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essful aging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33초

Rowe와 Kahn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설 활용별 집단간 비교분석 (Successful Aging of Korean Older Adults based on Rowe and Kahn's Model: A Comparative Study According to the Use of Community Senior Facilities)

  • 이수진;송미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1-239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successful aging and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Methods: This was a secondary analysis study. Data were analyzed from 10,462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2011 National Elderly Survey. According to the use of community senior facilitie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those who used senior centers (group A, n=580), village senior clubs (group B, n=3,240), both of the 2 facilities (group C, n=339), and neither of the 2 facilities (group D, n=6,303). Cross-tabu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The prevalence of successful aging was highest in group C (20.94%) and lowest in group D (10.41%). The physical & mental function and active engagement domains were highest in group C, while they were lowest in group D. The disease & risk factors domain were highest in group A, while lowest in group B. An educational level of middle-school or higher and income level in the third or higher quintile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predicting successful aging in all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a basis for design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as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prevalence of successful aging in Korean older adults.

노인의 성공적 노후 영향요인 분석 : 가구유형별 집단비교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Elderly's Successful Aging: Group Comparison by Household Types)

  • 장신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57-264
    • /
    • 2019
  • 본 논문은 1인가구, 부부가구,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구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 수준을 확인하고, 각 가구유형별로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집단별로 비교, 분석하여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제4차 개인용 조사와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1인가구 699명, 부부가구 1,412명,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 238명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성공적 노후 수준은 1인가구가 부부가구와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1인가구의 경우 경제활동, 경제적 독립, 집안일, 이웃관계, 가족관계, 자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부부가구의 경우 경제적 독립, 신체적 건강, 친구관계, 자녀관계가 성공적 노후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부와 자녀가구는 신체적 건강과 친구관계가 성공적 노후에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성공적 노후 예측 키워드 분석 (An Analysis on the Predictor Keyword of Successful Aging: Focused on Data Mining)

  • 홍서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23-234
    • /
    • 2020
  • 본 연구는 Hong(2019)의 연구에서 도출된 한국 노인의 성공적인 노후에 영향을 주는 예측 키워드 32개를 중심으로 데이터마이닝의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연관관계 규칙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수들의 규칙 및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R version 3. 5. 1 프로그램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rulesViz 패기지와 visNetwork 패키지로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후와 연관성이 높은 예측변수는 '취미', '봉사', '준비', '운동'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를 고려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변수는 '취미' 이며 그 다음 '봉사', 준비', 운동'의 순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The Empirical Study for Well-Being and Healthy Living of the Korean Elderly

  • Kim, Kyung-W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15-120
    • /
    • 2015
  • The old people's feelings, emotions, and self-evaluative judgements fluctuate overti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of relations among well-being factors in social activity. Major results of this paper was as follows. First, the social activity participated elderly had higher health status, self-esteem, mental-health, and successful aging than the non-participated elderly. Second,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were exposed as important variable for all of the two groups to improve the successful aging. Thus,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can become significant indicator of self-empowering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Third, the strongest total causal effect of successful aging was health status in social activity participated elderly, while self-esteem was the greatest total causal effect of it in the non-participated elderly. Health status had higher indirect effect of successful aging than direct effect of it in both of them.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Gender Difference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ccessful Aging among Rural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s)

  • 김희경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819-83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정도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서술적 조사연구로써 C도 K시 농촌지역 면단위, 리 단위에 거주하는 남성노인 73명, 여성노인 77명 총 150명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5월 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X^2$ 검정, t-test, Pea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s와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평균연령은 77.5세이었고 건강상태는 보통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은 결혼상태, 건강상태, 동거자, 가족 수, 직업, 한달 용돈, 학력, 질병 수, 운동 횟수, 친구와의 교재에서 분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정도는 3.59점(${\pm}.32$), 여성노인은 3.63점(${\pm}.37$)으로 보통정도의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고 있으며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여가만족도, 가족지지, 우울, 외로움, 자기초월감과 성공적 노화의 정도는 유사하였다. 또한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는 생활만족도, 가족지지는 순 상관관계를, 우울과 외로움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는 생활만족도, 여가만족도, 가족지지, 자기초월감과는 순 상관관계를, 우울과 외로움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은 생활만족도와 우울이었고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은 생활만족도, 우울, 가족지지와 자기초월감이었으며, 생활만족도와 우울, 가족지지와 자기초월감이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52.9% 설명하였다. 추후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이러한 변인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뇌자기공명영상의 노화에 따른 변화 (A Review of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rrelates of Successful Cognitive Aging)

  • 지은경;정인원;윤탁
    • 생물정신의학
    • /
    • 제21권1호
    • /
    • pp.1-13
    • /
    • 2014
  • Normal aging causes changes in the brain volume, connection, function and cognition. The brain changes with increases in age and difference of gender varies at all levels. Studies about normal brain aging using variou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variables such as gray and white matter structural imaging, proton spectroscopy,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diffusion tensor imaging and functional MRI are reviewed. Total volume of brain increases after birth but decreases after 9 years old. During adulthood, total volume of brain is relatively stable. After 35 years old, brain shrinks gradually. The changes of gray and white matters by aging show different features. N-acetylaspartate decreases or remains unchanged but choline, creatine and myo-inositol increase with aging.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decreases till 20 years old and then becomes stable during adulthood and increase after 60 years old. Diffusion tensor properties in white matter tissue are variable during aging. Resting-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decreases after middle age.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changes with normal aging are important for studying various psychiatric diseases such as dementia,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Our review may be helpful for studying longitudinal changes of these diseases and successful aging.

한국 베이비붐 세대 공무원의 사회참여 태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and Mediation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by Social Paritication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in Korean Baby Boom Generation)

  • 정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93-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준비 상태에 대해 이해하고 이들의 사회참여 태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이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참여 태도는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참여 태도는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참여 태도와 성공적 노후간의 관계에서 노후준비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농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in Rural Elderly People)

  • 안옥희;차혜경;장수정;김희선;장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499-508
    • /
    • 2013
  • 본 연구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농촌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농촌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을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2년 9월부터 12월까지 W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08명을 편의추출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농촌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설명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우울, 인지기능, 생산적 활동, 일상생활활동 순서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2.1%였다. 농촌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보건의료서비스제공 및 사회적 활동 등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이 가장 필요하며, 이에 따른 맞춤형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심리적 요인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 조영문;강승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39-348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기본심리욕구, 자아통합감, 문화역량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J와 S시, G광역시에 소재한 16곳의 노인종합복지센터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남녀노인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성공적 노화는 기본심리욕구, 자아통합감, 문화역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자아통합감(${\beta}=.372$, p<.001), 문화역량(${\beta}=.410$, p<.001),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변수인 관계성(${\beta}=.168$, p=.003)이 71.1%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므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자아통합감, 문화역량, 관계성 증진을 위한 사회문화 심리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Preparation of the Aged and Successful Aging -Focusing on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as Mediators-)

  • 문남숙;남기민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227-1248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준비도를 독립변수로, 노인의 우울 및 죽음불안을 매개변수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로서 자아통합감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청주시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변수들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들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죽음준비 및 건강한 노후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연구문제에 따라 첫째, 학력, 건강상태, 경제수준, 외부활동량에 따라서는 연구변수들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정신적 죽음준비도는 성공적 노화로서의 자아통합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인의 의례적 죽음준비도는 성공적 노화로서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정신적 죽음준비도가 성공적 노화로서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노인의 우울 및 죽음불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