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ly

검색결과 19,721건 처리시간 0.046초

시뮬레이션과 1일 급수량 분석을 이용한 갈수기 감압에 의한 제한급수 방법 (Pressure restricted water supply method during drought using a computer simulation and daily water supply analysis)

  • 남영욱;김경수;현인환;김두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35-344
    • /
    • 2020
  •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mega-droughts have occurred frequently. Since long-term droughts make it difficult to secure the water resources, water supply needs to be restricted in a reasonable manner. In the event of limited water supply, the waterworks need to develop a restricted water supply strategy. This study showed that analyzing daily water supply could be used to respond to the first stage of a drough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Korea's major water authorities, there was about 7~21% of room for daily minimum water supply in case of a drought. Restricting the water supply by lowering pressure is a good strategy for local water authorities with high water leakage rate since leakage is inversely dependent with pressure. For this method, it is necessary to quantify water deficiency and pressure at each node using a simulation. Since DDA-based software is not possible to predict changes in demand at nodes with pressure reduction, WaterGEMS, a PDA software, was used to quantitatively predict water shortages and pressures at each node. Locations where water is deficient need to install booster pumps or to be dispatched with water tank truck and bottled water. Without these support, lowering pressure could not be an option for water work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for waterworks to plan a drought by lowering pressure to restrict water supply using daily water supply analysis and PDA based simulation.

원자재 수출입 기업의 전략적 공급사슬지향성과 공급사슬 성과의 관계에서 혁신활동과 정보공유 활동의 매개역할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tegic supply chain and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of the raw material export-import firm)

  • 조연성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193-214
    • /
    • 2015
  • 본 연구는 국제통상 환경에서 원자재 수출입 기업의 전략적 공급사슬지향성과 공급사슬 성과의 관계에서 혁신활동과 정보공유 활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455개 응답 표본을 대상으로 매개효과를 포함한 7개의 가설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전략적 공급사슬지향성은 공급사슬 혁신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정보공유 활동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공급사슬 혁신활동은 정보공유 활동과 공급사슬 운영성과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정보공유 활동은 또한 공급사슬 운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매개효과 검정에서는 공급사슬 혁신활동이 전략적 공급사슬 지향성과 정보공유 활동 사이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정보공유 활동은 공급사슬 혁신활동과 공급사슬 운영성과 사이에서 유의한 부분매개 효과를 보여주었다.

  • PDF

농촌급수시설에 관한 환경위생확적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Envlronmcntal Sanitary Status of Water Supply System in Rural Area)

  • 박국환;김성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6-85
    • /
    • 1978
  • This survey was undertaken for the period seven month beginning January 15, 1977 and ending July 31, 1977 to detect the general sanitary status of the villages and the villagers and, at the same time, analyse quality of water sources with emphasis on a total of 1,256 households dividing into three different groups: such as, 280 households were selected as random samples from the area of the sophisticated piped water supply system, 122 households from the area of the simplified water supply system and finally 854 households from the area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cluded after quality of water sources had been analysed and conditions of the environmental sanitation had been reviewed: 1. 11.2% of the respondents from the area of the sophisticated piped water supply system responded that quantity of drinking water lacked to meet their demand while 30.6% of the villagers from the area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responded quantity of drinking water didn't meet their demand. 2. 30.8% of the.respondents from the area of the sophisticated water supply system responded that contaminating source located within 15 meters from the water source while 54.4% of the respondents from the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claimed the same. 3. It was found that water from all sampling areas were positive in coliform group with exception of Moonsan which is one of the sophisticated piped water supply system groups and the number of general bacteria exceeded the government standard criteria of water quality in the area of the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4. In relation with time requirement to draw water in the area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76 respondents claimed it requires less than 15 minutes to draw water, 15.0% claimed 15 to 30 minutes and 9.0% claimed more than 30 minutes. 5. In relation with knowledge on sanitation of drinking water, 30.8% of respondents from the area of the sophisticated piped water supply system and 41.8% of respondents from the area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denied possible existence of germ in drinking water they drink, while 17.4% of the respondents from the area of the sophisticated water supply system and 50.2% of non-peped water supply system thought it safe to drink water without any treatment. 6. 60.0% of the respondents from the area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and many of them believed that their health status will be improved by installation of a sophisticated water supply system in their area. 7. The respondents from the areas of piped water supply sytem expressed greater concern over drinking water sanitation than those from the areas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and sanitary conditions were found the same. It was, therefore, proved that knowledge of environmnntal sanitation contributed a great deal to improve sanitary conditions of the villages and villagers and at the same time health education, especially environmental sanitation, will be played a important role to improve their sanitary conditions.

  • PDF

선택적 부족분 공급방식에 따른 댐 하류하천의 유황 변화 분석 (Flow duration change in downstream of reservoir by selective deficit supply method)

  • 최영제;박문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2호
    • /
    • pp.1021-1030
    • /
    • 2022
  • 최근 우리나라의 물 관련 정책은 수량-수질-수생태 통합관리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하천의 자연성 회복이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수기 댐 운영에 있어서는 가뭄, 물 수요 증가 등으로 용수공급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부족분 공급방식을 적용하고자하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댐 운영에 부족분 공급방식을 적용하면 댐의 용수공급능력을 극대화 시킬 수는 있지만 하류 하천의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다. 자연하천은 오랜 시간동안 형성된 하나의 생태계로 유량의 변동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결국 부족분 공급방식을 적용한 댐 운영은 수량 관리에서는 효과적이지만 하천의 자연성 회복 및 수생태 측면에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모의를 통해 보장량 공급방식, 부족분 공급방식, 선택적 부족분 공급방식 등의 댐 운영이 하류 하천 유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운영방식의 적용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보장량 공급방식을 적용하면 하천의 유량 변동성은 크게 유지할 수 있으나 댐의 용수공급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분 공급방식을 활용하면 용수공급능력을 증대시킬 수는 있으나 하류의 평수량과 갈수량의 차이가 매우 작아 유량의 변동성 측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택적 부족분 공급방식을 적용할 경우 기간신뢰도를 95% 이상으로 유지하며, 하류 하천의 유황은 보장량 공급방식을 적용할 때와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선행요인들과 공급사슬 역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tecedence Factors and Supply Chain Capability for Improving Supply Chain Sustainability)

  • 박찬권;박성민;김채복
    • 중소기업연구
    • /
    • 제40권1호
    • /
    • pp.25-52
    • /
    • 2018
  • 본 연구는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 공급사슬 역량,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 요인과 공급사슬 역량 간의 관계, 공급사슬 역량과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기업규모에 따른 지속가능성 선행요인, 역량, 지속가능성 간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 연구가설을 수립하고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환경규제준수, NGO 대응활동, CSR 활동, 거래공정성은 제조 민첩성, 환경경영, 사회적 자본에 대부분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으며, 제조민첩성, 환경경영, 사회적 자본 역시 경제적·환경적·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부분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그리고 기업규모에 따라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 역량, 지속가능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정리하면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들로 선정한 환경 규제 준수, NGO 대응활동, CSR 활동, 거래공정성 요인들은 지속가능성의 달성을 위한 공급사슬 역량에 기본적인 선행요인들로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 민첩성, 환경경영, 사회적 자본의 형성은 경제적·환경적·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들의 제고는 공급사슬 역량의 제고로 이어질 수 있고, 나아가 공급사슬 지속가능성까지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대기업과 비교 시 중소기업의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 역량, 지속가능성의 수준을 더욱 제고하는 것 요구된다.

다목적댐의 가뭄 대비 용수공급 조정기준과 혼합 정수계획법에 의한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의 비교 및 분석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water supply adjustment guide and a hedging rule of reservoir operation derived from mixed-integer programming for water supply operation of a multi-purpose reservoir)

  • 진영규;정택문;이상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443-452
    • /
    • 2021
  • 혼합정수 계획의 최적화 기법으로 유도한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은 용수를 미리 감량 공급함으로써 가뭄 기간에 상대적으로 많은 물을 확보하여 저수지를 운영하는 기준이다. 우리나라의 다목적 저수지 운영에 적용하고 있는 현행 기준은 모의 운영 기법으로 유도된 '용수공급 조정기준'이다. 2003-2018년 기간의 저수지 유입량을 입력 자료로 하여, 합천 다목적댐 저수지의 모의 운영에 두 방법을 적용한 결과, 두 방법 모두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된 가뭄에 장기간 물 공급 부족이 발생하였다. 특히 2017년 하반기에 물을 전혀 공급하지 못하거나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기간이 지속해서 나타났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은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을 둠으로써, 2017년 7월에 용수공급 불가 상태에 이른 다음, 저수량이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 보다 커지는 2018년 1월까지 용수공급을 중단하는 결과를 낳았다. 저수지에 물이 유입되어 저수량이 증가하는 상태에도 불구하고 물 공급을 중단하는 결과는 실행 상 개선이 필요하다. 현행 용수공급 조정기준과 용수 감량 공급 기준 모두 가뭄 단계별 용수의 감축 공급 개념을 과학적 수치로 나타낸 저수지 운영 기준으로서 유용하고 현실적이다. 그렇지만 위와 같이 몇 개월간 물을 전혀 공급하지 못하거나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 적용 중인 가뭄 단계별 물의 공급 축소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Analysis of Two-tier Supply Chains with Multiplicative Random Yields

  • Park, Kyungchul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22권1호
    • /
    • pp.1-4
    • /
    • 2016
  • We consider a two-tier supply chain with multiplicative random yield. We focus on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scheme of determining the production lot size. The profit loss due to distributed control is analyzed to give an insight for devising efficient supply contracts.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의 장기적 협력관계 구축을 통한 공급사슬관리 방안 : 식품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소매업체 관점 (Long-Term Relationship Strategies Between Retailer and Suppliers for the Effective Supply Chain Management: Retailer Perspectives toward Food Manufacturers)

  • 김철민;노승혁;조광행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spc1호
    • /
    • pp.360-390
    • /
    • 2005
  • The paradigm of the corporate innovations has been changed from the intra-company innovations to the inter-company innovations. A prevalent approach to the inter-company innovations is the supply chain management. Three key words of the core concept of supply chain management are the long-term relationship, resource integration, and value creation. Specifically, it means that the supply chain management aims to make value creation through the resource integration for the supply chain entities, based on the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buyers and sellers. To make more effective long-term relationship among the supply chain entities,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supply chain entities to analyze followings: i) What variables can influence the long-term relationship, ii) How these variables can influence to the long-term relationship. However, previous researches mostly deals the long-term relationship in the marketing area in fragment, and thus few research efforts have been done for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 model using supply chain management theories.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our research tried to develop and examine the integrative research model by introducing both the marketing theories and the supply chain management theories, and thus related hypotheses are deriv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antecedents of the long-term relationship, for the 87 retailers of grocery supply chains. The empirical results confirm that cultural similarity, reputation, interdependency, and trust positively influence long-term relationship (i.e., partnership orientation and partnership symmetry). And results also confirm that the supply implementation factors such as organization integration, information system integration, and process integration playa moderating role between antecedents and long-term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panies should perceive the importance of managing the process, organization, information system integration in the long-term relationship implementation process as well as the factors such as cultural similarity, reputation, interdependency, and trust in the long-term relationship establishment process.

  • PDF

공급위험과 성과를 위한 정보 기술 실행 (Information Technology Implementation in Supply Risk and Performance)

  • 김민균;채상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1호
    • /
    • pp.237-261
    • /
    • 2014
  • 본 연구는 공급위험과 성과에 대한 정보기술시행의 영향을 조사한다. 또한 정보기술도입이 공급위험뿐만 아니라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 중점을 둔다. 본 연구는 미국 제조업체 구매 및 공급 관련임원과 경영자들로부터 백오십구 매의 설문지를 수집했다. 본 연구 결과는 공급사슬에서 정보기술 사용이 공급위험을 완화 시키고 경영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실증을 제공한다. 더 중요한 것은 정보기술 도입을 세 분야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의사소통, 내부의사소통 및 관리, 주문 관리 및 구매)로 나누어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급사슬위험관리에서 정보기술수행의 중요성과 정보기술도입이 위험 완화와 경영성과향상을 활성화 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래서 공급과 구매 관리자들이 공급 위험 완화 전략 수립 시 정보기술 도입 및 활용을 고려해야만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미국 공급망 보안 관리 체계 분석 (Analysis of U.S. Supply Chain Security Management System)

  • 손효현;김광준;이만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1089-1097
    • /
    • 2019
  •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통하여 스마트 제조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은 제조공정의 효율적인 업무를 위해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들은 제조 유통 과정을 거쳐 공급되는데, 이러한 공급 과정에서 각종 보안 위협에 노출되고 있다. 최근 공급망 공격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국외에서는 공급망 관리 체계를 정립하여 공급망 위험을 관리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는 일부 분야에 대한 공급망 위험 관리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급망 공격 사례를 통하여 공급망 위험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외 공급망 관리 체계의 동향을 분석하여 국내의 공급망 보안전략 방안의 필요성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