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 crop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별 사탕무우 생육과정에 대한 고찰 (Growing Stage of Sugar Beet at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 손세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9-114
    • /
    • 1968
  • 본시험은 사탕무우 GW 359를 공시하여 고령지인 대관령에 4월 24일, 중부평야지인 수원에 4월 1일, 최남단인 제주도에 6월 21일 파종하여 지역별 생육과정을 조사하였다. 1) 대관령은 7월 15일까지가 초기생육기로 비교적 길고 8월 15일에서 9월 15일까지가 생육최성기로 갈반병의 피해도 적었고 9월 15일 이후가 등열기로 평등엽생활일수가 110일 이내로 지상부 및 근부 생육곡선이 정상적이나 초기생육기간을 단축하고 등열기로 기온급강을 해소할 수 있는 조열품종의 도입 및 육성이 필요하다. 2) 수원은 생육최성기까지의 지상부 생육은 양호하나 7월말부터 갈반병이 발생하여 엽위 25∼35까지의 엽은 대부분 고사하였다가 10월초부터 재생하므로 이로 인하여 근중당분도 하강하다가 10월중순에 다시 상승하였다. 근중은 이와는 달리 7월부터 수확기까지 계속 증가하나 비정상적인 생육곡선을 보이고 있어 재배 부적지로 본다. 3) 제주는 초기생육기가 8월말까지로 대관령에 비하여 약 15일 단축되며 생육최성기는 9월초부터 10말까지로 보며 11월초부터는 비교적 장기간의 등열기에 속하므로써 당분축적에 유리하며 전반적인 생육곡선이 정상적이나 추동작재배시의 내추태성품종의 도입과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4) 이상의 종합적인 성적으로 보아 수원은 사탕무우재배에 많은 기상적 장해가 있으나 대관령과 같은 해발 600∼800m의 지역에는 춘작형, 제주도는 추동작형으로서 경제적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 PDF

느타리버섯 배지의 당첨가에 따른 자실체의 당성분함량 변화 (Change of the saccharide content of fruit bodies by the addition of saccharides on oyster mushroom substrate)

  • 전창성;이서경;임훈태;박혜성;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16-223
    • /
    • 2012
  • 느타리버섯은 우리나라 국민에 기호성이 매우 높으며, 가장 많이 생산 소비되는 대표적인 버섯이다. 소비적 측면에서의 영양학적 가치 증진과 생리대사적인 측면에서의 흡수기작에 대한 특성을 확인하기위하여 배지내 당첨가에 따른 자실체의 당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톱밥 배지에 4종의 당을 첨가한 배지에 수한1호, 여름느타리, 춘추2호를 재배하여 자실체를 분석한 결과 단당류로는 Fructose, Glucose, Ribose, Xylose, 이당류는 ${\alpha}$-Lactose, Trehalose, 당알콜류는 Glycerol, Mannitol, myo-Inositol, Sorbitol의 성분이 검출 되었다. 모든 처리에서 발견되는 성분으로는 Trehalose, Mannitol, ${\alpha}$-Lactose, Fructose, Glucose, Ribose, myo-Inositol 등이며, 나머지 성분은 일부 처리에서만 발견되고, 많은 함량의 순서는 품종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었다. 자실체 내의 단당류는 함량 자체가 낮고, 공시품종 중에서 수한1호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약간 높았다. 처리된 당종류 및 처리함량의 증가에 따라 자실체의 성분함량이 뚜렷이 증감되는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배지에 처리된 성분중 Lactose는 처리량의 증가에 따라 모든 품종에서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자실체의 Trehalose 함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배지의 첨가량에 따른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자실체 내의 당알코홀류는 수한과 춘추2호에서는 높은 편이나 여름느타리버섯에서는 낮아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자실체의 Mannitol 함량은 배지의 당첨가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며, myo-Inositol은 수한과 춘추2호에서 처리량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여름느타리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확인 할 수 없었다. 배지에 처리한 당류중에 처리량 증가에 따라 자실체의 함량이 품종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것은 ${\alpha}$-Lactose 뿐이었으며, 자실체에서 발견되는 성분들은 배지성분의 흡수보다는 자실체 내의 대사기작 내에서 합성 또는 전환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더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fluences of Addition of Sugar with or without L. buchneri on Fermenta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 Crop Maize Silage Ensiled in Air-stress Silos

  • Guan, Wu-Tai;Driehuis, F.;Van Wikselaar,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2호
    • /
    • pp.1738-1742
    • /
    • 2003
  • The whole plant of crop maize was chopped and ensiled in double-layered polyethylene bag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residual sugar on the fermentation of lactic acid and aerobic stability by L. buchneri in whole crop maize silage made in airstress condition. There were a total of six treatments used in this experiment as follow: added 25 g de-mineralised water per kg chopped maize serving as control (con), 37.5 g glucose solution containing 12.5 g glucose ($g_1$), 75 g glucose solution containing 25 g glucose ($g_2$), 25 g, L,.buchneri suspension intended for $10^6$ cfu $g^{-1}$ (L.b.), $g_1$+L.b. and $g_2$+L.b. All silos were opened at day 91 after ensiling for measuring the pH values, microbiological enumeration, fermentative products and aerobic stability. The dry matter loss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due to inclusion of sugar or L. buchneri. The lower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p<0.01) in silages inoculated with L. buchneri only or in combination with sugar addition than the correspondent uninoculated silages. Compared with control silage, ethanol production was about 3 or 6-fold higher due to addition 12.5 or 25 g glucose per kg chopped maize at ensiling. The silages added with sugar contained less acetic acid concentration (p<0.01) than control, but silages inoculated with L. buchneri showed the contrary effects (p<0.01) at different sugar levels. No butyric acid was found in uninoculated silages, silages inoculated with L. buchneri. producted more propionic acid, 1-propanol and butyric acid. Lactic acid bacteria counts increased markedly (p<0.01) due to inoculation with L. buchneri, whereas it was reduced (p<0.01) by added suga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ount of yeast, but inoculation with L. buchneri shows a decreasing trend. Mould count in all silages was less than 2 (log cfu $g^{-1}$). The added sugar had negative effects on aerobic stability of maize silage made under air-stress conditions, whereas inoculation with L. buchneri improves (p<0.01) the aerobic stability.

국산 밀 품종 및 제분율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Makgeolli Made from Different Cultivars and Milling Rates)

  • 심은영;이석기;우관식;김현주;강천식;김시주;오세관;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77-784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산 밀 품종에 따른 제분율 별로 밀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원료곡의 탄수화물은 70% 제분율의 금강밀, 백중밀이 78.37, 78.16%로 가장 높았다. 밀의 품종 및 제분율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검정한 결과, 가용성 고형분 함량, 환원당, 알코올은 각각 $10.94{\sim}12.33^{\circ}Brix$, 2.89~4.71%, 14~15.97% 범위를 나타냈으며 백중밀 70% 제분율에서 알코올 15.97%, 환원당 4.71%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밀 막걸리의 glucose 함량은 159.4~560.7 mg%의 범위를 보이며 원료 밀 대비 상당량 증가하였고 그 외 mannitol과 arabinose도 존재하였다. 밀 막걸리의 유기산 분석에서, 유산균에 의한 대사산물인 lactic acid는 85.3~650.3 mg%의 분포를 나타내며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제분율 증가에 따라 그 함량도 증가하였고 제분율별 품종 비교에서는 조경밀이 가장 높았다. 밀 막걸리의 품질 관련인자의 상관성 분석에서는 원료곡의 단백질 함량은 밀 막걸리의 총산, 환원당과 부의 상관을 보였고(p<0.001), 원료곡의 탄수화물 함량은 밀 막걸리의 총산, 환원당(p<0.001) 및 알코올 함량(p<0.05)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알코올, 환원당 함량과 정의상관을, pH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밀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 비교 시 70, 85% 제분율에서 품종과 제분율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85% 밀가루도 막걸리용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품종과 제분율에 따라 함유하는 유리당과 유기산 등 여러 가지 품질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원료의 선택이 필요할 것이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덖음 모시풀잎 가루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added Dukeum (pan-fired) Ramie Leaf (Boehmeria nivea)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유진;우관식;정헌상;김운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10-819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muffins with added dukeum ramie leaf powder and to compare them to a control. We used two different optimal composition ratios to produce muffins.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s were varied by changing the ratio of dukeum ramie leaf powder, butter, and sugar to identify a critical value using response surface regression analysis. The ranges for the added dukeum ramie leaf powder, sugar, and butter were 15-35, 60-100, and 60-100 g, respectively. Muffins with added dukeum ramie leaves had comparable mineral and antioxidant vitamin compositions to those of dried ramie leaves. Muffins with added dukeum ramie leaf powder satisfied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showing a p-value within 5% of significance level (p<0.05) for every aspect Volume and height differed without any association to ingredients. Lightness increased when less dukeum ramie leaf powder was added with more butter and sugar, redness increased when more dukeum ramie leaf powder and sugar were added with 70-80 g of butter, whereas yellowness increased when less dukeum ramie powder was added. Texture and toughness increased when less dukeum ramie leaf powder was added. The degree of gumminess and chewiness depended hugely on the amount of sugar. Cohesiveness, decreased with more dukeum ramie leaf powder and butter, whereas hardness increased with a medium range of ingredients. Sensory character increased with less dukeum ramie powder, and overall quality increased with more butter and sugar, but depended on the amount of added dukeum ramie power. The critical values from the sensory characteristics showed that 27 g of dukeum ramie powder, 72 g of sugar, and 86 g of butter was optimum.

Early Growth, Carbohydrate and Phytic Acid Contents of Germinating Rice Seeds under NaCl Stress

  • Park So-Hyeon;Sung Jwa-Kyung;Lee Su-Yeon;Park Jae-Hong;Lee Ju-Young;Jang Byoung-Choon;Lee Ki-Sang;Song Beom-Heon;Kim Tae-Wa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37-141
    • /
    • 2006
  •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alterations in soluble sugar-starch transition and phytic acid during germination were studied in rice seeds under saline conditions. NaCl significantly reduced the speed of germination. Also, the radicle growth out of seeds was severely inhibited by the exposure to NaCl solution, thus, seeds were almost impossible to grow to seedlings. Soluble sugar was remarkably accumulated, whereas starch was decomposed stepwise during seed germination. The metabolism of soluble sugar and starch in germinating seeds showed a distinct difference. The level of phytic acid in seeds decreased in all NaCl treatments during germination, but the level was affected differently by NaCl concentration in the two varietie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salt stress retard the radicle growth of rice seeds, and affect the starch-to-sugar conversion and the decomposition of phytic acid differently in two varieties.

구기자생과를 이용한 구기자청 제조시 당첨가량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dded Sugar Ratio on Gugija-Sugar Leaching by Using Gugija (Lycii fructus) Raw Fruit)

  • 이가순;김관후;김현호;이희철;백승우;이석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44-751
    • /
    • 2008
  • 생구기자를 수확 후 건조하지 않고 바로 가공용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데치기 처리 유무에 따라 저온($5^{\circ}C$)에서 5개월간 당침 숙성하여 구기자청을 만든 후, 첨가당량에 따른 구기자청 제조 시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에서 구기자에 대하여 첨가당량이 80%일 때, 77.5%의 회수율로 가장 높았다. 색도에서는 당첨 가량이 많을수록 L값(밝기)이 증가하였으며 pH는 첨가당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총산도는 첨가당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생구기자 장명의 주된 유기산은 tartar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로 각각 0.63, 0.57, 0.54 및 0.3%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구기자청 제조 시 당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itric acid와 succinic acid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tartaric acid와 mal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특히 malic acid가 눈에 띄게 증가하여 UPRGSL-4(당 80% 첨가 구기자청)에서 가장 높았다. 폴리페놀성 물질과 베타인 함량은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에서는 당첨가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사용된 생구기자량과 비교해보면 거의 같은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데치기 처리를 행한 구기자청은 당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베타인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80%와 100% 당첨가 청액에서는 정량되지 않았다. 생구기자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15종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serine으로 218.1 mg/100 g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이 601.6 mg/100 g이었다. 데치기 처리를 한 구기자청(PRGSL-4)은 총 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지 않아 총량이 383.3 mg/100 g으로 약 반량이 감소되었고,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UPRGSL-4)은 17종 모두 검량되었고 생구기자보다 약간 높은 함량을 보여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이 705.7 mg/100 g이었다.

식물 품종 및 종자의 품질평가 기준에 대한 규정현황 (Legal Aspects for Quality Evaluation Standard of Plant Variety and Seed)

  • 최근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200-215
    • /
    • 2002
  • There are som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organization control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eties and seeds such as UPOV, OECD, ISTA, AOSA. The National List system to check variety performance such as quality characteristics of plant varieties and seeds was established by each countries. The UPOV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 regulates the requirement of plant variety protection that is distinctness (D), uniformity (U), stability (S) (here in after called DUS), Novelty and Denomination, and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are used to examine the requirement of plant variety protection by each crops.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Development) seed scheme regulates the seed certification for seed trade between countries. ISTA (International Seed Testing Association) and AOSA(Association for Official Seed Analyst) regulates the seed analysis standard and methods. Most of the countries in Europe has the National List system, which check the value for cultivation and use(VCU), that is to say, variety performance such as yield, quality and stress to environment. All the seeds should be enlisted in the National List before sell the seed in their country. All the quality characteristics checked variety performance are for instance, amylose and amylopectin content in rice, molting quality, $\beta$-glucan, protein in barley, protein and sugar content in soybean, sugar and amylopectin content in corn etc. Conditions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y of plant are DUS. Quality characteristics may b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and used to check DUS in crop by crop.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new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 standard method fur examine the VCU and DUS test for each cr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