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visor Satisfactio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1초

상사유머가 부하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LMX와 CWX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supervisor humor on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LMX and CWX)

  • 양동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91-295
    • /
    • 2022
  • 본 연구는 상사유머가 LMX 및 CWX에 미치는 영향, LMX 및 CWX가 부하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사유머와 부하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LMX 및 CWX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지방 소재기업 내 종업원 23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유머는 LMX 및 CWX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MX와 CWX는 부하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LMX 및 CWX는 상사유머와 부하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Role of Supervisor Support

  • KWAK, Jinman;MOON, Jaeseu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5-84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improve service quality by demonstr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8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 beauty service companies with two or more employees. Among them, 602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 and AMOS 24. For the assessment of goodness of fit of the models, TLI, CFI, RMSEA indices were used. Result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Secon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ustomer orientation. Fourth, empirical data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related theories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taff Nurses)

  • 김정희;현미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8-117
    • /
    • 2005
  • Purpose: This paper was attempted to focused on the analysi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Method: Data collected from 302 staff nurses in 2 general hospitals, wit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Wolfgang's HPSI, modified Hagihara's social support, and MSQ).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Pearson correlation, ANOVA,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 The subject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st level of 'the work and patients' conditions'. The perceived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pervisor and co-workers' support, and job satisfactions. Also supervisor and coworkers'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s. The main factor that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s was 'work and patient conditions' and it was explained 35.5%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job satisfactions with 'the work load and disturbing factor',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s' support'. Supervisor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and career development factor' and satisfaction. Conclusion: For developing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hospital nurses, 'the work and patients' conditions', and the strategies of strengthening 'supervisor and co-workers'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it may be conside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other criterion variables.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ore Competence of Supervisor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s and Franchisor

  • Song, Ji-Hyun;Jo, Gye-Be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89-201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ore competence of supervisor on the satisfaction, loyalty,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or.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most problematic issues in franchise business such as poor sales of franchisee, inadequate measures for activating sluggish stores, closing rate increase of franchisee, dispute between a franchisee and franchis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data for the success of Franchisor's business operation and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franchise industry. In this study, 168 CEOs and employees in the franchise industry were survey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expert interviews, we designed the core competency factors of franchise supervisors into seven areas: check, consulting, coordination, promotion, counseling,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verifi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Key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ompetency of the supervisor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ranchisee's satisfaction. Second, the core competence of the supervisor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ranchisee's loyalty. Third, franchisee's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Fourth, franchisee's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 and franchisor. Fifth, franchisee's loyalty positively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 and franchisor.

코칭 슈퍼비전에 있어 슈퍼바이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mpacting on Supervisee's Satisfaction in Coaching Supervision)

  • 김용구;채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102-6113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 코칭 슈퍼비전에 있어 슈퍼바이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독립변인 4가지(슈퍼바이저, 슈퍼바이지, 콘텐츠, 조직요인)와 조절 변인으로 관계 요인을 설정하였고, 종속 변수로 슈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를 설정하였다. 한국에서 활동하는 전문 인증 코치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2개의 설문 응답 중 유효한 응답 105개를 위계적 회기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회귀 분석 결과 슈퍼바이저 요인과 조직 요인이 슈퍼비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한편 관계 요인은 슈퍼바이지 요인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내 코칭 슈퍼비전의 유효성이 슈퍼바이저에 의해서 결정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는 국내 코칭 슈퍼비전의 불안정성, 인식과 경험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한 것이다. 향후로는 코칭 슈퍼비전 연구에 있어 슈퍼비전의 인식 정립 및 슈퍼비전의 방법론의 프레임워크 정립, 체계 마련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항공사 승무원의 이직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사지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Turnover Intention of Flight Attendant on Job satisfaction -Focused on Supervisory Support-)

  • 이정현;허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96-810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이직요인과 업무적 이직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과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사지원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로는 직무탈진감 ${\rightarrow}$ 직무만족, 업무과부화 ${\rightarrow}$ 직무만족의 경로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탈진감 ${\rightarrow}$ 직무만족과 업무과부화 ${\rightarrow}$ 직무만족 경로에 대한 집단 간 영향력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낮은 집단의 영향력이 더 높다고 말할 수 있으며, 일 가정에 대한 갈등은 상시지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직무만족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개인적 이직의도 중 경력개발/기회부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사지원의 조절효과에 따른 집단 분류에서 각 경로가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승무원 신입교육을 시작으로 상위 Class에서 필요한 직무교육을 받아야만 해당 Class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진급의 수요 공급의 차이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직 내 상사의 지원은 진급과 직무자 업무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 작용함과 조직의 충성도 또한 높아지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여성근로자가 대부분인 승무원 집단에서 상사는 개개인의 정서를 어루만져 더 나은 기회를 갖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이로 인해 상사와의 진실되고 두터운 인간관계 형성을 위해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여야 한다.

The Effect of Employees' Perception of a Supervisor's Servant Leadership on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s Support: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s Supports

  • Kang, Min-Jeong;Hwang, Hee-Joo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105-109
    • /
    • 2014
  • Purpose - Leadership styl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employe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an organization. Contributing the efficiency of an organization, Especially, servant leadership focusing on meeting employees' hopes and desires positively affect success of the organization and performance of employees. In the airline service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for an internal marketing on servant leadership that emphasizes the trust in the dignity of humans and spirit of service to subordinates as a factor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refore, in this research, it is empirically analyzed that employees' perception of a supervisor's support play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of servant leadership and perception of an organization's support using multiple and hierarchal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243 employees working in D Airline. Result - As a result, Employees'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s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ived servant leadership of a supervisor and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rvant leadership of a supervisor perceived by employees constitutes an important preceding variable in enhancing the employee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support.

조직 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인적자원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Group Creativity in Organization)

  • 장충석;박종오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1권
    • /
    • pp.49-76
    • /
    • 2007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group creativ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has two objectives. First, I will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and idea cre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roblem solving activity will be statistically tes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idea creation. Especially, sub-construct for supervisor communication$({\beta}=0.14,\;p<.05)$, quality of media$({\beta}=0.13,\;p<.05)$, individual feedback$({\beta}=0.36,\;p<.001)$, organizational prospect$({\beta}0.31,\;p<.001)$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truct in idea creation. Second, the measurement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roblem solving activity. Especially, communication with supervisor$({\beta}=0.21,\;p<.05)$, quality of media$({\beta}=0.21,\;p<.001)$, organizational prospects$({\beta}=0.22,\;p<.001)$, and communication with subordinate$({\beta}=0.37,\;p<.001)$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oblem solving activity construct. These consequences suggest that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employee is effective in the improving the group creativity in organization.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 the satisfaction factor of employee communication as a incremental factor of group creativity.

  • PDF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지원, 만족도, 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Supervisor and Peer Support, Satisfaction, and Transfer Intentions in Corporate Mobile-Learning)

  • 정애경;홍유나;강정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89-196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만족도, 전이동기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 A사에서 실시한 모바일러닝 학습자 3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의 지원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만족도가 전이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용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고, 상사 및 동료의 지원과 전이동기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전이동기 수준을 높이기 위해 조직 내 상사 및 동료의 적극적인 지원이 가능한 조직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모바일 정보수용기술에 대한 유용성을 높게 지각하도록 전략을 수립하여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세무회계사무소 직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Factors that Affect Tax Accounting Firm Employees'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Supervisor)

  • 정우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13-22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세무회계사무소 직원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인간중심경영과 긍정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이러한 관련성이 상사신뢰에 의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무회계사무소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한글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직위, 연봉, 학력, 업무처리 능력에 따라 직무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간중심경영과 긍정리더십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신뢰는 긍정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세무회계사무소의 효율적 운영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직원의 직무만족 향상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