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vegetation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28초

호안 Mattress/Filter에 의한 소류력 저감 (Reduction of Tractive Force by Revetment Mattress/Filter)

  • 서영민;이승윤;허창환;지홍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3-43
    • /
    • 2006
  • Revetment Mattress/Filter is the porous structure filled fillers in meshed structure so that it cail use the fillers of various sizes and form various pores. The porous structure of the Mattress/Filter increases drainage so that it decreases the energy and erosion of flow therefore the tractive force is decreased and the erosion of revetment is mitigated. The filler of Mattress/Filter uses gravels, waste concretes and slags so that the surface is rough and the roughness coefficient increases and the increase of the roughness coefficient decreases flow velocity and tractive force. On the other hand Mattress/Filter and vegetation are combined so that the increase of roughness coefficient and flow velocity still more progress therefore the effect of decrease of tractive force is increased after a few months have passed since the Mattress/Filter is constructed so that the vegetation is developed and be stabilized. The vegetation channel of Mattress/Filter is set tip and the inspection comes into operation by varing flowrate and vegetation spacing to examine these characters of the Mattress/Filter The coefficient of flow velocity U/U*' is decreased exponentially as vegetation esity aH' or $\lambda$ is increased an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f is increased as vegetation desity aH' is increased but decreased as the coefficient of flow velocity U/U*' is increased. The effective tractive force $F_0$ is decreased exponentially as the vegetation desity aH' is increased. From the inspection the results are obtained that the porou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evetment Mattress/Filter system increas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revetment so that flow velocity and effective are decreased therefore greatly contributes the stability of the revetment.

대규모 해안매립에 따른 기상장 변동의 수치해석 (A Numerical Analysis of Regional Atmospheric Circulation with Large Scale Reclamation of Coastal Region)

  • 이성대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6-54
    • /
    • 2000
  • Three 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that included the land-use transformation by the large scale reclamation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esoscale air flow over the coastal regions. In this pape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inland was determined through the surface heat budget consideration with inclusion of a layer of vegetation. The vertical diffusion coefficients of momentum, heat and specific humidity in the constant flux layer were taken from the Mellor and Yamada(1975). It has shown that the resulting model is able to reproduce the air circulation in coastal regions, and the simulated characteristics agree with the known properties of this circulation. A series of numerical experiments were th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urnal response of the air flow to various types of surface inhomogeneities.

  • PDF

식생의 영향을 고려한 울산지역의 중규모 지역기상장에 관한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Meso-Scale Circulation with Inclusion of a Layer of Vegetation over Ulsan Area)

  • 이성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19-129
    • /
    • 1997
  • 울산지역의 해륙풍장을 해석하기 위해 3차원 중규모 지역기상 수치모형을 개발하여 흐름장의 변동을 수치해석하였다. 식생의 영향을 고려한 지표면 열수지모형을 이용하여 지표면의 온도 및 습도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접지층에서의 연직방향 확산계수는 Businger의 모형을, Eckman층에서는 Yamada의 난류 closure모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울산지역의 해륙풍장의 거동특성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본 모형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광해복원 경사지 밭의 토양유실 평가를 위한 현장실험 - 화학적 성질과 경사도 조건에서 - (A Pilot Experiments for Evaluation of Cover Soil Loss from Inclined Upland around Remediated Abandoned Mine Site - The Condi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nclination -)

  • 윤성욱;강희천;권요셉;고일하;정문호;유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4권2호
    • /
    • pp.37-45
    • /
    • 2022
  • In-situ pilot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countermeasure on the soil loss from the hill side uplands that was rehabilitated by soil remediation method nearby abandoned mine sites for 2 years. It was considered that the affect of an inclination of cover surface, a stabilization treatment of cover layer by lime and steel refining slag (SRS) and a vegetation of soil surface as an effect factors in the experiment. It was constructed 4 lysimeters (plots, 22 m long, 4 m width) on the hilly side (37% inclination). One plot was control and two plots was treated by 1% lime and SRS. A remind one plot was modified a inclination to 27% to compare the affect of inclination on the amount of cover soil loss. It was attached a reservior tank and water level gauge in the end of lysimeters to measure the amount of the surface water flow and soil loss. It was also installed the automated sensors that could be collect the precipitation, soil moisture content, tension of cover layer in each plots. It was observed that the event of precipitation were caused the soil loss and it were relat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ver soil and inclination of surface layer of plots. During the experiment, it was exceeded the national regulation (50 t/ha/yr) in 37% inclination plots even though it was vegetated on the cover soil surface. However, in 27% inclination plot, it was shown that the amount of soil loss was maintained below the national regulation and, more ever, vegetation could reduce the the amount of soil loss.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such results could be applied to the future design of rehabilitation projects on the polluted farmland nearby abandoned mine sites.

NDVI와 기온자료를 이용한 광역증발산량의 추정 (Estimation of Areal Evapotranspiration Using NDVI and Temperature Data)

  • 신사철;안태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9-89
    • /
    • 2004
  • 원격탐사 기법은 식생 및 토지이용과 같은 지형조건과 관련된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지표면에서 발생되는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인자는 기온, 습도, 바람, 일사량 및 토양조건 둥 매우 복잡하게 구성된다. 식생은 그 지점의 증발산량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복잡한 인자는 식생의 성장조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결국 증발산량과 식생조건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성립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비교적 넓은 지점에 대한 식생상태를 파악을 위해서는 NOAA/AVHRR 자료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식생지수(NDVI)를 이용함으로서 증발산량과 NDVI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를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NDVI와 기상자료를 조합하는 간편한 방법에 의한 실제증발산량 산정방법을 제안한다.

  • PDF

Vegetation history around Yongneup moor at Mt. Daeamsan, Korea

  • Jang, Byeong-O;Kang, Sang-Joon;Choi, Kee-R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3호
    • /
    • pp.259-267
    • /
    • 2011
  • A pollen analytical study of sediment sequences collected from Yongneup moor (sampling point: $38^{\circ}$12'57.4" N, $120^{\circ}$7'30.2" E)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vegetation history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Carbon dating was carried out to measure five successive samples obtained from the bottom at a depth of 180 cm to the surface. The Yongneup moor sediment revealed four main local pollen zones; that is, four past vegetation phases as follows: Local pollen zone I: Quercus-Pinus zone; estimated age, 5,900-4,800 calibrated years (cal) before present (BP); vegetation type, cool-temperate central/montan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Local pollen zone II: Pinus-Abies-Quercus zone; estimated age, 4,800-3,400 cal BP; vegetation type, cool-temperate northern/alti-montane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Local pollen zone III: Quercus-Pinus-Abies zone; estimated age, 3,400-400 cal BP; vegetation type: cool-temperate central/montan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Local pollen zone IV: Pinus-Quercus zone; estimated age, 400-present cal BP; vegetation type, cool-temperate central/montane mixed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ous forest. It was confirmed that subalpine coniferous forests had expanded to the mountainous region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from 4,800-3,400 cal BP and thereafter deciduous forests dominated by Q. mongolica were established. Notably, secondary forests dominated by P. densiflora develop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untainous region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about 400 cal BP due to human interference.

인공위성 원격 감지 자료를 활용한 산림지역의 생태학적 가뭄 가능성에 대한 확률론적 평가 (Probabilistic evaluation of ecological drought in forest areas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 원정은;서지유;강신욱;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9호
    • /
    • pp.705-71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위성 원격 감지 자료를 사용하여 생태학적 가뭄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MODIS에서 제공하는 정규식생지수와 지표면온도로 부터 식생건강성지수를 추정하였다. 그런 다음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기상청 ASOS 주요 60개 지점 주변의 산림지역에서 다양한 강수/증발산 시나리오에 따른 식생 관련 가뭄의 가능성을 추정하기 위한 결합 확률모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기의 수분공급이 열악하거나 대기의 수분 요구량이 과도한 조건에서 산림 식생과 관련된 가뭄의 위험 패턴을 보여준다. 또한 다양한 기상학적 가뭄 조건에서 산림 식생과 관련된 가뭄 위험의 민감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사 결정권자가 가뭄 위험을 평가하고 온난화 시대에 산림 식생과 관련된 가뭄 완화 전략을 개발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반도 지역 산불 발생 위험도 예측에 TVDI 적용 가능성 고찰 (A Feasibilit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VDI on Accessing Wildfire Danger in the Korean Peninsula)

  • 김광년;김승희;원명수;장근창;최원준;이윤곤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3호
    • /
    • pp.1197-1208
    • /
    • 2019
  • 산림지역에서의 관측은 평지에서의 관측에 비해 지상관측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지고, 위성 관측자료는 지상의 지점기반 관측자료에 비해 높은 공간 해상도를 가진다. 이러한 이점을 이용하여 위성 관측자료는 산불발생 위험도를 추정하는 연구에 활용되어왔다. 위성 관측자료를 사용하는 여러 산불 관련 지수 중 TVDI(Temperature Vegetation Dryness Index)는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와 지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를 기반으로 산불발생 위험도를 평가한다. TVDI가 기상과 식생의 건조도를 모두 고려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선행 연구에 따르면 TVDI는 여러 산불 관련 지수들에 비하여 한반도에서의 산불발생에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TVDI의 산불발생 위험도 표현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 여러가지 개선방법을 적용하였다. 지상에서 측정한 기온을 적용하여 TVDI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월별로 최대, 최소 온도 회귀선을 구하여 TVDI에 계절효과를 적용하고자 했으며, 각 지역별로 TVDI를 계산하여 식생 유형 및 지역 기후를 고려하였다. 개선된 TVDI는 선정된 산불사례들을 통해 평가되었으며 산불발생 위험도 측면에서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식생여과대내 침투능력 향상에 따른 오염물질 저감효과에 대한 실험 (Experiment for Reduction Effectiveness of Pollutants with the Improvement of Infiltration Ability in Vegetation Filter Strip)

  • 이영아;최이송;오종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183-19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식생여과대에 있어서 토양층의 역할에 주목하였으며, 토양 침투량이 증가될 수 있는 구조로 토양층을 변형하여 일반적인 식생여과대에서의 오염저감효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최종 목적은 토양층 변화를 통한 식생여과대의 수질개선효과를 일반적인 토양층으로 구성된 식생여과대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식생여과대를 조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분석 결과, 토양층 변화를 접목시킨 식생여과대는 일반 식생여과대에 비해 표면유출에서 높은 오염물질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표면유출수 일부가 정류벽을 통과한 후 재상승하여 표면으로 유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계단형에서의 하부유출수의 경우, 입경이 큰 모래와 자갈을 통과하여 유출이 일어나기 때문에 직선형 식생여과대보다 오염저감효율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를 오염물질 유출부하량의 개념으로 파악해 보면, 하부유출량이 전체 유출유량에 대한 기여도가 계단형(4%)에서 직선형(2%)보다 높기 때문에 계단형에서의 오염물질 저감부하량이 직선형에 비하여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류벽과 표면층 변화를 통해 침투량을 증가시킨 식생여과대는 일반적인 식생여과대보다 저감효과가 크고 식생여과대 적용에 필요한 여러 조건(토양의 침투성, 여과대의 넓이 및 길이, 유속 등)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저감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복셀화에 의한 식생의 물리적 구조 재구현 (Reconfiguration of Physical Structure of Vegetation by Voxelization Based on 3D Point Clouds)

  • 안명희;장은경;배인혁;지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6호
    • /
    • pp.571-581
    • /
    • 2020
  • 하천에 광범위하게 활착되는 식생은 수위 변화 및 흐름 저항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하천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이다. 따라서 유입되는 식생의 형태와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이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지상 레이저 스캐닝 등을 활용하여 대용량의 식생 정보를 취득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식생의 복잡한 형상으로 인해 캐노피 영역의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우며, 자연적인 영향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상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수집된 고해상도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복셀 형식으로 재구현하여 식생의 물리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잎이 없는 단순한 형태, 잎이 있는 완전한 형태의 식생 및 패치 규모 식생 조건으로 설정하여 각각의 물리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측정된 데이터의 이상치 제거 및 불필요한 데이터의 필터링을 위해 통계적 이상치 제거 방법을 활용하여 각각 17 %, 26 %, 25 %의 포인트를 제거하였다. 또한 후처리 된 포인트 클라우드로부터 복셀 크기별 식생 형상을 재구현하여 실제 식생의 부피와 비교하였으며, 분석 결과, 오차 범위는 각 조건별로 8 %, 25 %, 63 %로 나타났다. 대상 샘플의 규모가 클수록 더 큰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복셀 크기 조정 시 식생의 표면이 시각적으로 비슷하게 보이지만 전체 식생의 부피는 이러한 변화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