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ort for Independent Living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6초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성숙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일시청소년쉼터 이용청소년을 중심으로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 Focusing on Using Youths for Drop in Center)

  • 김은녕;서보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97-207
    • /
    • 2018
  • 본 연구는 일시청소년쉼터 이용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성숙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 중 친구 지지가 실무자 지지보다 자립준비에 좀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진로태도성숙은 자립준비의 하위변인 모두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곧 가출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 수준은 일반청소년들과 마찬가지로 가출청소년이 자립을 준비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가출청소년 자립준비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 일시청소년쉼터 실무자의 역량강화, 자립지원을 위한 일시청소년쉼터 역할 정립에 대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국내·외 관련 제도 및 실태분석을 통한 한국형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omestic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of Each Country Rules and Present Conditions)

  • 강지혜;윤영삼;김상운;성기창;박광재;강병근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7-30
    • /
    • 2006
  • The wealth of Korean disability people's paradigm has developed by the meaning of whole rehabilitation of the small society for acception and protection. Today, that meaning has been changed to make and choose disability people's future plans by themselves. Th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in Korea has been accepted through the American and Japanese's activity systems with no objection. Following result of the real reserching, because th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in Korea have no legal basement, so there are little support for these centers and no proper rules and check systems. Therefore, we have to make the legal basement of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and separate by each parts of system and to specialize about them. That means, each parts of system have to mark role mode for doing well, and each systems have to develop new programs and services, and to specialize for in Korea. To add, we should have more small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in each area, and th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which are already started should make network system to contact with other centers in society for giving support of proper information.

  • PDF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elf-Efficacy effects on Job Burnout of Workers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 김자영;최윤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86-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국 108개소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은 임파워먼트에 정적인 영향을, 직무소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리고 임파워먼트는 직무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소진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독립주거 정신장애인의 초기적응지원 프로그램 성과 연구 : 주거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Early Adaptation Support Program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Living in Independent Housing : Focused on Comparing Housing Types)

  • 최희철;배은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1-101
    • /
    • 2021
  • 본 연구는 독립주거 정신장애인의 초기적응지원 프로그램 성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서울지역 T 정신재활시설의 독립주거 정신장애인 그룹을 실험집단으로, 생활시설'과 공동생활가정의 정신장애인 그룹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후 그룹 간의 지역사회 성과 정도를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전체 사회적 지지의 사전-사후 분석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통제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어 초기적응지원 프로그램은 독립주거 집단의 사회적 지지를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퇴원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성과체계 구축과 주거지원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보호종료아동의 자립증진을 위한 법률 및 제도 개선방안 (Plans for Improvement of Laws and Systems to Promote Independent Living of Child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 김형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57-47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관련 법률과 제도를 분석하고, 둘째 보호종료아동의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고, 셋째 보호종료아동의 자립증진을 위한 법률 및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관련 법률 및 자립지원 제도를 분석하였다.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관련 선행연구,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관련 법률, 보호종료아동을 위한 자립지원 제도를 분석하였다. 둘째, 보호종료아동의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국아동복지협회,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의 협조를 받아 전국의 보호종료아동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셋째, 연구의 결론으로서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의 보호종료아동의 자립증진을 위한 법률과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Study on the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 김자영;최윤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36-34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학적 요인, 조직요인, 직무요인, 심리정서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자립생활센터 108개소의 236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학적 요인 중에서 건강상태가, 직무요인에 해당하는 업무적합도 그리고 심리정서적 요인 중에서 자기효능감이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미국의 농촌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 지원프로그램 (The Home and Community Based Care(HCBC)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in the United States)

  • 한경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7-8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ome and Community Based Care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and to examine the ways these programs help the rural elderly to maintain independent living in their own home in the community instead of moving into the nursing home. First, the overall welfare policy for the aged and service delivery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are reviewed. Second, basic assumptions and programs of HCBC are reviewed. Third, using the informations about the elder support program in Madison, Dane County of Wisconsin as a case, various kinds and contents of specific programs are introduced. Applicability of these programs to rural Korea is discussed.

  • PDF

노인을 위한 스마트 홈 시스템 장기 모니터링 실증 연구 (A Long-term Monitoring Demonstration of Smart Home System for the Elderly)

  • 이지헌;차승현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75-90
    • /
    • 2021
  • A smart home system improves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by monitoring and analyzing their movements and health conditions with better health-care and social support services. Therefore, there has been an effort to adopt a smart home system for the independently living elderly.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no study has investigated the usability of a smart home system on actual independently living elderly housing in long-term settings. Thus,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usability of a smart home system on independently living elders in living lab conditions. The BLE smart band and the BLE receiver were chosen for the smart home system to monitor the movement of the participants in their homes as well as to monitor the heart rates, step counts, sleep index. Nine independent living elderly from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Kimjae participated in this living lab demonstration experiment for ten months. This demonstration experiment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low-cost and easily adoptable IoT-based BLE sensor sets on independent living elders and discussed the troubles and limitations of the experiment. By grasping the pros and cons of IoT-based BLE sensor sets, this study seek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smart home systems for the elderly population in 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s.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 생애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Integration of Person With Disabilities based on Independent Living Paradigm : Life Span)

  • 박수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237-264
    • /
    • 2006
  • 최근 장애 정의에 있어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 한 사회통합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다. 한편 장애문제를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장애의 경험에 국한되지 않고 총체적인 삶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생애주기별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주기별로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사회통합 수준을 측정하고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질적 측면에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사회통합의 하위차원은 일상생활 자율성, 물리적 접근성, 사회적 지지의 적절성, 경제적 안정정도, 선택권,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6개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591명이며, 전화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생애주기별로 사회통합의 하위차원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였고 사회통합의 각 차원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중요한 함의는 사회통합의 증진을 위한 장애정책의 방향은 생애주기별로 차별화 되어야 하며 장애인의 일상 활동이나 접근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선택권이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증진을 위한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PDF

고령자의 동거형 주택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Cohabitating Housing for the Elderly)

  • 임만택;박경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85-9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 planning guidelines of elderly housing fur the aged people living with their sons or daughter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problems of housing environments, two hundred and six old people in Gwangiu city, aged over sixty and living with their sons and daught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they provided the useful answers to the questions. The houses for three generations need to have the proper degree of privacy fur each family member, by arranging rooms for their own independent living space while securing the sufficient common space. Therefore, independent and safe living environments are to be made for the elderly and the choice of various types be made according to their own demands. It is also necessary to guarantee the continuation of inhabitation by establishing health care systems and life support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