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lier Trus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초

신뢰 및 충성도 구축 메커니즘에서 유대전략과 점포 운명기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nteractive Effects of Bonding Tactics and Store's Age on Building Mechanism of Trust and Loyalty)

  • 유동근;서승원;이동일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2호
    • /
    • pp.29-57
    • /
    • 2008
  • 본 연구는 유통경로 상에서 서비스기업의 공급업체에 대한 신뢰 및 충성도 구축과정에서 공급업체의 유대관계전략과 서비스기업의 점포 운영기간 사이에 상호작용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을 위해 한국동물병원협회 소속의 214개 동물병원을 표본으로 하여 설문을 수집한 후,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통경로 구성원인 공급업체의 서비스기업에 대한 유대관계 전략에 따라 서비스기업이 구축하고자하는 신뢰의 유형에 대해 서로 다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공급업체의 사회적 유대전략은 서비스기업의 두 가지 유형의 감정적 신뢰 및 인지적 신뢰구축에 모두 영향을 주지만, 구조적 유대전략은 서비스기업의 감정적 신뢰에 영향을 주지만 인지적 신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공급업체의 사회적 유대전략은 서비스기업의 공급업체에 대한 충성도 구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구조적 유대는 충성도 구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감정적인 신뢰를 통하여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서비스기업의 감정적 신뢰는 그들의 공급업체에 대한 충성도 구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서비스기업의 인지적 신뢰는 공급업체에 대한 충성도 구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감정적 신뢰를 통하여 형성되었다. 넷째, 서비스기업의 점포 운영기간이 길수록 공급업체는 사회적 유대를 활용하여 서비스기업의 신뢰 및 충성도를 직접적으로 구축하나, 점포 운영기간이 짧을수록 사회적 유대 및 구조적 유대를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신뢰를 먼저 구축하고 그런 다음 충성도를 간접적으로 구축하였다. 따라서 유통경로 구성원들 사이에 서비스기업이 그들의 사업파트너인 공급업체에 대한 신뢰의 유형 및 충성도를 구축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유대관계 전략을 활용하며, 공급업체는 서비스 기업의 점포 운영기간에 따라 공급업체에 대한 서비스기업의 신뢰 및 충성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해당점포의 운영기간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구매자-공급자 간의 정보공유와 공급자에 대한 역량신뢰가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formation Sharing and Capability-trust between A Buyer and Its Supplier on the Buyer's Relationship Performance)

  • 박진수;편제범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2967-298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의료 공급사슬 상에서 구매자에 해당하는 병원과 공급자와의 관계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기간과 병원의 규모에 해당하는 병상 수가 통제된 상황 하에서 구매자-공급자 간의 정보공유와 구매자가 인식한 공급자의 역량에 대한 신뢰가 구매자의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거래기간과 병상 수가 통제된 상태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이 정보공유와 관계성과, 역량신뢰와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뢰성 분석, 전체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판별타당성 분석을 거친 후 통제변수가 포함된 조절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구매자-공급자 간의 정보공유와 구매자가 인식한 공급자의 역량에 대한 신뢰는 모두 구매자의 관계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는 정보공유와 관계성과의 관계에서는 상호작용 공정성이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역량신뢰와 관계성과의 관계에서는 상호작용 공정성이 조절효과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SOCIAL NETWORK THEORY AND PRIVATE HOUSING DEVELOPERS IN MALAYSIA

  • Muhammad Hijas Sahari;Mastura Jaafar;Abdul Rashid Abdul Aziz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04-710
    • /
    • 2007
  • This paper examines the operations of private housing developers (PHDs) based on Social Network Theory. PHDs need to choose the best consultants, contractors and suppliers (CCS) to make sure the project run and complete successfully. PHDs gather the scarce resource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personal network. This research used the social network method which relies on alliances based on network, social, tie and trust. The more people/firm PHDs network with, the better chances of finding the right CCS.

  • PDF

철도차량 Software 지적 재산권 분쟁 해결을 위한 Escrow Account 적용 절차에 대한 연구 (Study on Procedure for Escrow Account to Resolve Controvers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of Software for Rolling Stock)

  • 박준형;조치환;강찬용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79-1485
    • /
    • 2008
  • 본 논문은 철도차량분야에 적용할 소프트웨어 Escrow의 상세 적용 절차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철도차량 발주자는 차량의 소프트웨어 포함 장치에 대한 하자보증 기간(warranty period) 이후의 소프트웨어 변경 및 유지보수성 확보를 위하여 소스코드, 핵심적인 기술 원천정보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는 소스코드 등이 업체의 지적 재산권에 해당하는 사안이기 때문에 시행청의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주 계약자인 철도차량 제작자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사용자 간의 다른 입장을 조율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Escrow 서비스 제도를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소프트웨어 Escrow는 소프트웨어 Escrow 패키지(소프트웨어 소스코드, 소프트웨어 개발 툴, 빌드 프로세스, 독점권을 가진 정보, 저작권 등)의 거래 시, Escrow 계약 문서에 대한 서명을 통한 Escrow 계약 조건을 상호 합의한 후 신뢰성 있는 제3의 기관에 관련 기술 자료 등을 예치해 두는 양자 간 상생협력을 위한 제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Escrow 진행 절차에 대한 상세 내역을 연구하고, 향후 프로젝트 적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유료 비즈니스 콘텐츠 시장 개선 방안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the Business Contents Market)

  • 최정섭;문현주;김희웅
    • 정보화정책
    • /
    • 제22권1호
    • /
    • pp.96-117
    • /
    • 2015
  • 정보통신기술 발전과 함께 무형제품인 콘텐츠의 수요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비해 유료 콘텐츠 시장은 활성화 되어있지 않으며 특히 사업추진이나 업무에 필요한 비즈니스 콘텐츠를 거래하는 시장은 더욱더 저조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사업자 측면에서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서 유료 콘텐츠 시장을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탐색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관점에서의 비즈니스 콘텐츠 거래 시장의 비활성화 이유를 찾아보고자 직장인, 자영업자 등 비즈니스 콘텐츠 이용자 12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즈니스 콘텐츠를 구매하는 이유, 구매하지 않는 이유와 비즈니스 콘텐츠 시장의 문제점에 대한 심층 질의응답을 통해 비즈니스 콘텐츠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냈다. 본 연구는 유료 비즈니스 콘텐츠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각 요소에 제시된 문제들에 대한 개선방안 그리고 사업자, 관련 정부, 이용자등 각 유료 비즈니스 콘텐츠 시장 참여자들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Who has to take legal responsibility for retailer brand foods, manufacturers or retailers?

  • Cho, Young-S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97-109
    • /
    • 2011
  • As a marketing vehicle to survive in intensified retailing competition, retailer brand development has been adopted by retailers in Korea. As evidence, the retailer brand share of a major retailer, Tesco Korea, has grown from 20% in 2007 to 22.8% in the first half of 2008. It means that retailers have provided more and more retailer brand foods for customers. With the growing accessibility to retailer brand foods,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number of retailer brand food claims will increase. Customers have increasingly exposed to a variety of marketing activities conducted by retailers. When buying the retailer brand foods, customers tend to be affected by marketing activities of retailers. Despite the fact that customers trust retailers and then, buy their brand foods, in case of food accidents caused by production process, customers have to seek compensation from a retailer brand supplier. Of course, a retailer tends to shift its responsibility to its suppliers. Accordingly, it is not easy for customers to solve food claims. The research, therefore, aims at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ying-decision processes of retailer brand customers and which side takes legal responsibility for food claims. To effectively achieve the research aim, the author adopted a quantitative and a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in order to supplement the disadvantages of each method. Before field research, based on the developed research model, the author pre-tested questionnaire with 10 samples, amended, and handed out to 400 samples. Amongst them, 316 questionnaires are available. For a focus group interview, 9 participants were recruited, who are students, housewives, and full-time workers, aged from 20s to 40s.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as well as the questionnaire results, it was found that most customers were influenced by a retailer or store image in a customer's mind, retailer reputation and promotional activities. Surprisingly, customers think that the name of a retailer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who produces retailer brand foods, even though many customers check a retailer brand supplier, when making a buying-decision. Rather than retailer brand suppliers, customers trust retailers. That is why they purchase retailer brands. Nevertheless, production-related food claims is not involved with retailers. In fact, it would be difficult for customers to distinguish whether a food claim is related to sell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Based on research results, from a customer perspective,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require retailers to take the whole responsibility for retailer brand food claims, preventing retailers from passing the buck to retailer brand suppliers. In case of food claims, in order for customers to easily get the compensation,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urrent system. If so, retailers have to fully get involved in retailer brand production stage, and further, the customer awareness of retailer brands will be improved than ever before. Retailers cannot help taking care of the whole processes of retailer brand development, because of responsibility. As a result, the process to seek compensation for food claims might become easier, and further, the protection of customer right might be improved.

  • PDF

기업의 관계학습 영향요인과 관계성과에 관한 연구 - 수출/내수기업의 성과비교를 중심으로 -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Relational Learning and Relational Performance - Focusing on Export/Impart Enterprises -)

  • 김승록;정헌주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155-179
    • /
    • 2016
  • 기업 간 관계품질은 기업성과와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긍정적인 관계품질은 거래 당사자 간 갈등을 감소시켜 강력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게 하고 거래비용을 낮추어 기업성과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강력한 조직 관계형성으로 직접적인 매출과 이익을 증가시키며 불필요한 갈등을 예방하여 기업 혁신을 촉진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Chiou& Droge, 2006; Cannon & Homburg, 2001; Rindfleisch & Mooramn, 2001). 이에 본 연구는 공급자 관점에서 관계학습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관계학습과 관계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수출기업과 내수기업 간에 기업의 관계학습 영향요인과 관계성과에 관해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첫째, 관계학습 영향요인인 결속수준, 환경불확실성, 학습의도는 관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학습 영향요인 중 거래특유 자산의 경우 관계학습 요인 중 정보공유와 관계특유 기억에 영향을 미치지만 공동이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학습이 관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신뢰가 높을수록 관계학습이 관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lock Chain Ethereum Technology to Activate Digital Contents Trading as Sharing economy - data encryption and modify merkle tree-

  • Min, Youn-a;Baek, Yeong-T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73-80
    • /
    • 2018
  • The shared economy began with the concept of sharing the physical and intellectual assets of individuals with others. Nowadays, the concept of shared economy is becoming one of the industries as an enterprise type. Especial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various forms of shared economy have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 of sharing of individual income. Digital content is also a shareable commodity and it is seeking to utilize it as an item of shared economy. Accordingly, when digital contents are used as a shared economy, there are various possible threats -security threats that may arise in the course of transactions, potential for theft, alteration and hacking of cont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transaction method and content protection method using block chain-ethereum technology to reduce security threats and transparent transactions that can occur in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Through the proposed method, the trust of the consumer and the supplier can be measured and the encryption can be perform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o be traded. Through this pap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smart transaction of digital contents and to reduce the risk of content distortion, hacking, etc.

산업재 시장에서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Buyers' Trust in a Brand and Brand Loyalty in the business-to-business)

  • 한상린;성형석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9-51
    • /
    • 2005
  • 본 연구는 산업재 시장에서 조직구매자의 공급자의 관계에 있어서 공급자 브랜드에 대한 신뢰 및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9가지의 영향요인들(브랜드 명성, 브랜드 확신성, 브랜드 역량, 공급자 신뢰, 공급자 명성, 공급자 능력, 브랜드 애호도, 브랜드 경험, 브랜드 만족)을 브랜드 특이성, 공급자 특이성, 구매자 특이성의 관점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산업재 시장에서 공급자와 구매자의 거래 시 브랜드 신뢰의 증가는 브랜드 충성도 및 관계몰입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실증분석은 산업재 구매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기존 문헌고찰을 통해 그동안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산업재 시장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브랜드 신뢰의 형성요인에 대한 구성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구조방정식모델에 의한 실증분석을 통해 브랜드 특이요인(브랜드 명성, 브랜드 확신성, 브랜드 역량), 공급자 특이요인(공급자 신뢰, 공급자 명성, 공급자 능력), 및 구매자 특성요인(브랜드 애호도, 브랜드 경험, 브랜드 만족)이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 및 관계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충성도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 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들에 대해서 세 가지 영역(브랜드/공급자/구매자)으로 구분하여 하부변수들의 선행적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브랜드 특성요인(브랜드 확신성 기각), 공급자 특성요인, 구매자 특성요인(브랜드 애호도 기각)들 대부분 브랜드 신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 및 관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르렀는지를 실시간(real time)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 미국의 월마트사(社) 와 영국의 메트로사(社) 같은 선진 유통 기업들은 실증연구를 통해 RFID 기술 도입이 비용 절감과 함께 고객 서비스 향상을 도모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또한 현제 초기단계이기는 하지만 실제 RFID 기술을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다. 국내에서도 정부주도 하에 RFID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난 2004년에 유통 물류 분야의 1차 시범사업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cdot}$외의 적극적인 도입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RFID기술 도입이 SCM(Supply Chain Management)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RFID 기술 도입 의사결정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정량적인 ROI 분석 모형에 관한 연구는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CM 차원에서 RFID 기술 도입에 따른 ROI 분석 모형을 제시하고 적용해 보고자 한다.htarrow}$ 토착화 능력의 배양 ${\rightarrow}$ 자체기술개발, 선진기술 도입, 산업간 및 산업내 기술확산, 국제기술협력 ${\rightarrow}$ 기술혁신의 촉진 ${\rightarrow}$ 총요소생산성과 기업경쟁력(자원 및 역량, 프로세스 경쟁력, 품질경쟁력, 시장경쟁력, 고객성과, 시장성과, 재무성과)의 제고 ${\rightarrow}$ 가격경쟁력(임금, 금리, 물류비용, 환율 등)과

  • PDF

산업재 부품 구매자와 공급자의 신뢰와 몰입, 그리고 정보기술의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ust and Commitment between Buyer and Supplier of Industrial Parts, and Their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김종훈;윤희택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6년도 하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47-68
    • /
    • 2006
  • 본 연구는 산업재 부품 공급업체와 구매업체 사이의 신뢰와 몰입, 그리고 협력, 커뮤니케이션, 강제적 힘 등 행위적 관계변수들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아울러 정보기술의 사용이 관계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천지역에 소재한 기계, 전자, 자동차 부품업체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216개의 분석 가능한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제시된 가설들이 모두 지지되었다. 첫째, 부품 공급업체의 구매업체에 대한 신뢰는 구매업체와의 관계 몰입을 이끄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협력과 커뮤니케이션은 부품 공급업체의 구매업체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강제적 힘은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셋째, 부품 공급업체와 구매업체 간의 거래에서 사용되는 인터넷, E-Mail 등 정보기술은 관계의 질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아울러 가설로 설정하지는 않았지만 협력과 커뮤니케이션은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협력과 강제적 힘, 커뮤니케이션과 강제적 힘은 상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산업재 부품 공급업체와 구매업체 사이의 관계, 그리고 정보기술이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한 선험적인 시도라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 연구 결과는 실무적으로도 부품 공급업체와 구매업체 간의 관계 강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연구대상이 업종별 및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고, 부품 공급업체 일방의 입장만을 고려하였다는 것 등 본 연구의 한계점들은 향후 연구들이 보완해야 할 사항들로 남겨지게 되었다. 측면에서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며 앞으로도 이에 대한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종합적인 지원 및 관리가 요구되는 시점으로 판단된다.pm3.42$, 저층수 $23.43\pm3.38$이었으며, 전반적으로 해역별 수질기준 I등급 내지는 II등급을 유지하고 있었고, 공간적으로는 외해측으로 갈수록 외해수와 혼합 확산되어 양호한 수질을 나타내었다. 장기적인 변동특성은 세그룹으로 구분되어진다.기 실험결과 용출용매로 증류수와 해수를 이용했을 때,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되는 납, 구리, 카드뮴, 수은의 용출 경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서, 납, 구리, 카드뮴의 용출 유해성은 낮기 때문에 해양구조물로의 제강슬래그 유효이용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im80%$로 계산되었다. 열형광선량계로 측정된 방사선량은 각각 1.8, 1.2, 0.8, 1.2, 0.8 (70 cm 거리) cGy로 측정되었으며, 환자의 복부 표면에서의 서베이메터를 이용한 측정량은 10.9 mR/h였다. 차폐구조물의 사용 시 전체 치료 동안에 태아선량은 약 1 cGy 정도로 평가되었다. 결론 : AAPM Report No.50의 자료에 따르면, 임산부의 방사선 치료 시 태아의 방사선 피폭선량은 5 cGy 이하일 경우에 방사선 피폭에 따른 태아의 위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원에서 차폐 구조물을 설치하였을 경우에 측정된 태아선량은 약 1 cGy로 측정되었고, 고안된 차폐구조물은 태아에 도달하는 방사선량을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설계임이 입증되었다. 아니라 일반종합병원에서도 CTX-M형 ESBL 생성 E. col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