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 alcohol

검색결과 607건 처리시간 0.031초

주정의존 환자에서 초발연령에 따른 ${\beta}$-Endorphin의 반응 (The Relation of Onset-Age and ${\beta}$-Endorphin Levels in Alcohol Dependence)

  • 정희연;박인준;김진만;진혁희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107-113
    • /
    • 1998
  • 정상대조군 29명 및 남자 주정의존 환자 48명을 발병연령에 따라 분류하여 입원 7일 후 오전 9시에 알코올 0.75gm/kg을 투여하기 전후의 혈중 ${\beta}$-endorphin농도, alcohol농도, cortisol농도, 그리고 혈당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5세 이전과 25세 이후에 발병한 환자군의 비율은 약 2 : 3이었다. 2) 25세 이전과 25세 이후에 발병한 두 환자군간에 입원 당시의 연령은 차이가 없었다. 3) 25세 이전과 25세 이후에 발병한 두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에서 알코올 투여 후 혈중 알코올의 농도변화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4) 25세 이전과 25세 이후에 발병한 두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에서 알코올 투여 후 혈중 ${\beta}$-endorphin의 농도변화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5) 25세 이전과 25세 이후에 발병한 두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에서 알코올 투여 후 혈중 cortisol의 농도변화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6) 25세 이전과 25세 이후에 발병한 두 환자군에서 알코올 투여 후 혈당변화는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주정의존 환자에서 가족력 유무에 따른 ${\beta}$-endorphine의 반응 (The Relation of Family History and ${\beta}$-Endorphin Levels in Alcohol Dependence)

  • 정희연;박인준;권영준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102-106
    • /
    • 1998
  • 주정의존에 기여하는 여러 원인 중의 하나로 알려진 ${\beta}$-endorphin의 작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가족력 유무에 따라 남자 주정의존 환자 48명의 기본 혈중 alcohol 농도, ${\beta}$-endorphin 농도, cortisol 농도 및 혈당과 알코올 투여 후 각각의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가족력이 있는 주정의존 환자군과 가족력이 없는 환자군과의 비율은 약 2 : 1이었다. 2) 입원 당시의 나이는 가족력이 있는 주정의존 환자군이 가족력이 없는 환자군의 나이보다 적었다. 3)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과 없는 환자군, 그리고 정상대조군에서 알코올 투여 후 혈중 알코올의 농도변화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4)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과 없는 환자군, 그리고 정상대조군에서 알코올 투여 후 혈중 ${\beta}$-endorphin의 농도변화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5)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과 없는 환자군, 그리고 정상대조군에서 알코올 투여 후 혈중 cortisol의 농도변화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6)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과 없는 환자군에서 알코올 투여 후 혈당변화는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국산 시판 화이트 와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White Wines)

  • 윤향식;박정미;박혜진;정창원;최원일;박재호;김시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8-546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white wines. Four sample win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H, total acidity, volatile acidity, alcohol content, soluble solid, free $SO_2$, total $SO_2$, color, free sugar content, organic acid, volatile compounds,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pH of wines ranged from 3.06 to 3.76 and their total acidity from 0.43 to 0.83% (v/v). The alcohol content of samples ranged from 9.4 to 12.8% (v/v) and their soluble solid contents from 9.9 to $12.3^{\circ}Brix$. The free $SO_2$ and total $SO_2$ contents of the W1 win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wines, while the color intensity, a (redness) and b (yellowness) of W1 wine were higher than the values of the other wines. The malic acid contents of the four wines indicated that complete malolactic fermentation (MLF) occurred in W1, incomplete MLF in W3, and was absent in W2 and W4. Aroma analysis resulted in identification of 10 alcohols, 11 esters, 2 ketones and 6 miscellaneous compounds. 2,3-Epoxybutane and 1-(ethenyloxy)-pentane levels in were significantly higher W1 than the other wines, while several types of ester predominated in W2, W3 and W4. W1 had the lowest sensory score among the four wines. Therefo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hite wines are considered to be acceptable.

국균(麴菌)이 고추장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spergillus oryzae Strains on Quality of KOCHUJANG)

  • 박창희;박윤중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24
    • /
    • 1984
  •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our strains belonging to Aspergillus oryzae on the quality of Kochujang. In the Koji and Kochujang making,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enzyme production of each strain, the change of each component and color during the aging, and tested the sensory tast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rotease activity (acid, neutral) in wheat flour Koji was high in the case of Aspergillus $oryzae-S_1$ and Aspergillus oryzae - M of short stalked type. The strain Aspergillus $oryzae-S_1$ showed maximum activity after two days of Koji making, while the strain Aspergillus oryzae - M showed low activity till two days, but showed maximum activity after three days-four days of Koji making. 2. In $\alpha$-amylase activity, strain Aspergillus $oryzae-S_1$, Aspergillus $oryzae-S_2$ and Aspergillus oryzae - M showed high activity after two days of Koji making. Aspergillus oryzae-NB strain showed slower ${\alpha}$ - amylase activity than that strains. 3. In glucoamylase activity, all strain tested showed high activity after three days of Koji making, but st rain Aspergillus oryzae - NB showed slower activity than ot - hers. 4. In protease activity (acid, neutral) during the aging of Kochujang, strain Aspergillus $oryzae-S_1$ and Aspergillus oryzae - M of short stalked type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long stalked type. 5. Amino type nitrogen contents during the aging of Kochujang was very higher in the case of strains Aspergillus $oryzae-S_1$ and Aspergillus oryzae - M of short stalked type than other strains, and each contents was 315mg% and 337mg% after aged for ninty days. 6. The results that analysed free sugar of Kochujang aged for ninty days with HPLC were; glucose 5.84~7.13%, fructose 4.13~5.00%, rhamnose 0.91~1.04%, maltose 0.72~0.92% and presence of xylose was recognized. 7. The results that analysed alcohols of Kochujang aged for ninty days with gas chromatography were; ethanol 1.51~1.78%, n-propyl alcohol 1.13~1.20mg%, iso-amyl alcohol 3.5~4.4mg%. 8. In the sensory test of Kochujang aged for sixty days and for ninty days, the case of strains Aspergillus oryzae-M and Aspergillus $oryzae-S_1$ of short stalked type showed good taste, while the case of strains Aspergillus $oryzae-S_2$ and Aspergillus oryzae-NB of long stalked type showed good flavor and color.

  • PDF

단양주 방법으로 제조된 막걸리의 발효과정 중 초고압 처리에 의한 미생물적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ingle-Brewed Makgeolli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during Fermentation)

  • 하수정;양승국;인예원;김윤지;오세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176-1181
    • /
    • 2012
  • 본 연구는 초고압 처리가 발효 중인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초고압은 막걸리 숙성 0일째부터 2일 간격으로 총 6일까지의 시료에 대하여 400 MPa 압력으로 5분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고압 처리로 젖산균은 5~6 log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이후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약 3~6 log cfu/mL 수준으로 출현하였다. 효모도 마찬가지로 5~6 log 수준으로 검출한계 이내로 감소하였지만 숙성완료 시점까지 다시 출현하지는 않았다. 초고압을 처리한 막걸리는 알코올 생성이 정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0일차와 2일차에 처리한 시료는 알코올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초고압 처리는 젖산균을 사멸시켜 pH와 적정산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2일차 초고압 처리 막걸리는 젖산균이 사멸되어 pH가 저하되지 않았으며 또한 적정산도도 낮게 나타났다. 환원당 함량의 경우 0일차 처리구는 효모에 의한 알코올 전환이 일어나지 않아 계속적으로 환원당이 증가하여 6일째 8.99%에 달하였으며 2일차 처리구는 효모가 살균되어 환원당이 알코올로 효율적으로 전환되지 못하여 5.01%를 나타내었다. 초고압을 처리하지 않은 처리구는 1.53%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발효과정 중 막걸리에 대한 초고압 처리는 발효 미생물의 변화를 유발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적 특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막걸리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청주지역 대학생의 에너지 음료에 대한 인식과 섭취 실태 및 섭취 관련 요인 (Awareness and Consumption of Energy Drink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in Cheongju)

  • 김태양;김수민;김지연;임정연;우혜;한영희;현태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0-72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energy drinks, energy drink consumption behavior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536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Cheongju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garding awareness and consumption of energy drinks as well a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eating habits. Results: Approximately half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ey knew what energy drinks were, while 45.7% had heard of energy drinks but did not know what they were. However, 76.9% had experience in using energy drinks. The main reason for using energy drinks was to stay awake, and the main place that they were used was on campus or at the library. More than 70% of energy drink users did not read the caffeine contents of energy drinks. After consuming energy drinks, 31.3% experienced adverse effects, the most serious being sleep disturbance. Approximately 33% of students consumed energy drinks once a month or more frequently, and men consumed energy drinks more frequently than females. Energy drink users who consumed at least one drink each month were more likely to be natural science major or drink more milk for male students, and to have more allowances or consume less meat for female students, compared with non-users. Conclusions: Our study showed that 33% of students consumed at least one energy drink each month, and there were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nsumed energy drinks almost every day or energy drinks mixed with alcohol. Accordingly, college students should be taught potential health hazards of energy drinks mixed with alcohol as well as energy drinks alone. In addition, reading labels about caffeine and sugar contents in energy drinks is encouraged.

다양한 고구마를 이용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akgeolli Manufacture Using Several Sweet Potatoes)

  • 천지은;백무열;최성원;김창남;김병용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34
    • /
    • 2013
  • 국내산 고구마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고구마 막걸리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고구마 막걸리 제조 방법 선정과 믹스쳐 디자인을 이용한 고구마 막걸리의 최적 배합비를 산출하였다. 엿기름 첨가 유무에 따른 혼합당화, 분리당화발효법을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한 결과, 동시당화발효를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최적의 고구마 막걸리 배합비를 구하기 위하여 쌀, 고구마, 물 세 가지 재료 요인으로 mixture design을 이용하여 다양한 배합비를 결정한 후,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고구마 막걸리의 선호도,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통계적 모델링과 분석을 하였고, trace plot 및 contour plot을 이용하여 각 재료의 함량이 반응값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의해 예측된 고구마 막걸리의 최적 배합비는 15.11(쌀) : 44.89(고구마) : 40(물)이었으며, 이 배합비에 따른 반응값의 예상치는 선호도 6.17, 총 폴리페놀 함량이 414.95 mg GAE/${\ell}$,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8.02%로 예측되었다. 최적배합비를 바탕으로 일반고구마, 호박고구마, 자색고구마를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한 결과, 호박고구마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이 5.8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자색고구마 막걸리>호박고구마 막걸리>일반고구마 막걸리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포도당, 젖산 및 에탄올의 동시 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개발 (Development of Biosensor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lucose, Lactic Acid and Ethanol)

  • 김정호;이동희;김태진;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2-34
    • /
    • 1998
  • 고정화효소와 산소전극 시스템을 이용한 효소센서를 제작하여 식품 중의 당, 유기산, 알코올 성분을 동시 측정 하였다. 효소가 기질과 반응하여 소비한 산소의 변화량이 전압차이로 나타나므로 시간당 전압 감소량이 최대인 값으로부터 각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1분내에 최대기울기를 구할 수 있어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였다. 효소의 고정화 지지체로는 nylon cloth를 사용하였고, asymmetrical coupling 방법에 의하여 기질 작용 순으로 위치하도록 효소를 고정화하였다. 한 개의 양극과 6개의 음극으로 제작된 multiple cathode system으로 포도당, 젖산, 에탄올 성분을 동시 측정할 수 있는 효소 센서를 제작하였다. 위의 센서 제작을 위하여 mutarotase과 glucose oxidase/lactate oxidase/alcohol oxidase와 catalase가 각기 사용되었다. 이들 효소센서의 최적조건은 $pH\;7.0,\;40^{\circ}C$의 0.1 M 인산완충용액이었으며 각 효소 센서의 방해물질을 알아 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당과 각종 유기산, 알콜류에 대한 효소 감응도를 살펴 본 결과 포도당 센서에서 유기산의 영향을 제외하고는 10% 내외였다. 따라서 포도당과 유기산을 동시 측정하기 위하여 포도당/젖산의 영향을 고려한 적절한 보정관계식을 도입하여 순수한 유리당과 유기산의 값을 측정할 수 있었다. 제작된 효소센서의 검증을 위하여 분광광도법. HPLC, GC를 이용한 결과, 분석방법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아울러 각 효소센서의 안정성을 살펴본 결과 알코올 센서를 제외하고는 30일 이후에도 80%이상 효소감응도가 유지되었다.

  • PDF

포도품종을 달리한 적포도주의 이화학적 성분변화 (I)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with Different Grape Varieties)

  • 이장은;원유동;김성수;고경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1-156
    • /
    • 2002
  • 국내산 포도품종을 이용하여 5가지 포도주 G(거봉 100%), M(머루 100%), C(캠벨 100%), GM(거봉 70%+캠벨 30%), GC(거봉 70%+캠벨 30%)를 제조하여, 발효 과정 및 저장 중 포도주의 이화학성분 및 효모 생균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발효과정 중 pH의 변화는 $3.21{\sim}3.6$ 사이의 값을 보였으며 총산도는 $3.2{\sim}4.6g/L$, 당도는 $17.9{\sim}6.0^{\circ}brix$를 나타내었다. 효모 생균수의 변화는 초기 $6.0{\times}10^6\;cfu/mL$, 발효가 최고에 이르렀을 때 $1.0{\times}10^8\;cfu/mL$, 발효 후기에 $7.0{\times}10^5\;cfu/mL$를 보였다. 알콜 발효 중 포도당과 과당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여 발효가 끝난 후에는 0.2g/L의 함량을 보였다. 발효가 끝난 후 알코올은 $11.4{\sim}12.3%(v/v)$의 함량을 보였으며, 당도는 $6.0{\sim}6.5^{\circ}Brix,\; SO_2$ 함량은 $40{\sim}62\;mg/L$를 가졌다. 발효 중 말로-락틱 발효에 의해 사과산은 감소하였고, 젖산은 증가하여, 각각 G는 23%, M은 67%, C는 28%, GM는 33%, GC는 39%의 전환율을 보였다. pH, 총산도, $SO_2$, 젖산 함량은 각 품종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흑마늘의 첨가량과 초기 알코올 농도를 달리한 발효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black garlic and alcohol)

  • 서원택;최명효;심혜진;김경화;신연미;강민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41
    • /
    • 2016
  • 흑마늘에 가수량을 달리하여 3, 6, 9 및 12배가 되도록하여 알코올 발효시켜 초기 알코올 농도를(6~12%)로 달리한 흑마늘 식초를 25일간 초산발효 시키면서 발효과정 중 품질특성 분석을 위해 관련인자를 분석하였다. pH는 발효 중 점차 감소하여 25일 후에 3.85~4.46였고, 당도는 발효 9일 후에 $12.00{\sim}13.50^{\circ}Brix$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다시 감소하여 발효초기와 유사한 범위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발효 0일차에 19.67~50.46 mg/100 mL이던 것이 최종 25일에는 20.65~52.04 mg/100 mL의 범위로 미량 증가 하였다. 최종 숙성 완료된 흑마늘 식초에서 페놀화합물을 확인 동정한 결과 pyrogallol과 vani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흑마늘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함량이 더 높았다. S-allyl cysteine(SAC) 함량은 6배 이상으로 가수희석된 흑마늘 식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흑마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그 함량이 높았는데 발효 기간에 따른 함량의 차이는 적었다. 유기산은 총 5종이 검출되었는데, 검출된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아 발효가 완료된 25일차 시료에서 4,208.90~5,570.29 mg/100 mL이었고 유기산의 총량은 5,327.34~6,307.64 mg/100 mL의 범위였다. 발효 25일 후 흑마늘 식초의 무기물 함량은 K이 366.23~1619.67 mg/L로 가장 높았고, 흑마늘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총 함량이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