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Volume 25 Issue 1
- /
- Pages.69-82
- /
- 1987
- /
- 2982-5164(pISSN)
- /
- 1738-0006(eISSN)
Studios on the Metagonimus fluke in the Daecheong Reservoir and the upper stream of Geum River, Borea
대청호 및 그 상류의 Metagonimus 흡충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prevalences of the cuke belonging to genus Metagonimus hove been reported along the upper stream of inhabitants by several workers since 1980, however the taxonomical problems of the fluke was not yet settled. The larval flukes; cercaria and metacercaria as well as their intermediate hosts, and adult were studied in order to identify the Mepagonimus in the area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nails, Semisulcospira globus were collected (rom the three different localities along the upper stream of the River. The cercariae were found from 125(7.2%) out of 1,730 snails by natural emerging method, and were identified into 5 species including Metagenimus sp. (3.7%), Pseudexorchis major(1.4%), Cercaria nipponensis (0.9%), Cercaria incerpa(0.6%), and Cercaria yoshidae(0.6%). Cercariae of Metagonimus species had four to dye oral spines on its anterior of the first line. 2. The cercariae of Metagonimus were experimentally exposed to goldfish. nfection rate was 22.9% out of 105 goldfish, and the encysted metacercariae were found in fins(86.7%) and on scales (13.7%) of the fishes, but not in their muscle, head or visceral organs. 3. Seven species of ask were caught in the Daecheong Reservoir and the upper stream. Infestations with metacercaria of Metagonimus were found 100% in Opsariichtys widens and the parasitized numbers of the metacercariae were observed from 250 to 2,400 per fish. In the upper stream, Zacco termmincki, Z. platypus and Pseudogobio esocinus were infected 100% with the metacercaria, on the other hand, the fishes caught in the reservoir showed the lower infestation rates, and a few metacercariae found in the fishes Carassius carassius and Cyprinus carpio in the reservoir and the stream. The majority of metacercariae was detected only on the scales of fishes. 4. In order to know the infectivity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in the intestine of hosts, rats and dogs were infected with the metacercariae obtained from O. bidens and Z. platypus. In addition the metacercariae obtained from Z. temmincki, P. esocinus and goldfish were given to the rats. The recovery rates of the worms in the small intestine of dogs were higher (63.3~65.8%) than those of the rats (3.5~31.6%). The flukes were found mostly in the middle and the lower part of small intestine of the rats and the dogs, but no worm was collect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testine of rats. 5. The sixte of adult flukes varied by the hosts. In the adult cukes, oral sucker was smaller than ventral sucker, and the right and left testes were located diagonally, the uterine tubules circled around the upper left testis. The average egg sixte was
금강 상류 지역 주민들에 Metagonimus속 흡충이 만연되어 있음은 1980년이래 보고되어 있으나 아직도 그 흡충의 종(種)이 확정되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다슬기에서 유출된 cercaria, 어류에 기생된 피낭유충 및 실험적 종숙주에서 검출된 성충의 형태와 생태 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금강 상류 수통리, 무주삼거리 및 소천리 앞의 금강천에서 1,730개의 다슬기(Semisulcospira globus)를 채집하여 cercaria의 자연유출율과 종을 동정한 바 7.2%의 cercaria양성율과 5종을 동정하였고, 그 중에서 Metagonimus속 cercaria가 3.7%로 가장 많았다. 2. Metagonimus속 cercaria를 방출하는 다슬기의 수조에 금붕어와 같이 10일간 사육하고 그 후60일까지 금부어에서 피낭유충형성 실태를 관찰하였던 바 금붕어 105마리중 22.9%의 감염율을 보였고 비늘(13/3%)과 지느러미(86.7%)에 피낭유충이 형성되었으며 그 수는 적었다. 3. 대청호와 금강상류에서 채집한 어류에서 Metagonimus속 피낭유충의 기생 실태를 조사한 바 끄리는 전수가 감염되었고 어체당 피낭유충의 감염수(250~2,400개)도 가장 많았다. 갈겨니, 피라미, 모래무지 등도 상류산은 100% 감염되어 있었으나 대청호산은 기생율이 낮았고 각 어체별 피낭유충의 기생수도 적었다. 잉어와 붕어는 피낭유충의 기생율과 기생수도 매우 적었다. 어종별로 분리한 피낭유층은 형태학적 차이는 없었으며, 어체내의 기생부위는 섬진강산 은어를 제외하고 비늘에서만 검출도었다. 4. 끄리와 피라미 유래의 피낭유충은 흰쥐에 개에, 갈겨니, 모래무지, 금붕어 유래이 피낭유충은 흰주에만 각각 감염시켜 그 성충의 회수율과 종숙주 소장 부위별로 기생율을 관찰하였다. 개에서는 충체의 회수율(63.3~65.8%)이 대단히 높았으나 쥐는 어종별 피낭 유충원(源)에 따라 큰 차이(3.5~31.6%)를 보였다. 성충은 흰주의 소장 중.하부에 분포되어 있었고 소장상부에 기생된 충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금붕어의 피낭유충도 동일한 결과이었으나 섬진강산 은어 유래의 피낭유충 감염 흰쥐는 그 소장 상부에도 성충이 분포(9.2%)로 되어 있었다. 개에서는 소장상부에 소수(5.4~10.2%) 분포되어 있었으나 소장 중부(57.7~81.9%)와 하부(7.9~36.9%)에 많았다. 5. 성충의 형태는 그 크기가 개와 흰주 숙주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동일 숙주에서는 어종별 피낭유충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모든 성충의 구흡반은 복흡반보다 작았다. 채 후부에 위치한 두 정소(精巢)는 전후로 약간 떨어져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었고 자궁은 두 정소 사이를 지나 전방에 위치한 정소를 한 바퀴 돌아서 상행하였고 난황선은 충체의 후부 정소 중간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6. 충란의 크기는 평균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