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essful aging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Korean Elderly: The Definition, Types, and Predicting Variables)

  • 백지은;최혜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1-16
    • /
    • 2005
  • This study explored the elements, types, and determining factors of successful aging for the Korean elderly. In order to examine the expectations of the Korean elderly, a sample of 377 elderly aged 65 and over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reas was selected and interviewed. The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that the Korean elderly pointed out in the interviews were: 'peaceful and comfortable life', 'self-maintenance,' 'secure social support,' and 'ostentation.' The expected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successful aging: 'idealized expectation.' 'self-centered expectation,' 'balanced self-other expectation.' The elderly groups sorted by the typ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valuated economic status, and self-evaluated health status.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expectations were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gender, and self-evaluated health condition. However,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expectation for successful aging were different for male and female elder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uccessful aging of Korean elderly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better understand varied and unique life of Korean elderly, as well as in establishing a basis of intervention that meets the specific demands of the Korean elderly.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가족탄력성이 성공적 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go Resilience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in Nursing Students)

  • 양남영;송민선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8-28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family resilience, and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in nursing students; additionally, specific factors relating to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were identified.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154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then performed utilizing a t-test, an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amily resilience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the type of residence (p=.020) (i.e., living with grandparents (p=.048)).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grade (p<.001).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elative to mode of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pattern. The mode of communication accounted for 4.7% of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n the importance of mode of communication was confirmed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Nursing students may actively cope with crises through communication; thus, successfully recognizing aging in order to lead a healthy life. Furthermore, having a high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while treating an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patients at the clinical practice is belie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atient care.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성공적 노화인식과 생활만족도 매개효과 중심 (The Influence of Elderly People's Health Promoting Behaviors on their Successful Aging: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ccessful Aging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 장홍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5호
    • /
    • pp.109-12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후로 가는 경로에 성공적 노화 인식과 생활만족도가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구체화하고 성공적 노화 인식과 생활만족도가 성공적 노후에 유의미한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경기도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5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5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분석을 통해 건강증진행위와 성공적 노후 간에 설정한 인과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성공적 노화 인식과 생활만족도가 이러한 인과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는 성공적 노화인식, 생활만족도,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주었고,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 인식은 건강증진행위와 성공적 노후 간에 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생활만족도는 건강증진행위와 성공적 노후 간에 매개 역할을 하지 못했다. 함의는 건강증진 지원 전문가, 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 홍보 및 교육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노인의 다양한 유·무형적 요인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고, 경제 및 현재 건강 수준에 맞게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역사회 노인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기억과 성공적 노화 (Psychosocial Stress, Memory, and Successful Aging of the Community-Residing Elderly)

  • 이혜경;이계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2호
    • /
    • pp.89-97
    • /
    • 2021
  •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는 나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고, 대상자의 성공적 노화는 기억과 정적관계가 있고,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부적관계가 있었다.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기억 간에 부적 관계가 있었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노인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스트레스 개입 프로그램의 경험적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노인의 우울 및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derly's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 on Successful Aging)

  • 전상남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4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uccessful aging on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trust, norm, participation, network) of the elderly. Methods: Samples were obtained from 184 people aged over 65 years old in one county of Kyungsangbukdo.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depression, social capital and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economic status and religion. Second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epression affected a negative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in Model 1, which analyzed only depression. However, Model 2, which analyzed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 at the same time, showed that only social capital affected successful aging.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o develop health promo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are required for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on Successful Ag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김정희;박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10-22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성공적 노화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사회적 지지 관계에서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증가는 성공적 노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노화불안 감소와 성공적 노화를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Mediating Effect of Aging Anxiety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서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75-583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사회활동을 통한 성공적 노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거주 만60세 이상 고령자이며 총513명이 설문에 참여했고 이 중 450부를 분석에 사용했다. 분석은 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활동은 노화불안을 낮추고 성공적 노화 향상에 도움이 되며, 노화불안은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고,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활동 제공기관들은 사회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화하되 노화불안 완화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사업 체계를 개편하고, 참여자끼리 상호지지 체계를 구성하여 사회활동을 통한 성공적 노화가 더욱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관리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노인의 성공노화 구조모형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을 중심으로-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Successful Aging in Elders - Focused on Selection.Optimization.Compensation Strategy -)

  • 오두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11-321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specific domain health status and the Selection Optimization Compensation (SOC) strategy affecting successful aging in elderly people. Methods: The model construction was based on the SOC model by Baltes and Baltes. Interviews were done with 201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Interview contents included demographics, functional health status, emotional health status, social health status, SOC strategies, and successful ag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and AMOS 7.0. Results: Model fit indices for the modified model were GFI=.93, CFI=.94, and RMSEA=.07. Three out of 7 path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ccessful aging in this final model. Functional health statu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Emotional health status influenced successful aging through SOC strategi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s for improving functional health status and for strengthening SOC strategies are critical for successful aging. Continuous development of a variety of successful aging programs using SOC strategy is suggested.

나이듦과 지혜: 성공적 노화의 통합적 개념화 (Aging and Wisdom: An Integrated Conceptualization of Successful Aging)

  • 이수림;조성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3호
    • /
    • pp.65-8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의 주요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노인문제와 나이듦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자 성공적 노화의 통합적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나이듦의 의미를 규명하고, 나이듦과 관련된 부정적 변화와 나이듦에 따른 성장과 발달 등 긍정적 변화를 구분하여 개관하였다. 특히, 긍정적 변화와 관련하여 지혜가 성공적 노화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성공적 노화 이론과 주요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였고, 기존의 이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지혜를 포함하는 성공적 노화의 통합적 개념화를 제시하였다. 성공적 노화의 통합적 개념화의 주요내용 및 특징을 설명하고 성공적 노화의 통합적 개념화가 갖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Circumplex Model에 근거한 취약가구 노인의 가족기능과 성공적 노화 (Family Function and Successful Aging for Vulnerable Elderly Based on Circumplex Model)

  • 박지원;반금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9-249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uccessful aging of vulnerable elderly using the circumplex model.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the elderly (N=401) who wer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H city under the National Livelihood Security Act.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 and Successful Aging Instrument were used. Results: The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the study subjects was average $43.20{\pm}16.62$ out of maximum 100 poi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family types suggested by circumplex model, there were 183 people for balance family (45.6%) and 218 people (54.4%) for extreme family. The total points on successful aging were $1.67{\pm}0.37$ out of 3 points. When the difference in points on the Successful Aging instru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cores on the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Scale those points of the balanced fami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2.087, p=.038). Conclusion: In case of the balanced family type, the level of perceiving successful aging was relatively higher. For the improvement of family function, it is advised that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among vulnerable elderly can be uplifted through a program that enables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other family me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