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ffocation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5초

선박 내 CO2 소화설비에 의한 질식사고 방지 기법 (Method for Preventing Asphyxiation Accidents by a CO2 Extinguishing System on a Ship)

  • 하연철;서정관;황준호;임기창;류상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57-64
    • /
    • 2015
  • 육상 및 해상에서 일어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가스계 소화설비 중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우수한 성능 및 높은 경제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고농도 이산화탄소로 인한 질식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안전문제가 항상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선박 내 압축기실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화재 진압 특성을 예측하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로 인한 질식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2중 안전 제어기법을 제시하여,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안전을 도모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로는 4가지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화재발생 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작동으로 인한 열발생률 변화, 온도변화, 이산화탄소 농도변화, 산소 농도변화 및 화재진압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방호구역 내 환기팬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의 위험성 및 적절한 환기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전로사고 예방을 위한 인적오류 분석 (A Case Study on the Human Error Analysis for the Prevention of Converter Furnace Accidents)

  • 신운철;권준혁;박재희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5-200
    • /
    • 2014
  • Occupational fatal injury rate per 10,000 population of Korea is still higher among the OECD member countries. To prevent fatal injuries, the causes of accidents including human error should be analyzed and then appropriate counter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There was an severe converter furnace accident resulting in five people death by chocking in 2013. Although the accident type of the furnace accident was suffocation, many safety problems were included before reaching the death of suffocation. If the safety problems are reviewed throughly, the alternative measures based on the review would be very useful in preventing similar accid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nverter furnace accident by using human error analysis and accident scenario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ccident was caused by some human errors, inappropriate task sequence and lack of control in coordinating work by several subordinating companies. From the review of this case,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systematic human error analysis should be included in the investigation of fatal injury accidents. Second, multi man-machine accident scenario analyis is useful in most of coordinating work. Third, the mor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system state will lessen human errors. Fourth, the coordinating control in safety should be performed in the work conducting by several different companies.

선박구조가 승무원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w's Survival ratio according to ship's structure)

  • 김원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23-427
    • /
    • 2010
  • 선박은 충돌로 인한 침수, 화재 등 여러가지 이유로 긴급피난을 감행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선박의 경우 그 구조의 특성상 좁고 미로같은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어 신속한 탈출이 어렵다. 화재에 의한 인명손상의 경우 연기에 의한 질식사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신속한 탈출은 생존율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선박화재시 연기거동과 가시거리 확보 등에 대해 화재 분석 전용프로그램인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이용하여 검토한다. 승무원 피난의 경우는 인간행동특성을 고려한 Pathfinder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존 선박구조에 대한 화재확산과 승무원 피난시간을 검토하고 이와 동시에 변경된 구조가 승무원 피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선박 실내공간에서 화재의 크기 및 위치에 따른 연기거동특성 (Smoke Movement Characteristics in the Ship's Indoor Spaces with Fire Size and Location)

  • 한원희;조대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3-59
    • /
    • 2005
  • 항해 중 발생하는 선박의 화재는 외부로부터 소방 활동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선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더구나 여객선의 경우에는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이고,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더욱 심각하다 화재가 발생하며 연소과정에서 열 뿐만 아니라 많은 연기가 동시에 발생하고 다량의 유독성 연기는 질식사와 같은 인명피해를 가져오게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박의 실내공간에서 화재의 크기 및 위치에 따른 연기거동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화원의 크기를 두가지로 하고 세가지 형태의 화재 위치에 따라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견과 연기 및 열의 확산 특성은 모서리형 화재에서 가장 가파른 상승 곡선을 보였다.

  • PDF

가스계 소화설비 오작동으로 인한 질식사고의 피해영향 평가 (A Study on Damage Effects Assessment for Asphyxiation Accident due to Malfunction of Gas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 김의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6-43
    • /
    • 2020
  • 가스계 소화설비는 경제적으로 매우 유용한 설비이지만 설비를 갖춘 후 장기간 미사용될 경우 용기부식으로 인한 파열 현상과 설비 시스템 작동 오류 등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큰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하지만 소화설비 특성 상, 설비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 불가하여 파열 및 오작동으로 인해 밀폐공간 내에 가스가 일시적으로 방출되면 가스질식으로 인한 큰 인명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가스계 소화설비작동 오류로 인한 질식 사망 사고를 바탕으로 사고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사고가 발생한 현장에 대해 3D 스캐너와 FLACS를 활용하여 설비 오류로 인한 이산화탄소 가스의 유입경로와 이로 인한 사망 가능성 및 사망에 이르는 시간 등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질식사고로 인한 정확한 피해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선박 실내공간에서 화재의 크기 및 위치에 따른 연기거동특성 (Smoke Movement Characteristics in the Ship's Indoor Spaces with Fire Size and Location)

  • 한원희;조대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67-173
    • /
    • 2005
  • 항해 중 발생하는 선박의 화재는 외부로부터 소방 활동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선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더구나 여객선의 경우에는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이고,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 질수 있으므로 더욱 심각하다. 화재가 발생하면 연소과정에서 열 뿐만 아니라 많은 연기가 동시에 발생하고 다량의 유독성 연기는 질식사와 같은 인명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박의 실내공간에서 화재의 크기 및 위치에 따른 연기거동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화원의 크기를 두가지로 하고 세가지 형태의 화재위치에 따라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연기 및 열의 확산 특성은 모서리형 화재에서 가장 가파른 상승 곡선을 보였다.

  • PDF

안전모 장착용 가스 누출 경보 IoT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s Leakage Alarm IoT System for Safety Helmet)

  • 주용민;이효승;오재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411-1416
    • /
    • 2018
  • 현재 화학, 제조, 조선, 철강 등 대부분의 공업 지역에서는 가스와 관련된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담당자의 경우 가스 누출 등의 사고를 인지하지 못하고 질식하는 등의 위험을 안고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 예로 2015년 파주에서 질소 가스가 누출돼 2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을 당하였고 2018년에는 포항에서 4명의 근로자가 질소가스에 질식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현장 작업자가 필수로 착용하여야 하는 안전모에 가스 센서와 통신모듈 등으로 구성된 IoT 장치를 장착하여 작업자가 가스의 누출을 즉각적으로 인지함과 동시에 안전담당자에게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 가스 누출에 대한 인명사고를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Development of an equipment preventing overheated in a car using the solar cell

  • Han, Jong-Soo;Seo, Chang-Ju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938-941
    • /
    • 2003
  • In this paper we develop an equipment which prevents vehicles from overheating their inside due to exposure to direct sunlight in summer. Overheating of inside vehicle may give rise to accidents, for instances, dying from suffocation, the deformation of its internal equipment and the explosion from the cracks of its internal parts etc.. The equipment is operated under no starting engine. We adjust the overheating of the inside vehicle by operating the equipment. This equipment checks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vehicle using temperature sensor. If the temperature increases more than reference temperature(a condition which can be given by the driver), the equipment will operate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decreases to the given temperature. Its power is obtained from solar cell. So the equipment keeps away overheating accidents as well as provides the drivers with optimized condition. And also it increases the ability of original car battery through solar cell.

  • PDF

제품 검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repeat check system for product)

  • 최영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56-161
    • /
    • 2013
  • 가스 밸브 제어기는 사용자의 취급부주의에 의해 폭발, 화재 및 질식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사용 시간을 설정하여 가스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가스 밸브는 각 수용가에서 한 번 설치를 하면 특별한 사안이 없는 한 교체하지 않는 품목 중의 하나로서, 설치 이전에 충분한 시험이 필요한 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스 밸브 제어기를 사용 횟수를 설정하여 시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석면 해체제거 보양작업에서 JSA 및 Checklist 적용 (Application of JSA and Checklist in Asbestos Sealing)

  • 조규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61-66
    • /
    • 2020
  • As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are getting older, asbestos deconstruction works are increasing. As a result, accident risks such as falls, cuts, electric shocks, and suffocation are increasing. Existing studies are mostly about health management and institutional policy research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work risk. So workplace risk assessments that are easily applicable in the field are required to be applied. Sealing is the first process of asbestos deconstruction and is the first step to ensure worker's safety. Job Safety Analysis(JSA) and Checklist were us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nd to calculate the level of the risk. By comparing the two risk assessment tools, it was figured out that the JSA is appropriate for the initial process and change of work procedure while Checklist is appropriate for repetitive work. Because the sealing process is sort and simple, it is unlikely to cause serious injury. But since the risk of falling and cuts are exist, safety education and supervision are necessary to maintain a safe work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