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way stations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3초

지하철 자연환기구 공기 이동량 조사 (Investigation of amount of the Air Flow through a Natural Ventilator in the Subway System)

  • 배성준;황선호;신창헌;김신도;이경빈;박덕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80-1486
    • /
    • 2011
  • 지하철 승강장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기 전에는 승강장을 통해 환기되던 공기가 스크린 도어가 설치된 후에는 터널 내부에 정체되면서 미세먼지에 의한 환경이 더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터널환기구가 터널에 정체된 공기의 유일한 순환구로 이용되고 있다. 스크린 도어는 기존 터널환기시스템을 설계할 때 고려되었던 사안은 아니었으며, 지하철 운행 시 스크린도어 설치로 인한 지하 터널 속에서의 공기역학적 변화는 매우 클 것이다. 그러나 지하철이 통과하는 공간인 터널환기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열차가 지하 터널 구간을 운행할 때 발생하는 열차풍에 의한 기류속도를 측정하고, 전철구간의 자연 환기구를 통한 기류의 유입 및 유출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대표적인 기류패턴을 추출함으로써 향후 지하 터널 신설 및 환기 설비 설계에 따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기술적 해결을 통한 위험관리의 가능성과 한계: 지하철 스크린도어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Risk Management through Technological Fix: A Case Study into the Platform Screen Door (PSD))

  • 강윤재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77-105
    • /
    • 2010
  • 이 글은 지하철 위험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스크린도어를 대상으로 "기술적 해결"(technological fix)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고 있다. 지하철 위험은 그 유형에 따라 모두 다섯 종류―"전철운행 사고", "역사 내 사고", "승강장 사고", "지하의 공간적 위험", "범죄 및 테러의 위험"―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궤도와 역사의 접촉면에 위치한 승강장에서 발생하는 승강장 사고이다. 스크린도어는 승강장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적 수단으로 여겨진다. 여기에는 사고를 기술적 수단을 통해 해결하려는 기술적 해결의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작용한다. 신설되는 역이 아니라 기존 역의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것이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기 힘든 경우라는 사실이 이를 잘 보여준다. 스크린도어는 현실적 수단으로서 가시적 효과를 낳았지만 예상치 못한 비가시적 위험을 가중시킨 측면도 없지 않다. 승강장 내부, 특히 출퇴근 환승역 승강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스크린도어는 승객의 탈출로를 차단하는 "통곡의 벽"으로 돌변할 수 있다. 기술적 해결에 대한 지나친 기대와 의존은 금물이며, 그 한계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는 이유이다.

  • PDF

지하철 역사내 동선 분리 시스템을 활용한 보행편의 및 이동성 증진 (Improvement of Pedestrian Convenience and Mobility by Applying the Walking Guidance System in Subway Stations)

  • 이주용;김태완;유소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4-213
    • /
    • 2015
  • 지하철 역사 공간 내 보행교통류의 혼잡 상황은 역사의 이용효율을 저해시킨다. 특히 방향별 동선의 미분리로 인한 보행자간 상충은 보행자의 이동저항을 증가시키며 통행시간과 안전사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시적 움직임에 기반한 양방향 보행교통류의 통행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동선 분리로 인한 운영상의 효과를 분석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산요소법에 따라 역사 공간을 2차원 grid 구조로 해석하였으며, 각 grid에 존재하는 cell 별로 보행자의 움직임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 결과 양방향 보행교통류가 상충하는 상황에서는 동선을 분리시키고, 우측통행을 유도하여 보행자들의 진행 방향을 정돈시키는 경우가 가장 효율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동선 분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행편의 및 이동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rrelation between Radon (Rn222) and Particulate Matters (PM10, PM2.5, PM1.0) in Subway Tunnel in Seoul.

  • Versoza, Michael;Park, Duckshin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7-95
    • /
    • 2017
  • Radon ($Rn^{222}$) is a radioactive gas and is found at high concentrations underground. Investigations were done in many years specifically on public transportations such as in the subway stations, concourses and platforms for these are located underground areas. This study correlates the $Rn^{222}$ concentrations with the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 for the gas could be attached or trapped inside these particles. It was done on the opening subway tunnel of Miasageori Station going to Mia Station (Line 4) last August 2016. Based on the result, the $Rn^{222}$ were more influenced on the mass ratio (%) of PM present in the air instead of its mass concentration (${\mu}g/m^3$). As the $PM_{10}$ mass ratio increases ($42.32{\pm}1.03%$) during morning rush-hours, radon starts to increase up to $0.97{\pm}0.03pCi/L$. But during the afternoon $Rn^{222}$ concentrations decreased while the composition were stable at $22.96{\pm}3.0%$, $39.04{\pm}0.6%$ and $38.01{\pm}0.3%$ in $PM_1$, $PM_{2.5}$ and $PM_{10}$ respectively. It was then assumed that it could be the composition of the morning hours of the station were influencing the concentration of the radon.

대심도 지하역사에서의 화재시 급 배기 동작유무에 따른 열 연기 거동 분석 (Nume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ire driven flow for smoke ventilation system operating in the deeply underground subway station)

  • 장용준;김학범;이창현;정우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6-7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 지하역사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급/배기 팬의 동작 유무에 따른 승강장에서의 열 및 연기의 거시적인 거동을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결과를 토대로 현재 설치된 급/배기 팬에 대한 제연/배연능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숭실대 입구 역사(7호선, 도시철도공사운영)이며, 숭실대 역사의 승강장은 길이 165m, 폭 23.5m, 깊이 47m 이다. 본 연구에서 전산수치해석을 위한 모델은 선로부 지하터널를 감안하여 전후 각 100m를 추가하였다. 따라서 모델링의 크기는 길이 365m, 폭23.5m, 깊이 47m 이다. 격자는 육면체 정렬격자계를 사용하였으며, 격자의 수는 대략 10,000,000 개가 사용되었다. 빠른 수치전산처리를 위하여, 병렬처리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전산수치해석에 사용된 CPU자원에 Intel 3.0GHZ Dual CPU 6개(core 12개)가 사용되었다.

  • PDF

지하철 역사 내 코로나 바이러스 저감을 위한 이온풍 집진기 개발 (Development of an ionic wind dust collector towards coronavirus reduction in subway stations)

  • 신동호;김영훈;한방우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22
  • Since 2019, the corona virus has been continuously affect human life. In particular, in the indoor space where people live, infection by airborne transmission of viruses is a problem. Among them, the spread in the subway, which is the main mode of transport for humans, can be serious. To solve this problem, our research team developed an ionic wind collector to collect and remove corona virus using an ionic wind collector and ozone. In order to apply the ionic wind collector to the subway, it must operate in two modes. Because large amounts of ozone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re is a mode that collects bio-aerosol from the air using ionic wind and a mode that inactivates viruses floating in the air by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ozone. As the applied voltage increased, the cleaning ability of the ionic wind collector increased, and the fa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ground plate, the higher the cleaning ability even at low current. In addition, clean air delivery rate (CADR) of an ionic wind collector was up to 5.5 m3/mi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it was confirmed that 50 ppb to 250 ppb was genera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ozone generation was controllable in the ionic wind dust collector.

나노버블을 이용한 지하철용 전기집진기 포집먼지에 대한 세척효율 평가 (Evaluation of Washing Efficiency of Collective PM by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Subway Station Using Nano Bubble)

  • 이형돈;이승환;박찬규
    • 청정기술
    • /
    • 제26권1호
    • /
    • pp.13-21
    • /
    • 2020
  • 지하역사 내 대기오염물질은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또는 지하철 내부의 승객 승·하차 시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하역사 내 터널 및 지하철역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대기오염물질은 열차풍에 의해 발생되는 것과 같이 내부적 요인에 많은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물질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지하철역사 내에 전기집진장치와 같은 집진시설이 필요하며, 집진장치에 의해 제거된 미세먼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집진장치 내부에 지속적인 세척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역사에 설치할 전기집진장치 내부 집진판에 쌓인 미세먼지를 세척하기 위한 나노버블세척 장치를 개발하였고 나노버블수의 먼지세척효율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분사압 증가에 따라 세척 효율이 일정하게 증가하였고 나노버블수로 세척할 경우 수돗물로 세척한 경우보다 부착먼지 제거효율이 130.8% 더 증가하였다. 세척횟수 증가에 따라 최대 제거효율은 수돗물에 비해 143.1% 높았지만 적합한 세척횟수는 3회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노버블수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세척효율 실험결과, 나노버블수의 최대 체류시간은 5분 이내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단선 일방통행 방식의 지하철과 주택가격의 관계 분석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순환선 구간 주변 연립다세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ingle-track Subway and Housing Price - Focused on Row and Multi-family House around Eungam Loop Line of Seoul Subway Line 6 -)

  • 소성규;오세준;이규태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2호
    • /
    • pp.39-56
    • /
    • 2019
  • 단선 일방통행 방식을 지하철 노선으로 도입한 사례는 국외에도 흔치 않은 사례이다. 국내에서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응암순환선이 대표적인 단선 일방통행 방식의 구간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응암순환선과 연립다세대 매매가격의 관계를 역과의 인접성 및 특징에 따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7년까지의 총 17,938건의 연립다세대 매매가격의 자료를 활용하여 헤도닉가격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암순환선특성으로 지하철역과의 인접성이 매매가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리구간별로는 100-200m 구간의 가격수준이 가장 높았고, 노선의 구조적 특징과 관련해서는 주요 지역으로의 이동성과 연결성이 우수한 불광역을 보행권으로 하는 연립다세대의 매매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입지특성으로 버스정류장, 마트, 학교와 인접할수록 매매가격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립다세대의 토지특성으로 토지면적은 작을수록 매매가격이 높았고, 토지의 세부적 특성인 형상과 방위, 도로접면에 따라서 매매가격에 미치는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넷째, 건물 및 소재층특성과 관련하여 주택유형과 건물규모, 경과연수, 승강기유무, 소재층에 따라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지하철역과의 인접성 및 특징에 따라 연립다세대의 가격에 미치는 효과가 상이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비아파트 수요변화에 대응한 주택가격 분석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도시철도 객실 공기질 개선을 위한 롤필터 개발연구 (Development of Air Cleaning Roll-Filter for Improving IAQ in Subway)

  • 권순박;박덕신;조영민;김종범;남궁석;한태우;조관현;김태성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313-319
    • /
    • 2011
  • 현대사회는 많은 교통수단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 수도권 도시철도는 하루 평균 721만명이 사용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심과 PSD의 설치로 인해 터널내공기질 문제에서 객실내 공기질로 이동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객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장치는 전무한 상태이며 기존 에어필터 기술 적용시 설치비용과 유지보수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연구의 최종목표는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수 있는 독립형 청정장치를 개발하는 것이고,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수행하는 롤필터 집진 장치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객실내 롤필터 집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따른 도시철도 객실 먼지저감에 효과적인 시스템 구조를 제시하였으며, 적정 풍량을 산정하다. 유동해석과 먼지저감효율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를 통해 최적운영 조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롤필터에 적용가능한 필터재질에 대하여 차압특성과 입자포집효율을 평가하여 객실 유닛에 가장 적합한 필터를 선정하였다.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oward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Considering Land Use Type Seoul Subway Station Area in Seoul)

  • 오영택;김태호;박제진;노정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4D호
    • /
    • pp.467-472
    • /
    • 2009
  • 현재 서울시의 대중교통 이용수요는 최근의 버스개편 등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에도 불구하고 그 분담률은 크게 증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지하철의 경우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하철 분담률 증진을 위해서는 그 해법을 대중교통 지향형 역세권 개발(TOD : Transit Oriented Development)에서 찾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전환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중교통지향형 역세권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토지 및 교통 측면의 공급과 수요관련 변수들을 이용하여 유형별(주거, 비주거지역) 영향 모형을 개발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역세권의 이용자 및 대중교통 공급수준의 영향인자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토지이용특성(주거, 비주거)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대전제는 군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증명되었다. 둘째, 주거지역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환승거리, 정류장수, 단거리노선수, 자전거면수와 같은 버스측면의 대중교통 서비스범위와 관련된 시설 공급수준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비주거 지역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노선수, 배차간격, 운영시간, 역간거리와 같이 도시철도와 관련된 운영특성의 공급수준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향후 역세권 중심의 대중교통 정책 수립시 교통측면의 영향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