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appearance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24초

발효원과 발효온도가 보리상외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rmentation agent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Bori-sangoedduk)

  • 곽은정;박상희;김지상;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98호
    • /
    • pp.173-179
    • /
    • 2007
  • The effects of fermentation agent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Bori-sangoedduk We examined the effects of fermentation agent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ri-sangoedduk a traditional dduk(rice cake) from Jeju, Korea. Bori-sangoedduk was prepared by mixing wheat flour, barely flour, and Borisul or Takju as the fermentation agent the mixture was then fermented at 30, 35, and $40^{\circ}$C. for 3 hr, and steamed. The L- value of the Takju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orisul group, and the samples fermented at $30^{\circ}$C in each group had higher than L-values than those fermented at $35^{\circ}$C and $40^{\circ}$C . The a- and b-valu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y the fermentation agents and fermentation temperatures. The loaf volume of the Borisu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akju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fermentation temperature. The values of hard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lower in the Borisul group than in the Takju group due to a greater number of pores and surface cracks. Hard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values were highest at fermentation temperatures of 30, 35, and $40^{\circ}$C , respectively, in both groups, compared to samples at other temperatures. In the acceptance test, the Takju group was preferred over the Borisul group for appearance, texture,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ferences in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for samples fermented at $40^{\circ}$C , in both groups, compared to those fermented at $30^{\circ}$C and $35^{\circ}$C. In the descriptive t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lor according to fermentation agent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however, the Takju group was shinier than the Borisul group. In addition, the Takju group was harder and springier than the Borisul group, and had less sour taste and flavor than the Borisul group. Finally, in terms of overall preference, we found that Bori-sangoedduk made with Takju and fermented at $40^{\circ}$C for 3 hr was the best formula, due particularly to its taste and flavor.

Print Mottle : Causes and Solutions from Paper Coating Industry Perspective

  • Lee, Hak-Lae
    • 펄프종이기술
    • /
    • 제40권5호
    • /
    • pp.60-69
    • /
    • 2008
  • The principal reasons for applying a pigment coating to paper are to improve appearance and printability. The pigment coating provides a surface that is more uniform and more receptive to printing ink than are the uncoated fibers and, in turn, both facilitates the printing process and enhances the graphic reproduction. The improvement in print quality is readily apparent, especially in image areas or when multiple colors are involved. Although pigment coating of paper is to improve the printability, coated paper is not completely free from printing defects. Actually there are a number printing defects that are observed only with the coated papers. Among the printing defects that are commonly observed for coated papers, print mottle during multi-color offset printing is one of the most concerned defects, and it appears not only on solid tone area but also half dot print area. There are four main causes of print mottle ranging from printing inks, dampening solution, paper, and printing press or its operation. These indicates that almost every factors associated with lithographic printing can cause print mottle. Among these variation of paper quality influences most significantly on print mottle problems in multicolor offset printing, and this indicates that paper is most often to be blamed for its product deficiency as far as print mottle problems are concerned. Furthermore, most of the print mottle problems associated with paper is observed when coated papers are printed. Uncoated papers rarely show mottling problems. This indicates that print mottle is the most serious quality problems of coated paper products. Overcoming the print mottle is becoming more difficult because the operating speeds of coating and printing machines are increasing, coating weights are decreasing, and the demands on high-quality printing are increasing. Print mottle in offset printing is caused by (a) nonuniform back trap of ink caused by a nonuniform rate of ink drying, referred as "back trap mottle, and (b) nonuniform absorption of the dampening solution. Furthermore, both forms of print mottle have some relationship to the structure of the coated layer. The surest way of eliminating ink mottling is to eliminate unevenness in the base paper. Coating solutions, often easier to put into practice, should, however, be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principal factors influencing print mottle of coated papers will be discussed.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base paper roughness, binder migration, even consolidation of coating layers, control of the drying rate, types of binders, etc. will be described.

세종 합강리 유적 출토 고대 유리구슬의 특성 연구 (A Characteristics on the Ancient Glass Beads Excavated from the Site of Hapgang-ri in Sejong, Korea)

  • 김은아;김규호;강지원;윤천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05-420
    • /
    • 2020
  • 본 연구는 세종 합강리 유적을 중심으로 발굴 유적과 유물을 조사한 고고학적 접근과 주구토광묘 15호에서 유일하게 출토된 유리구슬의 표면, 단면, 조성 특성을 분석한 보존과학적 접근으로 구분하여 융합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묘의 형태와 출토유물을 통한 고고학적 연구에서 합강리 유적은 주구토광묘의 등장 시기가 2세기 후엽부터이고 유리구슬이 출토된 주구토광묘 15호 편년은 2세기 후엽~3세기 초엽으로 추정할 수 있다. 유리구슬 완형은 형태, 색상 및 제작기법을 파악하고 유리구슬편 16점은 단면관찰과 화학 조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청색 계통은 감청색과 자색으로, 적색 계통은 적갈색으로 구분되며 세부 색상에서 청색 계통은 광택과 명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하나 적색 계통은 균일도가 높게 나타난다. 제작기법은 표면의 줄무늬와 기포배열에서 늘인기법으로 확인되며 구슬 양 끝부분에서 열처리나 연마 흔적도 관찰된다. 유리구슬 편 16점의 화학 조성은 포타쉬유리군 3점과 소다유리군 13점으로 분류된다. 소다유리군 13점에 대한 안정제 특성은 청색과 적색 계통에 따라 구분된다. 이중에서 적색 계통의 안정제 특성은 지금까지 다른 지역에서 확인된 적갈색 유리구슬과 다른 조성으로 구분되는 점이 특이하다. 착색제는 청색 계통이 MnO 성분을 함유한 코발트(Co), 그리고 적색 계통은 구리(Cu)와 철(Fe)이다.

Freeze - Flow Process 를 이용한 농축우유의 저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servation of Concentrated Milk by Freeze - Flow Process)

  • 이영춘;신동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0-505
    • /
    • 1985
  • 농축우유에 냉동보호물질을 첨가하여 $-15^{\circ}C$에서 비동결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15^{\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중 품질변화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축우유를 $-15^{\circ}C$에서 비동결 상태로 저장하는데 적합한 복합냉동보호물질은 설탕 17.74%, glucose, 8.87% fructose 8.87%, glycerol 2%, HMP 0.25%, NaCl 0.25%, ascorbic acid 0.02%로 구성되었으며, 고형분 38%인 농축우유에 냉동보호물질 38%를 첨가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저장중의 품질변화중 관능적 품질과 이용성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은 단백질 변성에 의한 gel화현상 이었다. Gel화현상은 대조구에서 3주저장 후부터 발생하였으나 냉동보호물질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전 저장기간동안 발생하지 않았다. 우유 단백질의 저장중 변성현상을 뒷받침하는 단백질 침전량을 조사한 결과 control에서 3주 후부터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처리구에서는 저장기간동안 나타나지 않아TEk. 저장중 농축우유의 색깔변화나 과산화물가의 변화는 경미했으며, 대조구과 처리구간에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농축우유에 냉동보호물질을 첨가하여 냉동저장온도에서 비동결상태로 저장하면 통상적인 냉동저장방법과 같은 품질보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통 냉동저장시에 발생하는 우유단백질의 변성에서 오는 gel화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저장 후 제품의 품질과 이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었다.

  • PDF

참깨종자의 과위화 재료에 따른 발아 및 물리적 특성 (Germin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lleted Sesame Seed with Different Materials)

  • 오명규;김종태;유숙종;고종철;박문수;이중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97-502
    • /
    • 1997
  • 종자가 작아 솎음작업이 불편한 참깨 종자를 과립화하여 솎음작업 노력을 절감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과립화 방법은 종자+과립화 물질(제올라이트, 피트, 활성탄소) + 알진산용액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든 후 플라스틱 병에 담아 4mm 배출구를 만들어 조금씩 배출 CaCl$_2$용액에 떨어뜨려 과립을 만들었다. 각 재료별 과립종자의 특성 및 발아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ellet당 1~3개의 종자를 목표로 할 때 증량제 1$\ell$당 87g의 종자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2. 과립종자의 경도 및 줄뿌림 파종시 파괴율은 과립화 물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재료별로 zeolite의 경도가 강했고, 파괴율도 2% 낮았다. 3. 과립종자의 수분 흡수율은 재료별로 피트 + 활성탄소 > 피트 > 활성탄소 > 제올라이트 순으로 낮았다. 4. 활성탄소를 재료로한 과립종자의 발아율은 95%로 무처리 (일반종자) 98%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경도가 크고 충격에도 안정적일 뿐 아니라 맥류세조파기의 파종 롤러에 의한 파괴도 적어 공시재료 중 가장 유망시 되었다. 5. 복토 정도에 따른 발아율은 과립종자가 지면에서 1/4 보이게 파종시 pelleting재료에 따라 80~92% 였으며, 이중 활성탄소가 가장 좋았다.

  • PDF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오리의 도체중량 분포 및 도체품질 현황 (Current State of Carcass Weight Distribution and External Quality from Domestic Product Duck)

  • 강근호;채현석;박범영;조수현;성필남;정석근;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6-272
    • /
    • 2011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오리의 도체중량 및 도체품질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총 419,164수의 오리 도체중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 2,164.4 g, 최빈값은 2,000 g, 중위수는 2,200 g 및 사분위 범위는 300 g이었다. 오리 생체중량 구간별 도체수율은 평균 70.1% 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도체의 외모 불량률은 28.4%, 외관손상 발생률은 4.8%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색 발생률은 34.1% 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다리살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오리 도체표면의 잔모제거 불량률은 평균 44% 수준으로 도체중량 2.15 kg 미만일 때 전체 불량률의 약 8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리 생체중량으로 환산할 경우 약 3 kg 내외가 된다. 오리 도체의 탈골(골절) 발생률은 평균 9.91% 수준으로 대부분 날개 부위와 다리 부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 가슴살의 지방함량은 도체중량 2.3 kg 구간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오리 생체중량으로 환산할 경우 약 3.28 kg 내외가 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리의 출하체중은 최소 3 kg 이상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찰옥수수 산화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xidized Waxy Maize Starches with Sodium Hypochlorite)

  • 정만곤;전영승;이서구;박종문;임번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2-48
    • /
    • 1998
  • 찰옥수수 전분을 차아염소산 나트륨$(0{\sim}60{\;}mg/s{\;}starch)$과 반응시켜 제조한 찰옥수수 산화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및 유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찰옥수수 산화전분의 일반성분 중 조지방질 및 조단백질 함량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처리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여 조단백질 함량과 백색도와 부의 상관관계$(R^2=0.9847)$를 나타내었고 조회분 함량은 증가하여 염소 함량과정의 상관관계$(R^2=0.9693)$를 나타내었다. 산화전분의 카르복시기 함량은 활성염소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호화액의 점도는 차아염소산 나트륨 처리량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고, 용해도와 팽윤력은 산화도가 높을 수록 증가하었으며, 광투과도는 치환도가 증가할 수록 낮은 온도에서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어 화화개시온도가 약 $15^{\circ}C$낮아졌고, 호화액의 투명도 또한 개선되었다. 물결합능력은 치환도가 증가할 수록 생성된 카르복시기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찰옥수수 전분의 입자는 다각형과 원형의 혼합물로 크기는 $3.7{\sim}20\;{\mu}m$였으며, 차아염소산 나트륨 처리량이 증가할 수록 전분 표면이 거칠어졌다. 찰옥수수 산화전분과 옥배유를 균질화하여 저장하는 동안 유화액은 산화전분의 치환도가 높을 수록 전분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유화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 PDF

건포도 천연 발효액과 Sourdough를 이용한 호밀 혼합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ye Mixed Bread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and Sourdough)

  • 김문용;전순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7-94
    • /
    • 2008
  • In this study, a nanatural fermentation starter formulation was developed for manufacturing bread products by substituting baker's yeast with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and sourdough. Four experimental groups containing 2.5, 5.0, 7.5, 10%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per 2,000 g of flour were compared based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fermentation power on dough expansion, specific volume, baking loss, water activity,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surface appearance. The activities of the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were examined in terms of pH changes, total titratable acidity, brix, and viable yeast counts. The raisin extract, which was cultured for 7 days at 30$^{\circ}C$, smelled of alcohol and produced $CO_2$. Yeast were also found in the extract after separation. As the incubation time of the raisin extract and sourdough increased, pH decreased, while total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The brix of the raisin extract increased until the $2^{nd}$ day of fermentation, and viable yeast counts increased until the $5^{th}$ day however, these gradually decreased by the $7^{th}$ day. The fermenting power on dough expansion increased in the bread with increasing incubation time. The bread samples containing 7.5% and 10% raisin extract had significantly higher specific volumes than the other samples. Baking loss was minimal with the 2.5% extract substitution. In analyzing the crumb, water activity, redness, and yellowness were highest in the 10.0% raisin extract bread samples, and lightness was maximal in the 5.0% group. In terms of textural characteristics, hardness was lowest with the 2.5% extract substitution. Gummi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bread samples. Cohesiveness was highest at the 7.5% extract substitution level, and resilience was lowest at the 10% level.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 natural fermentation starter formulated with 2.5%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1 part raisins and 1.5 parts water) and 70% sourdough (1 part rye flour and 1 part water) has high potential as a baker's yeast substitute for making naturally fermented bread.

  • PDF

개의 구토물에서 분리한 오디흑연가시(철선충)의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해부학적 소견 (Anatomical Study of Chordodes koreensis in the Parasitic Phase Using Electron Microscopy)

  • 손화영;채준석;김남수;김현철;조정곤;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86-590
    • /
    • 2009
  • 철선충은 주로 사마귀와 같은 곤충에 기생하는 선충류로 사람이나 동물은 우연히 감염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철선충의 생활사는 크게 곤충에 기생하는 기생생활기, 그리고 발육이 완료된 후에 숙주를 죽이고 외계로 나와 자유생활을 하는 자유생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의 구토물에서 오디흑연가시 수컷을 발견하여 이의 횡단면을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전자현미경하에서 표피는 4층(epicuticle, cuticle, epidermis, muscle)으로 이루어졌고, 내강에는 장, 배신경절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고환은 발견되지 않았다. 표피의 최상층에서 여러 형태의 areoles이 관찰되었으며, cuticle은 17열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었다. Epidermis는 1열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muscle층은 여러 개의 근세포가 종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내강에 배신경절이 충체의 정중앙 배측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본 철선충은 기생생활기를 끝내지 못한 미성숙충으로 판단된다.

방사선 조사가 PSE 돈육의 냉장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Pale, Soft, Exudative (PSE) Pork During Storage at 4℃)

  • 장애라;류현덕;조철훈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1호
    • /
    • pp.67-75
    • /
    • 2007
  • 방사선 조사가 PSE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문 육류등급사에 의해 외관적으로 확인된 PSE 돈육 등심을 4.5 kGy로 감마선 조사 후 pH, 육색, 지방산화, 미생물 및 관능적 품질을 2주간 냉장저장하면서 측정하였다. pH는 4.5 kGy의 방사선 조사에 의해 영향 받지 않았으나 육색 중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방사선 조사된 등심근에서 저장기간 전체를 통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방사선 조사 4.5 kGy는 비조사구(0 kGy)와 비교하여 2주간 냉장저장기간 중 약 2 log의 총균수 감소효과를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적색도 증가에 따른 방사선 조사 돈육등심의 선호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육 방사선 조사기술은 미생물학적 안전성뿐만 아니라 PSE 돈육의 육색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