입, 교정적 견인, 발치, 그리고 환자 자신의 매복치아를 이용하는 자가이식술 등을 들 수 있다. 자가치아이식은 치아를 구강내의 한 위치에서 다른 발치와나 외과적으로 형성된 치조와로 이동시키는 술식으로, 치아가 교정력을 가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거나 치아 이동에 제한이 있어 통상적인 치료가 불가능할 경우에 발거에 앞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다. 자가치아이식은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치근 형성이 완료되지 않은 어린 환자의 경우 이식된 새로운 위치에서 치근 형성이 이루어지며, 새로운 치조골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우측 제2소구치의 매복과 하악 우측 제2유구치의 만기잔존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11세 여아로, 하악 우측 제2소구치의 매복의 깊이가 깊고, 방향이 교정적 견인에 불리하다는 점, 미성숙 치근 발육 상태와, 만기잔존한 유구치로 인해 공간 상실이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자가치아이식을 시행한 뒤, 1년간의 주기적 관찰 결과, 양호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상악 구치부에 발생한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성공적인 보존적 수술 : 증례 보고 (Successful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of Ameloblastic Fibroma in the Posterior Maxilla : A Case Report)

  • 이영은;안효정;이수언;김은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1-327
    • /
    • 2013
  • 법랑모세포섬유종은 드물게 나타나는 진성 혼합 치성 종양으로 10~20대의 어린 환자의 하악에서 호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치료는 종양부위의 제거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종양부의 제거는 보존적 방법과 광범위한 제거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는 아직 논쟁이 되는 사항이며 저자에 따라 주장하는 바가 다르다. 이는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재발률과 악성으로의 전이 가능성 때문이다. 본 증례는 상악 우측 유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4세 환아에서 발생한 법랑모세포섬유종에 대하여 묘사하고 있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을 적출술과 소파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 하였기에 이에 대한 문헌고찰 및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Radiosurgical Techniques and Clinical Outcomes of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Brainstem Arteriovenous Malformations

  • Choi, Hyuk Jai;Choi, Seok Keun;Lim, Young J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2권6호
    • /
    • pp.534-540
    • /
    • 2012
  • Objective : Brainstem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is rare and radiosurgical management is complicated by the sensitivity of the adjacent neurological structures. Complete obliteration of the nidus is not always possible. We describe over 20 years of radiosurgical procedures for brainstem AVMs, focusing on clinical outcomes and radiosurgical techniques. Methods : Between 1992 and 2011, the authors performed gamma knife radiosurgery (GKRS) in 464 cerebral AVMs. Twenty-nine of the 464 patients (6.3%) reviewed had brainstem AVMs. This series included sixteen males and thirteen females with a mean age of 30.7 years (range : 5-71 years). The symptoms that led to diagnoses were as follows : an altered mentality (5 patients, 17.3%), motor weakness (10 patients, 34.5%), cranial nerve symptoms (3 patients, 10.3%), headache (6 patients, 20.7%), dizziness (3 patients, 10.3%), and seizures (2 patients, 6.9%). Two patients had undergone a previous nidus resection, and three patients had undergone a previous embolization. Twenty-four patients underwent only GKRS. With respect to the nidus type and blood flow, the ratio of compact type to diffuse type and high flow to low flow were 17 : 12 and 16 : 13, respectively. In this series, 24 patients (82.8%) had a prior hemorrhage. The mean target volume was 1.7 $cm^3$ (range 0.1-11.3 $cm^3$). The mean maximal and marginal radiation doses were 38.5 Gy (range 28.6-43.6 Gy) and 23.4 Gy (range 18-27 Gy), and the mean isodose profile was 61.3% (range 50-70%). Results : Twenty-four patients had brainstem AVMs and were followed for more than 3 years. Obliteration of the AVMs was eventually documented in 17 patients (70.8%) over a mean follow-up period of 77.5 months (range 36-216 months). With respect to nidus type and blood flow, the obliteration rate of compact types (75%) was higher than that of diffuse types (66.7%), and the obliteration rate of low flow AVMs (76.9%) was higher than that of high flow AVMs (63.6%) (p<0.05). Two patients (6.9%) with three hemorrhagic events suffered a hemorrhage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annual bleeding rate of AVM after GKRS was 1.95% per year. No adverse radiation effects or delayed cystic formations were found. Conclusion : GKRS has an important clinical role in treatment of brainstem AVMs, which carry excessive surgical risks. Angiographic features and radiosurgical techniques using a lower maximal dose with higher isodose profiles are important for lesion obliteration and the avoidance of complications.

구강내 외과적 창상 치유에서 0.2% hyaluronic acid gel의 유효성에 대한 이중 맹검 연구 (APPLICATION OF 0.2% HYALURONIC ACID GEL IN ORAL SURGICAL WOUND : A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 김재윤;이진용;배광학;이종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2호
    • /
    • pp.157-165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topical 0.2% hyaluronic acid (HA) preparation in the management of wound after removal of arch bar for facial bone fracture and a suture site after orthognatic, oral cancer or oral surgery. Forty patients participated in a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double-blind trial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topical HA and preparation. HA topically applied to the wound after removal of arch bar or stitch out, 3 times a day for 4 weeks. Evaluation is performed once a week for 4 weeks. For subjective evaluation, relative pain reduction in visual analog scale (VAS) and existence of heat sensation was accessed. For objective evaluation, gross evaluation, papilla index, existence of wound dehiscence, redness and swelling was checked. The same evaluation was performed in each arch bar group and suture group. For whole subject, 0.2% HA group resulted higher reduction than placebo group in pain of site in first week with significancy. Same findings were seen other weeks but there was no significancy. 0.2% HA group had better result than placebo in objective evaluation (papilla index, wound dehiscence, redness and swelling), but in gross evaluation placebo had better result than 0.2% HA group with no significancy. Subject was divided into suture group and arch bar group. Same aspect was seen, but only suture group had significancy not arch bar group in pain reduction score. 0.2% HA group resulted higher reduction than placebo group in pain of site in first week with significancy, especially in suture group. It reveals topical application of HA in wound especially suture site reduced pain in early stage. And 0.2% HA group had better result than placebo in papilla index, redness and swelling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y. In conclusion, HA has effect of pain reduction and healing promotion in the mucosal wound after oral surgery.

Clinical Experience of the Klippel-Trenaunay Syndrome

  • Sung, Hyung Min;Chung, Ho Yun;Lee, Seok Jong;Lee, Jong Min;Huh, Seung;Lee, Jeong Woo;Choi, Kang Young;Yang, Jung Dug;Cho, Byung Cha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552-558
    • /
    • 2015
  • Background The Klippel-Trenaunay syndrome (KTS) is characterized by three clinical features, namely cutaneous capillary malformations, venous malformations, and soft tissue and/or bony hypertrophy of the extremities. The varied manifestations are attributed to the unpredictable clinical nature and prognosis of the syndrome. To elucid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is disease, we reviewed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KTS patients who presented to our vascular anomalies center.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with 1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KTS and treated in our vascular anomalies clinic between 2003 and 2014, and examine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ir clinical features, and the treatments administered. Results The sex distribution was balanced, with 9 (47%) males and 10 (53%) femal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1 years (range, 7 months-9 years). Most of the patients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s such as medication or physiotherapy. Compression therapies such as wearing of elastic garments/bandages were also administered, and surgical interventions were considered only when the patients became excessively symptomatic. Other treatments included laser therapy and sclerotherapy, and all the treatments were adjusted according to each case, tailored to the conditions of the individual patients. Conclusions KTS is an extremely rare, multifactorial disorder that induces widely varied symptoms. Because of this unique feature, plastic surgeons, when not careful, tend to attach a one-sided importance to typical symptoms such as limb hypertrophy or capillary malformation and thus overlook other symptoms and clinical features. KTS can be suspected in all infants who show capillary malformations or limb hypertrophy and requir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comprehensive management.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불안정성의 관절경적 재건술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Bony Defect in Shoulder Instability)

  • 김양수;옥지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17-124
    • /
    • 2011
  • 목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여러 가지 치료 방법 중 관절경적 재건술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대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치료에 있어 관절경적 복원술의 임상결과 향상으로 개방적 수술보다 관절경적 수술을 더욱 선호하게 되었고 점차 표준 치료법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관절와의 골 결손이 있는 경우 골 결손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며 관절경적 복원술의 방법 또한 지속적 발전과 함께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결과: 골 결손의 관절경적 재건술 중 방카르트 병변의 이열 봉합술은 일열 봉합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견고한 고정과 해부학적 복원을 위해 최근에 소개되었으나 앞으로 많은 증례와 장기간 추시를 통해 그 결과가 입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관절경을 이용한 오구돌기 이전술, 즉 Bristow-Latarjet 술식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결론: 전방 불안정성 환자의 관절경적 치료 방법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술 전 환자의 골 결손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치료와 연관된 술 중, 술 후 요소들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일개 응급센터에 내원한 외상성 혈관손상 환자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reated in an Emergency Center for Vascular Trauma)

  • 박용면;염석란;정진우;한상균;조석주;류지호;김용인;정성운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1호
    • /
    • pp.5-11
    • /
    • 2009
  • Purpose: The mortality and the amputation rates due to vascular trauma remain high despite advanced vascular surgical techniques and supportive management.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vascular trauma have not been well studied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vascular trauma and to develop a database an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outcomes of treatment.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37 patients with traumatic vascular injuries who had visited in an emergency center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06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he mean age was 37.8 years, and the male-to-female ratio was 5.2 : 1. The mechanism of vascular trauma was penetrating in 18 patients and blunt in 19 patients. Upper extremities were most frequently injured (39.4%). The treatment methods were primary repair in 21 patients, exploratory laparotomies in 7, radiological interventions in 3, resections and graft interpositions of the pseudoaneurysm in 3, observations in 3 and a bypass graft in 1. Four out of the 37 patients died, and three of these who died had injuried abdominal vessels. Twenty-five of the patients recovered completely, four expired, seven had neuropathy in the course of treatement, one had his limb amputated, and one experienced wound necrosis. Conclusion: Peripheral vessel injuries are commonly accompanied by nerve, muscle, or tendon injuries. Patients without associated fractures or compartment syndrome had good prognosis. Although the time intervals from hospital arrival to definite treatment were the shortest among patients with blunt abdominal vascular injuries, three expired. Therefore, we offer a 'ritical pathway'to improve the outcomes of patients with blunt abdominal vascular inj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