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tability clas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데이터 범주와 알고리즘 종류 탐색 (Exploring Data Categories and Algorithm Types for Elementary AI Education)

  • 심재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167-173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의 인공지능 교육에서 다루는 알고리즘의 종류, 활용하는 도구와 데이터의 범주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초등예비교사 11명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데이터, 인공지능 알고리즘,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을 교육 및 실습한 후 설문하여 초등학생 수준을 고려한 데이터와 알고리즘의 범주, 교육 도구를 제시하고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설문을 통해 교사가 수업목적에 따라 사전에 데이터를 선정 및 가공하여 교육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분류와 예측 알고리즘이 초등 인공지능 교육에서 다루기에 적절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엔트리가 인공지능 교육 도구로서 가장 적합하며 인공지능의 학습이라는 개념을 교육하기 위해 수학적 지식을 설명하는 자료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에서 다루는 알고리즘과 데이터의 범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수학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적절한 교육 도구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온실 냉난방을 위한 연료전지 기반 열병합 발전 시스템 (Fuel Cell-based Cogeneration System for Greenhouse Cooling and Heating)

  • 박진영;뚜안앵;박승용;이동근;배용균;김영상;이상민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667-672
    • /
    • 2023
  • This study proposes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based cogeneration system for greenhouse heating and cooling. The main scop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posed cogeneration system's suitability for the 660 m2-class greenhouse. A 25 kW PEMFC system generates electricity for two identical air-cooled heat pumps, each with a nominal heating capacity of 70 kW and a cooling capacity of 65 kW. Heat recovered from the fuel cell supports the heat pump, supplying hot water to the greenhouse. In cooling mode, the adsorption system provides cold water to the greenhouse using recovered heat from the fuel cell. As a result, the cogeneration system satisfies both heating and cooling capability, performing 175 and 145 kW, respectively.

황구지천 내 수달(Lutra lutra) 서식지 적합성 분석을 통한 관리 전략 제안 (Management strategy through analysis of habitat suitability for otter (Lutra lutra) in Hwangguji Stream)

  • 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4
    • /
    • 2024
  • Otters, designated as Class I endangered wildlife due to population declines resulting from urban development and stream burial, have seen increased appearances in freshwater environments since the nationwide ban on stream filling in 2020 and the implementation of urban stream restoration projects.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scientific and strategic conservation measures for otters, an umbrella and vulnerable species in aquatic ecosystems. Therefore, this study predicts potential otter habitats using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MaxEnt, focusing on Hwangguji Stream in Suwon, and proposes conservation strategies. Otter signs were surveyed over three years from 2019 to 2021 with citizen scientists, serving as presence data for the model. The model's outcomes were enhanced by analyzing 'river nature map' as a boundary. MaxEnt compared the performance of 60 combinations of feature classes and regularization multipliers to prevent model complexity and overfitting. Additionally, unmanned sensor cameras observed otter density for model validation, confirming correlations with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results. The 'LQ-5.0' parameter combination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with an AUC of 0.853. The model indicated that the 'adjacent land use' variable accounted for 31.5% of the explanation, with a preference for areas around cultivated lands. Otters were found to prefer shelter rates of 10-30% in riparian forests within 2 km of bridges. Higher otter densities observed by unmanned sensors correlated with increasing model valu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ree conservation strategies: establishing stable buffer zones to enhance ecological connectivity, improving water quality against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raising public awareness. The study provides a scientific basis for potential otter habitat management, effective conservation through governance linking local governments, sustainable biodiversity goals, and civil organizations.

강원도에서 토양과 기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재배 적지 구분 (Suitability Classes for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Using Soil and Climate Digital Database in Gangwon Province)

  • 김경대;성경일;정영상;이현일;김은정;;조무환;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37-446
    • /
    • 2012
  • 조사료 재배 적지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가적 사업으로 구축되어 있는 토양과 기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를 대상으로 강원도에서의 재배 가능 지역을 분류하였다. 토양 데이터베이스는 국립농업과학원의 흙토람에서, 기상 데이터베이스는 국립농림기상센터에서 받았다. 토양 요인 항목으로는 토양 물리성인 토성, 배수, 경사, 유효 토심 및 암반노출 등, 토양 화학성인 토양 산도, 토양 염류도 및 유기물 함량 등을 선정하고, 이들의 기준값 및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기후 요인 항목으로는 1월 일최저평균온도, 3~5월의 평균온도, 9~12월의 $5^{\circ}C$ 이상 일수, 10월~익년 5월의 강수일수와 강수량을 선정하고 기준값 및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토양 요인의 관점에서 강원도에서 IRG의 재배가능지 및 재배최적지는 영동지방의 경우 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및 삼척이며 주로 경사가 완만한 해안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영서지방은 철원, 양구, 춘천, 원주, 횡성, 평창 및 정선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다. 단 영동지방의 경우 서쪽 급경사인 태백산맥은 재배불가지이며, 경사가 완만한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재배가능지 이상이었다. 기후요인의 관점에서 강원도에서 IRG의 재배가능지 또는 재배최적지로 영동지방의 경우 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및 삼척의 해안 지역이 해당되었다. 영서지방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이 재배 불리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일부 춘천과 원주에서 60점 이상인 지역에서는 재배 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일부 보육교사의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 및 영양교육 요구 조사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 Education Needs among Child-Care Teachers)

  • 최경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7-14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75 child-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in-service education, to research the methods to improve child-care teacher's nutrition management capability for infants and children. Investigated results of child-care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status, and needs on nutrition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s are as follows: The score of child-care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was 10.83 points out of 15, which is about 72%. Total score increased as teachers' age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career duration, since teachers who have a child-care career less than 5 years acquired 10.91 points, which is higher than 10.64 points of teachers having more than 5 years of child-care career. Teachers' average recognition to the nutrition knowledge was 90.6%,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e older they are, and decreased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ir career. The average accuracy of the nutrition knowledge was 79.7%,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teachers' age. The marks of child-care teachers' dietary attitude were 41.3 points (possible score range 5-50) and 83%, older teachers tended to have more desirable dietary attitude. As indicated by the increment of child-care career, the score of emotional attitude tended to be increased but which of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 showed a declining tendency. Nutrition information which child-care teachers were mainly interested in were correct selection of food (58.1%), obesity and weight management (52.7%), and nutrient content of food (44.9%). Nutrition education contents which child-care teachers needed were 'nutritious food and menu for child' (72.2%), 'health management of child' (69.2%) and meal management of child (40.2%). Nutrition education methods, which child-care teachers considered as of desirable ones, were cooking class of small scale (31.8%), visiting class at child-care center (26.5%). In consequence, th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of child-care teachers were not good and showed different issues by age and career duration. Therefore, it is requisite to intensify nutrition management courses in child-care teachers' qualifi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courses which has actual necessity and suitability based on teachers' age, career, and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and to disseminate these through public health centers and child-care & education information centers to pursue the efficient balance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Effects of Integrated Soil Amelioration Techniques to Mature Newly Established Research Fields

  • Jung, Sug-Jae;Hyun, Byung-Keun;Sonn, Yeon-Kyu;Cho, Hyun-Jun;Choi, Jung-Won;Lee, Pyeong-Ho;Lim, Dong-Hyu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08-217
    • /
    • 2016
  •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oved to Jeonju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land. This situation required establishment of new research fields with soils appropriate to cultivation. We applied a variety of amelioration techniques to mature soils of new research field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NAS) and evaluated effects of the integrated amelioration techniques. The schedule of amelioration was following: 1) location of research fields was determined, 2) surface and subsoil samples were collected separately, 3) after aligning the top level of research fields, subsoil and surface soil were re-established with soil amendment, 4) the green manure crops were grown four seasons to improve the uniformity and increase the organic content of the research field, and 5) drainage canal and/or underdrainage were applied to poorly drained fields. The last green manure crop was rape in RDA fields and green barley in NAS fields. The average height, fresh weight, and dry matter weight of rape in good condition were 123 cm, $3,938kg\;10a^{-1}$, and $651kg\;10a^{-1}$, respectively. The height, fresh weight, and dry matter of green barley, on average, were 97 cm, $3,013kg\;10a^{-1}$, and $1,004kg\;10a^{-1}$, respectively. In the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field, pH and levels of silicate, calcium, magnesium, and potassium were in appropriate range but organic matter content of $16g\;kg^{-1}$ was less than the optimum level. In the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field, pH and levels of phosphorus, calcium, magnesium, and potassium were appropriate range but organic matter content of $12g\;kg^{-1}$ was less than the optimum range. Evaluation of well-adapted soil was performed. The field in RDA was classified into the superior class with points ranging from 90 to 95 by the field evaluation test. The fields in NAS were mainly evaluated as the superior class with points greater than 85. However, some fields in NAS remained low quality with scores between 80 and 83. Further soil amelioration practices were suggested to fields with low soil quality.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구치부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수복 (CLASS II COMPOSITE RESIN RESTORATION USING ORTHODONTIC BANDS)

  • 박성동;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17
    • /
    • 2005
  • 소아, 청소년 환자의 경우 성인에 비해 구치부 인접면 우식의 빈도가 높은 편이며, 그 수복 재료에 있어서 심미성이나 치질 삭제량 감소 등의 이유로 복합레진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복합레진을 이용한 구치부 인접면 수복에 있어서, 술자의 기호와 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 매트릭스 밴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매트릭스 밴드는 인접면 변연의 적합성과 이에 의한 미세 누출의 감소, 타액에 대한 방습 효과 및 마무리와 연마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등 많은 임상적인 기능을 가진다. 본 증례에서는 복합레진과 교정용 밴드를 이용하여, 유치와 영구치 각각의 인접면 우식의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충전에 있어서 기존의 매트릭스 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1. 우수한 변연 적합성에 의해, 치아 외형의 재현이 용이 하였으며 타액에 대한 방습 효과도 우수하였다. 2 복합레진의 충전이나 중합에 있어서, 교정용 밴드의 견고성에 의해 수복물의 변형이 작다고 판단되었다. 3. 간격 유지 장치 등의 이유로 교정용 밴드의 장착을 많이 시행하고 있는 소아치과 의사의 경우, 타과 전공 치과의사에 비해 비교적 교정용 밴드의 장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하게 선택된 교정용 밴드는 위와 같은 장점들에 의해 수복 치료를 보다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 PDF

문헌정보학에서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연구 I - 설계 모형 적용과 성찰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 Course Developing and Analysis of Self-Reflective Journal)

  • 강지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1-34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강의실 현장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안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시나리오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문제는 분석단계활동(요구분석, PBL 수업적합성 판단,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PBL 운영환경 결정, PBL 수업형태 결정)과 설계단계활동(문제상황설계, 학습자원설계, 문제해결과정촉진설계, 운영전략설계, 평가설계, PBL 운영환경설계)을 통해 도출되었다. 초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1차 문제상황 수업을 진행한 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결과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연구자는 첫번째 PBL 문제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의 방법이 고안/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 상황 수업 후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사항을 수렴한 연구 결과는 교과설계의 2차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PBL 모델 개발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몽골 대학에서 구글크레스룸 적용 사례 적용 (Case study of Google Classroom in Mongolian University)

  • 바야르마;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84-188
    • /
    • 2019
  • 본 논문은 몽골대학에서 구글크레스룸(GC)을 온라인 환경으로 이용하고 각 교수님들이 자기 수업에서 GC을 적용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몽골대학에서 GC의 효율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몽골 D 대학교 14 명의 교수님들이 4주 동안 GC을 활용한 강의 모델을 설계하고 수업을 진행했다. GC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대면 학습보다 효율적인 새로운 학습 기회를 제공했다. GC의 효율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업에 참여한 교수님들로부터 설문 조사를 받은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협동성 100%(7 명 매우 좋음, 7 명 좋음), 능력별 학습100%(10 명 매우 좋음, 4명 좋음), 수업 용이성 100% (11명 매우 좋음, 3 명 좋음), 적합성 100%(8명 매우 좋음, 6명 좋음), 피드백 용이성100% (7명 매우 좋음, 7명 좋음), 연결 용이성 100%(7명 매우 좋음, 7명 좋음), 빠른 속도성 100%(7명 매우 좋음, 7명 좋음), 학습 효율성 100% (9명 매우 좋음, 5명 좋음), 종이 없는 학습성 100%(8명 매우 좋음, 6명 좋음). 이 수업에 참여한 교수님들은 이와 같은 GC이용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기에 몽골대학에서 GC의 적용은 적합하고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 하였다. GC 활용은 전통적인 학습을 깨고, 특히 몽골 교수와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줌으로써 교육 기관의 온라인 학습을 강화하고 개선하는 데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잎화석의 CLAMP 탐구를 통한 고등학교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n High School Based on CLAMP Inquiry of Fossil Leaves)

  • 윤마병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9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와 연계하여 CLAMP(Climate-Leaf Analysis Multivariate Program) 고기후 탐구를 통해 기후변화 교육을 할 수 있는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PDIE 교수 설계 모형에 따라 2015 개정교육과정과 과학 교과서를 분석했고, 전문가 패널과 pilot test를 통해 10차시의 수업자료를 개발했다. STEAM 수업 과정에 따라 상황제시 단계에서는 학교 부근의 광엽수종에서 잎을 수집하여 LMA(Leaf Margin Analysis) 기후 탐구활동으로 학습목표를 제시했다. 창의적 설계 단계에서는 연구 지역의 지질과 화석에 대해 학습했고, CLAMP 입력자료(잎화석의 인상학적 31가지 특성)를 분류하는 실습을 했다. 감성적 체험과 새로운 도전 단계에서는 야외학습으로 화석을 채집하고, CLAMP 방법으로 고기후를 탐구하며 신생대의 기후 변화 경향과 원인에 대해 토의하는 과정에서 기후소양을 함양하게 하였다. 개발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증은 전문가 패널 간의 신뢰도 구축 과정을 통해 모든 항목에서 개발 목적에 적합하다는 평가(CVI .84)를 받았다. 이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 불일치 사항을 보완하고,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예비수업을 실시했다.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4.48이었고, 이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했다.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실천적 지식과 대응 행동 의지를 갖게 하고, 기후소양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