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세초현탁배양을 이용한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의 생산에서 배지 성분이 미치는 영향

  • 이기용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세포배양공학실험실) ;
  • 이상윤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세포배양공학실험실) ;
  • 명현종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세포배양공학실험실) ;
  • 노윤숙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세포배양공학실험실) ;
  • 김동일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세포배양공학실험실)
  • Published : 2002.04.12

Abstract

Production of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hGM-CSF) by Nicotiana tabacum cell suspension culture was studied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with sucrose as a carbon source, ammonium nitrate and potassium nitrate as nitrogen sources,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and 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ate as phosphate sources, respectively. Optimum concentrations for carbon, nitrogen, phosphate was determined to enhance the production of hGM-CSF. Cell growth was better at high initial sucrose concentration (60 g/L), high initial nitrogen concentration (121.04 mM). Maximum cell density (18.28 g/L) was obtained at 60 g/L of sucrose after 14 days. Cell growth was not so good at low initial sucrose concentration 00 g/L), but the highest hGM-CSF production was obtained at the latter half of exponential phase. hGM-CSF production increased about 3 fold at initial phosphate concentration of 4.96 nM

Sucrose 의 경우 저농도에서는 후반부로 갈수록 세포생장 속도는 현저히 감소하는데 비해 hGM-CSF 생산은 후반부에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고농도 sucros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lag phase가 길어지는 동안에 hGM-CSF의 생산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배양 초기에는 고농도 sucrose가, 배양 후반에는 저농도 sucrose로 존재하는 경우에 hGM-CSF를 많이 얻을 수 있었다. Nitrogen source의 농도는 60.52 mM과 121.04 mM일 때가 세포의 생장이나 hGM-CSF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며, phosphate의 경우에는 4.96 mM 일 때가 대조구인 2.48 mM 일 때보다 hGM-CSF의 생산을 3 배 증가시켰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