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rose concentration

검색결과 741건 처리시간 0.025초

식물세포배양에서 당과 식물세포의 농도가 hGM-CSF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crose and Inoculum Size on the Production of hGM-CSF from Plant Cell Culture)

  • 이재화;김난선;권태호;박승문;장용석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76-38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hGM-CSF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한 담배의 callus를 현탁배양하여 hGM-CSF를 생산할 때에 배양 초기의 세포접종농도와 sucrose의 농도가 hGM-CSF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 50, 80, 110 g/L의 초기세포접종농도와 30, 60, 90 g/L의 당의 농도를 서로 조합하여 배양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의 hGM-CSF 생산량은 배양 7일 이후부터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모든 세포접종농도에서 당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hGM-CSF의 생산이 촉진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서로 다른 당과 세포접종농도의 조합에 따라서 hGM-CSF의 생산량은 현저한 차이를 보여 식물세포 배양을 이용한 외래단백질의 생산에는 당의 농도와 배양초기의 세포접종농도에 크게 영향 받음을 확인하였으며, 최대의 hGM-CSF 생산을 보인 조건은 90 g/L의 당과 110 g/L의 초기세포접종농도로서 약 720 $\mu\textrm{g}$/L의 hGM-CSF를 생산하였다.

  • PDF

난백의 열감수성에 관한 연구 III. 난백의 농도와 당류의 첨가가 난백의 열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Heat Sensitivity of Egg Albumen III. Effects of Egg Albumen Concentration and Addition of Sugars on Heat Sensitivity of Egg Albumen)

  • 유익종;김기성;송계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3-28
    • /
    • 1989
  • 난백단백질의 농도와 당류의 첨가 수준이 난백의 열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며 가열처리.($60^{\circ}C$, 5분간) 전후 난백의 기능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백단백질의 농도 8.3%까지는 가열처리 전후 난백의 탁도가 감소하였으나 희석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3.32% 이하에서는 다시 감소하였다. 가열처리 전후 난백의 기포력은 단백질 농도 8.3%에서 가장 높았으며 희석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고 기포안정성은 단백질 농도가 희석됨에 따라 점차 저하하였다. 난백에 sucrose를 첨가할 경우 탁도의 변화가 없었으나 가열처리의 경우에는 sucrose의 첨가량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기포력은 sucrose 5%이상 첨가 시 감소하였으며 가열처리의 경우에는 sucrose 2.5%이상 첨가 시 점차 감소하였다. 기포안정성은 sucrose를 5%이상 진가할 경우 점차 증가하였으나 가열처리한 경우에는 sucrose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Glucose의 첨가량에 따라서는 탁도가 높아졌으며 가열처리 시에는 변화가 없었다. 기포력은 Glucose의 첨가량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가열처리의 경우에는 5%이상 첨가 시 다소 감소하였다. 기포안정성은 가열처리 전후 glucose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sucrose의 첨가시 보다 크게 증가되었다.

  • PDF

Dextransucrase에 의한 Dextran 생성기작에 관한 연구 (Mechanism of Dextran Synthesis by Dextransucrase)

  • 윤명희;구윤모
    • KSBB Journal
    • /
    • 제9권1호
    • /
    • pp.1-7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dextransucrase의 효소반응에 의한 dextran 생성기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Dextransucrase에 의한 dextran 생성은 초기당농도 50~150g/$\ell$에 대하여 수행하였고 생성된 dextran은 GPC를 사용하여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실험한 surcrose 농도범위에서는 surcrose가 primer로 작용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surcrose 농도가 50~100g/$\ell$의 범위에서 확산에의한 surcrose의 물질전달 제약에 의한 중합속도의 감소로 먼저 중간분자량 dextran이 생성되었다가 고분자량 dextran이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urcrose 농도가 100~150g/$\ell$로 증가하면서 중간분자량 dextran 생성기작은 라디칼 중합반응을 따르나 낮은 surcrose 농도에서는 물질전달 제약에 의하여 중합반응속도가 감소되어 중간분자량의 dextran을 생성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장점배양에 의한 우량마늘 체계적 증식 II 기내 인경 비대에 미치는 질소 및 Sucrose의 영향 (Systematic Propagation of High Quality Garlic (Allium sativum L.) Through Shoot Apical Meristem Culture II. Effects of Sucrose Concentration and Nitrogen Source on In Vitro formation of Bulblets)

  • Lee, Eun-Mo;Lee, Young-Bok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3-200
    • /
    • 1994
  • 마늘 생장점 배양을 통한 효율적인 우량종구 증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기내배양시 유식물체 분화 및 기내인경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식물체 분화는 sucrose 및 질소 공급형태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유식물체의 생장은 NO$_3$-N 공급시 저조하고, NH$_4$-N 및 NH$_4$+ NO$_3$ 공급형태에서 양호하였으며 특히 2차 계대배양시 질소형태를 바꾸워 공급할 경우 더욱 촉진되었다. 기내인경 비대는 NH$_4$-N를 공급하였을 때와 고농도의 Sucrose을 첨가하였을 때 촉진되었으며, 특히 유식물체에 저온처리를 하면 그 효과가 더 상승되었다. 기내배양에서 마늘의 생장에 이용되는 질소형태는 NH$_4$-N 이며, NO$_3$-N을 공급하면 흡수가 거의 되지 않고, $K^{+}$흡수도 저조하였다. Ethylene의 발생은 질소 공급 형태와 관계없이 8% sucrose 고농도에서 더 많이 발생되었다.

  • PDF

In Vitro Sugar Accumulation in Juice Sacs of 'Shiranuhi' Mandarin

  • Moon, Doo-Gyung;Han, Sung-Gap;Joa, Jae-Ho;Kim, Chun-Hwan;Seong, Ki-Cheol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269-274
    • /
    • 2013
  •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sugar accumulation in 'Shiranuhi' mandarin [(C. unshiu ${\times}$ C. sinensis) ${\times}$ C. reticulate], we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sugar uptake in juice sacs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in vitro. Data was also collected on the change in weight and shape of the in vitro juice sacs over time. Soluble solids content, sugar content and acidity content were highest at 20%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solution content; while fructose content was highest at 5% sucrose concentration. Furthermore, the juice sac's fresh weight was highest at 5% sucrose and lowest at 20% fructose content. The shape of the juice sacs also differed in different sugar concentration and type. Overall,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content in juice sacs increased with the sugar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gar translocation into juice sacs is actively induced by high sugar concentration in the medium.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sugar and acid accumulation in juice sacs increased with sugar concentration in vitro culture.

동결보호제 및 Sucrose 농도가 급속동결한 마우스 집합배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yoprotectants and sucrose concentrations on the viability of aggregated mouse embryos frozen rapidly in liquid nitrogen vapour)

  • 신상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23-527
    • /
    • 1991
  • The effects of ethylene glycol, DMSO and glycerol as cryoprotectants and the effect of concentrations(0, 0.25, 0.5 and 1.0M) of sucrose in the diluent on the viability of the aggregated morulae frozen rapidly in liquid nitrogen$(LN_2)$ vapour were examined. The morulae were produced by aggregation of ICR and CBA mice embryos at 8-cell stage. Before freezing the embryos were equilibrated in 1.5M cryoprotectants+0.25M sucrose in oae-step or in 3.0M cryoprotectants+0.25M sucrose in two-steps. The embryos were pipetted into the freezing medium fraction of 0.25ml plastic straws. The straws were frozeu by directly transfer into $LN_2$ vapour(about lcm above $LN_2$) for 2 minutes, and then plunged into $LN_2$. After thawing the cryoprotectants were diluted with 0, 0.25, 0.5 or 1.0M sucrose solution. The post-thawed in vitro viability of the aggregated embryos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cryoprotectants in the freezing medium and also on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in the diluent. When the aggregated embryos were equilibrated in 1.5M cryoprotectants +0.25M sucrose in one-step and diluted with 0.5M sucrose after thawing, the survival rate of the embryo5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DMSO(62.5%) or ethylene glycol(52.2%) than in glycerol(33.3 %). In the case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cryoprotectants was raised to 3.0M in two-steps, thc higher survival rate of the embryos was obtained in ethylene glycol or glycerol than in DMSO followed by diluting them with 0.5 or 1.0M sucrose after thawing(p<0.01).

  • PDF

당 종류 및 NaCl과 Sucrose 배합비에 따른 계란찜의 겔 형성 효과 (Effects of Egg Gel Formation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Sugar Sources, NaCl and Sucrose)

  • 김경미;김옥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79
    • /
    • 2008
  • 본 연구는 전란액에 sucrose, maltose syrup, dextrin을 첨가하고 달걀찜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관능검사를 통하여 달걀찜의 최적 NaCl 농도와 sucrose의 농도를 확인한 후 최적 NaCl 농도에서 sucrose 첨가가 달걀찜의 gel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 Sucrose의 첨가량에 따라 전란액과 달걀찜의 L, a, b값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maltose syrup과 dextrin을 첨가한 경우에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전란액과 달걀찜의 L, a, b값이 점점 감소하여 어두운 청록색 빛을 띠었다. 2. 기계적 texture에서는 sucrose 0.8% 첨가했을 때 급격히 쫀득해졌다가 sucrose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다시 연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NF도 역시 sucrose의 0.8 % 첨가했을 때 가장 큰 값을 보이고 있어 가장 탄력이 있는 조직을 나타내는 sucrose 첨가량임을 알 수 있었다. Hardness는 sucrose 첨가 비율이 높아지면서 약간 감소하는 완만한 변화를 주고 있었다. Maltose syrup의 경우,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조직이 물러지고 SF도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hardness는 maltose syrup의 첨가 비율이 증가하면서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F도 낮아져 maltose syrup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조직이 약해지고 무르게 됨을 알 수 있었다. Dextrin을 첨가하지 않은 전란 달걀찜의 SF는 증가했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hardness와 NF는 dextrin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감소하여 조직이 약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달걀액의 점도는 sucrose, maltose syrup, dextrin의 첨가량이 더해질수록 약간의 증가를 보이고 있었다. 4. 관능평가에 참가한 패널들은 0.8% NaCl을 첨가한 달걀찜의 짠맛을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각 NaCl 농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5).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최적 NaCl 농도인 0.8%에 0.3%의 sucrose를 첨가한 달걀찜에서 가장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5. 최적 NaCl 농도0.8%에서 달걀찜의 색도는 sucrose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은 어두워지고 있었으며, 최적 NaCl 0.8%에 sucrose의 첨가량을 달리한 달걀찜의 L, a, b 값이 각 시료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최적 NaCl 농도 0.8%에 0.8% sucrose를 첨가해 제조한 달걀찜의 SF, NF, hardness메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NF에서 sucrose 첨가량을 달리한 시료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부터 최적 NaCl 농도인 0.8%에 0.3%의 sucrose를 첨가해 제조한 달걀찜의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나, 달걀찜 제조의 최적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담배세초현탁배양을 이용한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의 생산에서 배지 성분이 미치는 영향

  • 이기용;이상윤;명현종;노윤숙;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25-328
    • /
    • 2002
  • Sucrose 의 경우 저농도에서는 후반부로 갈수록 세포생장 속도는 현저히 감소하는데 비해 hGM-CSF 생산은 후반부에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고농도 sucros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lag phase가 길어지는 동안에 hGM-CSF의 생산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배양 초기에는 고농도 sucrose가, 배양 후반에는 저농도 sucrose로 존재하는 경우에 hGM-CSF를 많이 얻을 수 있었다. Nitrogen source의 농도는 60.52 mM과 121.04 mM일 때가 세포의 생장이나 hGM-CSF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며, phosphate의 경우에는 4.96 mM 일 때가 대조구인 2.48 mM 일 때보다 hGM-CSF의 생산을 3 배 증가시켰다.

  • PDF

Aureobasidium pullulans에 의한 Mannitol의 생산 (Mannitol Production by Aureobasidium pullulans)

  • 윤종원;이경희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9권2호
    • /
    • pp.140-146
    • /
    • 1994
  • A. pullulans로부터 polyol 생산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탄소원, 수분활성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생산된 polyol 중에서 mannitol이 주성분이었고 소량의 glycerol이 함께 생산되었다. 검토된 탄소원 중 sucrose, glucose, fructose, mannose를 단일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mannitol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20% sucrose 배지에서 polyol 생산량이 최대였고 이때 대당 mannitol의 수율($Yp_{p/s}$)은 0.227이었다 두 종류의 유용한 탄소원인 glucose와 sucrose에 대한 초기기질농도에 대한 $Yp_{p/s}$는 거의 일정한 값을 보여, 일반적인 내삼투성 미생물과는 달리 첨가된 염(NaCl, KCI)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즉 수분활성이 낮은 조건에서는 오히려 mannitol의 생산량이 낮아졌으며, 상대적으로, glycerol의 양은 증가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A. pullulans에 의한 polyol 중, glycer이의 경우는 다른 내삼투성 미생물의 경우와 같이 생산되지만, mannitol의 경우는 sucrose, glucose 등의 유용한 탄소원들의 대사과정 중에 인산화경로(phosphate pathway)과 환원효소작용(enzymatic dehydrogenation)을 통해 생성되는 발효산물 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Continuous Production of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with Feeding of High Concentration of Sucrose

  • Seo Hyung-Phil;Jo Kang-Ik;Son Chang-Woo;Yang Jae-Kyoon;Chung Chung-Han;Nam Soo-Wan;Kim Sung-Koo;Lee Jin-W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74-380
    • /
    • 2006
  • In this study, glucose, sucrose, and dextrin were found to be better carbon sources for the production of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Maximal production of pullulan with 200 g/l sucrose as a carbon source was 54.2 g/l. The highest yield of pullulan from sucrose was 0.40, when the sugar concentration was 100 g/1. Optimal condition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ullulan by A. pullulans HP-2001 in a 7-1 bioreactor were determined by studying the effects of composition of feed solution, dilution rate, and concentration of sucrose in the feed solution. Pullulan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with 100 g/l glucose and 2.5 g/l yeast extract were 38.1 g/l and 0.53 g/l h for 72 h, respectively, in a batch culture of A. pullulans HP-2001. When the substituted medium contained 100 g/l sucrose, 2.5 g/l yeast extract, and mineral salts, which is the same composition as the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pullulan, the pullulan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were 74.9 g/l and 0.55 g/l h for 120 h,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pullulan at the steady state increased with a dilution rate up to 0.015/h, and its concentration was 78.4 g/l with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_w$) of $4.0{\times}10^5$. Unlike a batch culture, however, the decline of the $M_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_n$) of pullulan was not found in the continuous culture of A. pullulans HP-2001. When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in the feed solution was 200 g/l, 113.5 g/l of pullulan was obtained at the steady state. The steady state was maintained longer in the continuous culture fed with the feed solution containing 200 g/l sucrose than when fed with the feed solutions containing either 100 or 150 g/l sucr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