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ker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9초

An easy and efficient protocol in the production of pflp transgenic banana against Fusarium wilt

  • Yip, Mei-Kuen;Lee, Sin-Wan;Su, Kuei-Ching;Lin, Yi-Hsien;Chen, Tai-Yang;Feng, Teng-Yung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3호
    • /
    • pp.245-254
    • /
    • 2011
  • This study describes an efficient protocol for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of two subgroups of genotype AAA bananas (Musa acuminata cv. Pei Chiao and Musa acuminata cv. Gros Michel). Instead of using suspension cells, cauliflower-like bud clumps, also known as multiple bud clumps (MBC), were induced from sucker buds on MS medium containing $N^6$-Benzylaminopurine (BA), Thidiazuron (TDZ), and Paclobutrazol (PP333). Bud slices were co-cultivated with A. tumefaciens C58C1 or EHA105 that carry a plasmid containing Arabidopsis root-type ferredoxin gene (Atfd3) and a plant ferredoxin-like protein (pflp) gene, respectively. These two strains showed differences in transformation efficiency. The EHA105 strain was more sensitive in Pei Chiao, 51.3% bud slices were pflp-transformed, and 12.6% slices were Atfd3-transformed. Gros Michel was susceptible to C58C1 and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is 4.4% for pflp and 13.1% for Atfd3. Additionally, gene integration of the putative pflp was confirmed by Southern blot. Resulting from the pathogen inoculation assay, we found that the pflp transgenic banana exhibited resistance to Fusarium oxysporum f. sp. cubense tropical race 4. This protocol is highly advantageous to banana cultivars that have difficulties in setting up suspension cultures for the purpose of quality improvement through genetic transformation. In addition, this protocol would save at least 6 months in obtaining explants for transformation and reduce labor for weekly subculture in embryogenic cell suspension culture systems.

Heterophyopsis continua에 대한 praziquantel의 시험관내 효과의 광학현미경적 관찰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in vitro effects of praziquantel on Heterophyopsis continua)

  • 우호춘;서명득;홍성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79-485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in vitro effect of praziquantel on the viability and internal organ changes of Heterophyopsis continua with light microscopy. Metacercariae were collected from the perch, Lateolabrax japonicus, by artificial digestion technique and fed to 2-week old chickens. Adult worms were recovered from the small intestines of chickens 8 days after infection. For working solutions, praziquantel was diluted with TC199 medium at the concentration of 0.01, 0.1, 1 and $10{\mu}g/ml$. To each petri dish containing 10ml of solution, 5~10 worms were introduced and incubated at $37^{\circ}C$. Motlity of worms was observed at 5, 15, 30, 60 minutes, 1, 2, 4 and 6 hours after incubation. For light microscopy, worms were fixed in 10% formalin under cover glass pressure and stained with Semichon's acetocarm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0.01{\mu}g/ml$ praziquantel, the worms had their mobility until 6 hours post treatment. However, worms in over $0.1{\mu}g/ml$ of praziquantel contracted within 5 minutes and immobilized. 2. Intestine of the worm incubated in $0.001{\mu}g/ml$ praziquantel for 5 minutes was dilated and intestinal wall was thickened. 3. In incubated over $0.1{\mu}g/ml$ praziquantel, pharynx of the worm protruded out from oral sucker. 4. The lowest effective lethal concentration of praziquantel on H. continua was $0.1{\mu}g/ml$. The worms exposed to the drug were observed to be immobilized immediately after incubation in solutions of over $0.1{\mu}g/ml$ concentration. All of the worms in early period showed severe contraction and those in late period showed severe dilation.

  • PDF

Soboliphyme baturini (Nematoda: Soboliphymatidae) Recovered from Stomach of Asian Badger, Meles leucurus, in Geochang-gun, Gyeongsangnam-do,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521-524
    • /
    • 2019
  • We are going to describe the female soboliphymid nematodes, which were recovered from the stomach of a Asian badger, Meles leucurus (Mammalia: Mustelidae), in Geochang-gun, Gyeongsangnam-do, Korea. In February 1998, we found 2 peculiar nematodes with a cup-like organ in the anterior end from the stomach of badger. Recovered worms were fixed with 10% formalin, cleared in glycerin-alcohol solution and observed under a light microscope with a micrometer. They were 34.46 (33.43-35.50) mm long by 2.13 mm at maximum width. Cephalic sucker cup-like, 3.34 (3.13-3.55) mm wide, 2.40 (2.25-2.55) mm long, with the oral aperture and meridionally striated on the buccal capsule. Oral aperture 2.38 mm in diameter. Circumoral membrane 0.41 (0.38-0.45) mm wide. Esophagus muscular, 4.81 (4.50-5.00) mm long by 0.80 (0.78-0.83) mm at maximum width. Vulva situated at 3.13 mm ventro-anterior level from the esophago-intestinal junction. Vagina anteriad, 3.38 mm long, making a canal from the uterus to the vulva opening. Uterus single, large. Tail 0.35 (0.33-0.38) mm long. Intrauterine eggs long elliptical, 0.058-0.065 (0.062) mm long and 0.030-0.033 (0.031) mm wide. Based on the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host-specificity, our specimens are nearly identical with S. baturini. Therefore,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S. baturini for the first time in Korea.

Euryhelmis squamula (Digenea: Heterophyidae) Recovered from Korean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in Korea

  • Kim, Hyeon Cheol;Hong, Eui Ju;Ryu, Si Yun;Park, Jinho;Cho, Jeong Gon;Yu, Do Hyeon;Chae, Joon Seok;Choi, Kyoung Seong;Park, Bae Ke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303-309
    • /
    • 2021
  •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describe an unrecorded species of heterophyid trematode recover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a Korean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in Korea. A total of 13 small flukes were collected from a deceased Korean raccoon dog which was found in Chuncheon-si, Gangwon-do, Korea in May 2017. The trematode body were covered with many small spines, rectangular, broader than long, 807-1,103 ㎛ long and 1,270-1,550 ㎛ wide. Oral sucker in the anterior end slightly smaller than acetabulum. Pharynx muscular and well developed. Esophagus relatively long and sigmoid. Acetabulum small and located at median in anterior 2/5 portion. Ceca bifurcated at the anterior of genital pore and acetabulum and terminated at testis level. Testes larger, deeply lobed and located at the near of posterior end of body. Ovary small, triangular and located at the slight left of median and the anterior of left testis. Vitelline follicles dendritic and extend from the middle level of esophagus to the posterior portion of body. Eggs embryonated, operculated, small and 33-35×15-16 ㎛ in size.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mall heterophyid flukes recovered from the small intestines of Korean raccoon dog, N. procyonoides koreensis, were identified as Euryhelmis squamula (Digenea: Heterophyidae). Accordingly, this species of heterophyid flukes is to be a new trematode fauna in Korea by this stud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Paralecithodendrium longiforme (Digenea: Lecithodendriidae) adults and cercariae from Chinese pipistrelle bats and viviparid snails in Thailand

  • Thitichai Arttra;Pheravut Wongsawad;Chalobol Wongsawad;Nattawadee Nantarat;Preeyaporn Butboonchoo;Jong-Yil Cha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2권1호
    • /
    • pp.85-97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Paralecithodendrium longiforme (Digenea: Lecithodendriidae) adults and cercariae isolated in Thailand. Adult flukes were isolated from the Chinese pipistrelle bat (Hypsugo sp.), and cercariae were detected in the viviparid snail (Filopaludina martensi martensi) from Chiang Mai provinc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nd described using conventional methods, and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with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2) and 28S rDNA gene sequences. The adult flukes were fusiform, 0.84-0.98 mm in length, and 0.37-0.49 mm in width, and were distinguishable from other species by the presence of longitudinal uterine coils. The cercariae were nonvirgulate xiphidiocercariae, with the oral sucker bigger than the acetabulum, the tail without fin fold, a body size of 117.5-138.3×48.3-52.2 ㎛, and a tail size of 100.7-103.7×15.0-18.9 ㎛. Molecular studies revealed that the adults and cercariae shared 99.3% (ITS2) and 99.6% (28S rDNA) homology with each other. They were phylogenetically close to P. longiforme with an identity of 94.5% for ITS2 and 98.7% for 28S rDNA. This study provides new information on the natural definitive host and first intermediate host of P. longiforme in Thailand. The discovery of its cercarial stage in Filopaludina snail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the associated second intermediate host and prevention and control of this potentially zoonotic trematode.

대청호 및 그 상류의 Metagonimus 흡충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Metagonimus fluke in the Daecheong Reservoir and the upper stream of Geum River, Borea)

  • 김종환;김남만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69-82
    • /
    • 1987
  • 금강 상류 지역 주민들에 Metagonimus속 흡충이 만연되어 있음은 1980년이래 보고되어 있으나 아직도 그 흡충의 종(種)이 확정되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다슬기에서 유출된 cercaria, 어류에 기생된 피낭유충 및 실험적 종숙주에서 검출된 성충의 형태와 생태 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금강 상류 수통리, 무주삼거리 및 소천리 앞의 금강천에서 1,730개의 다슬기(Semisulcospira globus)를 채집하여 cercaria의 자연유출율과 종을 동정한 바 7.2%의 cercaria양성율과 5종을 동정하였고, 그 중에서 Metagonimus속 cercaria가 3.7%로 가장 많았다. 2. Metagonimus속 cercaria를 방출하는 다슬기의 수조에 금붕어와 같이 10일간 사육하고 그 후60일까지 금부어에서 피낭유충형성 실태를 관찰하였던 바 금붕어 105마리중 22.9%의 감염율을 보였고 비늘(13/3%)과 지느러미(86.7%)에 피낭유충이 형성되었으며 그 수는 적었다. 3. 대청호와 금강상류에서 채집한 어류에서 Metagonimus속 피낭유충의 기생 실태를 조사한 바 끄리는 전수가 감염되었고 어체당 피낭유충의 감염수(250~2,400개)도 가장 많았다. 갈겨니, 피라미, 모래무지 등도 상류산은 100% 감염되어 있었으나 대청호산은 기생율이 낮았고 각 어체별 피낭유충의 기생수도 적었다. 잉어와 붕어는 피낭유충의 기생율과 기생수도 매우 적었다. 어종별로 분리한 피낭유층은 형태학적 차이는 없었으며, 어체내의 기생부위는 섬진강산 은어를 제외하고 비늘에서만 검출도었다. 4. 끄리와 피라미 유래의 피낭유충은 흰쥐에 개에, 갈겨니, 모래무지, 금붕어 유래이 피낭유충은 흰주에만 각각 감염시켜 그 성충의 회수율과 종숙주 소장 부위별로 기생율을 관찰하였다. 개에서는 충체의 회수율(63.3~65.8%)이 대단히 높았으나 쥐는 어종별 피낭 유충원(源)에 따라 큰 차이(3.5~31.6%)를 보였다. 성충은 흰주의 소장 중.하부에 분포되어 있었고 소장상부에 기생된 충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금붕어의 피낭유충도 동일한 결과이었으나 섬진강산 은어 유래의 피낭유충 감염 흰쥐는 그 소장 상부에도 성충이 분포(9.2%)로 되어 있었다. 개에서는 소장상부에 소수(5.4~10.2%) 분포되어 있었으나 소장 중부(57.7~81.9%)와 하부(7.9~36.9%)에 많았다. 5. 성충의 형태는 그 크기가 개와 흰주 숙주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동일 숙주에서는 어종별 피낭유충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모든 성충의 구흡반은 복흡반보다 작았다. 채 후부에 위치한 두 정소(精巢)는 전후로 약간 떨어져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었고 자궁은 두 정소 사이를 지나 전방에 위치한 정소를 한 바퀴 돌아서 상행하였고 난황선은 충체의 후부 정소 중간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6. 충란의 크기는 평균 $29.1{\times}17.3{\mu}m$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컨대 금강 유역에 분포되어 있는 Metagonimus 흡충은 제등(1984a)가 주장하는 Metagonimus yokogawai, Miyata형으로 동정하였다.

  • PDF

병아리에서 Heterophuopsis continua의 충체 회수율 및 성장 발육 (Recovery rate, growth and development of Heterophyopsis continua in experimental chicks)

  • 홍성종;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1호
    • /
    • pp.53-62
    • /
    • 1990
  • H. continua는 조류 및 포유동물의 소장에 기생하는 이형흡충과의 장흡충이며 농어, 숭어 등 반염수어가 제 2 중간숙주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4례의 인체 감염례가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H. continua의 실험적 종숙주로서 병아리의 적합성을 알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농어에서 인공소화법으로 수집한 H. continua의 피낭유충을 병아리에 경구 감염시키고 1, 2, 3, 4, 6, 8, 14 및 28일 후에 도살하여 소장과 맹장에서 충체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충체를 10% neutral formalin으로 고정하고 Semichon's acetone으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 계측하였다. 충체 회수율은 평균 12.8%이었으며 감염 제 4일까지는 높게 유지되었으나 그 이후 28일까지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다. 회수된 충체의 91.9%는 회장에서 수집되어 병아리에서 회장이 주 기생 부위임을 알게 되었다. 피낭유충에는 비생식기관인 구.복흡반, 인두, 식도 등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었으며, 생식기관인 난소, 저정낭, 수정낭, 전.후고환 및 생식흡반 등도 계측할 수 있을 정도로 윤곽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염 제 1일에는 Mehlis 선이 출현하였으며, 제 2일에는 저정낭 후방의 표퍼하조직에 여포상의 난황소가, 난소 둘레에는 자궁이 나타났다. 감염 제 3일에 자궁 내에 충란이 형성되었으며 제 28일까지 계속해서 그 수가 증가하였다. 피낭유충은 실험기간동안 계속 성장하여 감염 제 28일에는 체장 $2,990{\;}{\mu\textrm{m}}$, 체폭 $525{\;}{\mu\textrm{m}}$이 되었다. 생식기관들의 발육은 감 염초기에 빠르게 진행되고 감염 후기에는 완만하게 28일까지 계속되어 일반적인 성장곡선의 후반부를 보여 주었다. 비생식기관들은 전 실험기간에 걸쳐 매우 완만하게 서서히 크기가 커졌다. 본 실험을 통하여 병아리를 비교적 적합한 실험적 종숙주로 추가하게 되었다.

  • PDF

사과원에서 사과면충과 사과면충좀벌의 발생동태 및 살충제 실내검정 (Population Dynamics of Eriosoma lanigerum (Hemiptera: Aphididae) and Aphelinus mali (Hymenoptera: Aphelinidae) in Apple Orchards and Screening Effective Insecticides in the Laboratory)

  • 김동순;양창열;전흥용;최경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9-325
    • /
    • 2009
  • 사과면충은 지하부 대목부 및 흡지에서 성충 및 약충 상태로 월동하였고, 약제를 살포하지 않은 사과원의 주간부에서 콜로니는 4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 1차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그 후 감소하였다가 7월 하순 2차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9월 하순에도 1차 발생최성기 규모의 발생량을 보였다. 발생량은 주 당 3.5개를 넘지 않았으며, 연간 2개 내외로 유지되었다. 사과면충좀벌 기생률은 지제부 보다는 지상부에서 기생률이 높았고, 사과면충 발생농가 조사결과 기생률이 최고 70% 이상이었다. 사과면충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검정 결과 fenitrothion, dichlorphos, machine oil, methidathion, thiacloprid, imidacloprid 등 약제의 살충률은 각각 97.8, 96.8, 95.4, 91.5, 26.7 및 7.8% 이었다. 또한 동일한 약제에 대한 사과면충좀벌 머미의 성충으로 우화율은 각각 51.2, 72.6, 14.2, 3.5, 72.2 및 85.4% 이었다. 최근 많이 사용하는 진딧물 적용약제들의 살충률은 낮았으며, fenitrothion 및 dichlorphos는 사과면충에 대한 살충률이 높고 천적에 비교적 저독성이어서 종합관리 시 동시방제 약제로 적당하였다.

도시환경에서 가중나무 종자의 확산 및 발아 분포 (Seed Dispersion and Seedling Spatial Distribution of the Tree of Heaven in Urban Environments)

  • 조치웅;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7-93
    • /
    • 2002
  • 귀화식물인 가중나무는 도시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 그 주된 이유는 유.무성 생식이 잘 되기 때문이다. 종자의 확산과 맹아 출현에 의해 도시 서식지 내에서 쉽게 군락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가중나무의 종자의 확산과 발아분포 특성을 조사하는 것은 도시녹지 관리에 중요하다. 가중나무의 종자 확산 및 실생묘의 분포는 다음과 같이 조사되었다. 남산과 같이 환경조건이 최상일 때는 350개체, 퇴계원사거리 경우 50개체 정도가 발아해서 자란다. 이러한 종자는 풍향의 영향과 지형적 특성에 따라 확산 분포되는 경향이 있다. 조사대상지는 종자가 떨어지는 늦가을에서 봄까지 주로 북서풍이 불고 있으므로 남쪽으로 많이 비산 되었으며, 경사지인 퇴계원사 거리에서는 경사지의 아래쪽에 주로 분포하였다. 종자 발아에 의한 실생묘의 분포는 모수(母樹)의 수관폭과 비교하였을 때, 수관폭 내에 떨어지는 경우보다 수관폭 외곽에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조사지역에서는 수관폭의 최대 7.5배까지 실생묘가 분포하였다. 주로 수관 폭의 2~4배 지점(20M 이내에 75% 분포)에서 군생을 나타냈다. 가중나무 종자 발아에 의한 실생묘 분포 확산으로 볼 때, 가중나무는 도시의 열악한 환경에서라도 급격한 개체수 증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도시 토양의 보호라는 측면과 가중나무가 타수종과 경쟁에서 성공함으로 종 다양성 감소라는 측면을 같이 고려하여 관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계피복이 모시풀의 생육 및 섬유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inter Mulching on Growth and Fiber Yield of Ramie Plant)

  • 권병선;김상곤;정동희;임준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8-212
    • /
    • 1993
  • 지표에서 l0cm 내외의 토층에 분포되어 있는 모시풀 지하동(흡지)의 안전 월동을 위한 도장 피복의 좋은 방법을 알고자 재식3년~4년째의 백피종의 성국에서 실험한 피복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행인 볏짚 1,000kg/10a 피복구의 맹아기 4월 15일에 비하여 투명비닐 피복구는 18일 이나 빠른 3월 28일이었고 볏짚, 구비 또는 왕겨 반양 (500kg/10a)에 투명비닐을 복합 피복한 경우에도 약 2주일이 발랐으며 흑색비밀 피복구도 9일정도 빨랐다. 2. 투명비닐 단용피복은 맹아기는 가장 빨랐으나, 맹아세가 균정하지 못하였고 벗짚, 구비 및 왕겨 반양 + 투명비닐 복합피복구는 맹아도 균일하였다. 3. 투명비닐 피복구는 관행 피복구에 비하여 경수가 50% 증가하였고 볏짚, 구비 또는 왕겨 반양 + 투명 비닐 복합피복구의 경수도 35~39% 증가 발생하였다. 4. 섬유수량에 있어서는 관행 피복구의 137.9kg/10a에 비하여 벗짚 또는 왕겨 반양 + 투명 비닐 복합피복의 경우 36~37% 증수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5. 무피복구는 맹아기도 24일이 지연된 5월 9일 이었으며 생육도 극히 불진하고 섬유수량도 관행 피복구의 54%에 불과하였다. 6. 모시풀의 주요 작물학적 형질간에는 고도의 정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맹아기의 조만으로 그해의 생육 및 수양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